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년 02월 05일 16시 52분  조회:4734  추천:0  작성자: 죽림

 

-산문시는 영어로 'prose poem', 프랑스어로 'Poeme en prose', 독일어로 'Gedicht in Prosa'로 산문체 형식을 지닌 서정시입니다.

-정형시와 같이 명확한 운율형식은 없고 자유시와 같은 뚜렷한 리듬이 없다. 리듬은 없어도 시의 형태상 압축과 응결에 의한 시정신을 필요 조건으로 해야 한다. 형식상으로는 산문의 요소를 지녔지만 내용은 시적 제반 요소를 갖추고 리듬의 단위를 시의 행에 두기 보다 문장의 한 문단에 둔다. 자유시는 행을 나누어 구분하지만 산문시는 행을 바꾸지 않아도 시 전체의 음절과 문장에 의해 통일적으로 구성한다. 자유시나 정형시는 행에 의한 구분으로 인하여 시를 읽기 위해서는 다소 호흡의 율동이 늦게 간격을 두고 나타나기도 하지만, 산문시는 그 속도와 간격이 이어지기 때문에 거침없이 진행되어 호흡이 빠르거나 가빠질 수도 있다.

-라풍텐(Jean de La Fontaine), 루소(Jean-Jacques Rousseau), 베르트랑(Louis Bertrand)은 근대 산문시의 선구자이며, 보들레르(Charles-pierre Baudelaire)가 시집 『파리의 우울(La Spleen de Paris)』을 발표한 이래 산문시란 명칭을 썼다. 시집 서문에서 <율동과 압운은 표시되지 않지만 음악적이고, 서정성을 보인 영혼과 억양과 환상적인 파도, 의식의 도약이 적합된 유연한 산문의 기적>이라고 특질을 말하고 있다.

----------------------------------=================--------------------------

산문시는 영어로 'prose poem', 프랑스어로 'Poeme en prose', 독일어로 'Gedicht in Prosa'로 산문체 형식을 지닌 서정시를 의미합니다

 

ㅡ정형시와 같이 명확한 운율형식은 없고 자유시와 같은 뚜렷한 리듬이 없으며 리듬은 없어도 시의 형태상 압축과 응결에 의한 시정신을 필요 조건으로 해야 한다.

 

형식상으로는 산문의 요소를 지녔지만 내용은 시적 제반 요소를 갖추고 리듬의 단위를 시의 행에 두기 보다 문장의 한 문단에 둔다.

 

ㅡ자유시는 행을 나누어 구분하지만 산문시는 행을 바꾸지 않아도 시 전체의 음절과 문장에 의해 통일적으로 구성한다. 자유시나 정형시는 행에 의한 구분으로 인하여 시를 읽기 위해서는 다소 호흡의 율동이 늦게 간격을 두고 나타나기도 하지만, 산문시는 그 속도와 간격이 이어지기 때문에 거침없이 진행되어 호흡이 빠르거나 가빠질 수도 있다.

 

ㅡ라풍텐(Jean de La Fontaine), 루소(Jean-Jacques Rousseau), 베르트랑(Louis Bertrand)은 근대 산문시의 선구자이며, 보들레르(Charles-pierre Baudelaire)가 시집 『파리의 우울(La Spleen de Paris)』을 발표한 이래 산문시란 명칭을 썼다.

 

ㅡ시집 서문에서 <율동과 압운은 표시되지 않지만 음악적이고, 서정성을 보인 영혼과 억양과 환상적인 파도, 의식의 도약이 적합된 유연한 산문의 기적>이라고 특질을 말하고 있다.

 

ㅡ이후 자코브(Max Jacob), 르베르디(Pierre Reverdy), 앙드레 지드(Andre Gide), 투르게네프(Ivan Turgenev), 휘트먼(Walt Whitman)은 산문시인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는 김억이 번역한 투르게네프의 작품 「비렁뱅이」를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에 게재한 것이 산문시로 처음이며, 이후에 한용운(韓龍雲)의 「임의 침묵」, 정지용의 「백록담(白鹿潭)」, 주요한(朱耀翰)의 「불놀이」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63 [안녕?- 아침 詩 한송이]- 미친 약속 2016-03-10 0 3876
1162 <노을> 시모음 2016-03-10 0 4681
1161 詩作初心 - 시의 제목 잘 선별하기 2016-03-10 0 4940
1160 詩作初心 - 시는 두겹으로 그림을 그려라 2016-03-09 0 5501
1159 詩作初心 - 시는 20행이하로... 2016-03-09 1 6697
1158 <개> 시모음 2016-03-08 0 4169
1157 [안녕?- 아침 詩 한송이]ㅡ 봄소동 2016-03-08 0 3858
1156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03-07 0 3501
1155 [동시야 놀자]- 지각 대장 싸움 대장 2016-03-07 0 3948
1154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03-07 0 3558
1153 [동시야 놀자]- 오줌싸개 지도 2016-03-07 0 4033
1152 [동시야 놀자]- 아름다운 국수 2016-03-07 0 4224
1151 [동시야 놀자]- 까만 밤 2016-03-07 1 4166
1150 [동시야 놀자]- 봉숭아 2016-03-07 0 4098
1149 [안녕?- 아침 詩 두송이]- 들깨를 터는 저녁 / 뜨개질 2016-03-07 0 4260
1148 {안녕? - 아침 詩 한송이} - 白石 詩 2016-03-06 0 5194
1147 詩作初心 - 좋은 시를 모방하되 자기 색갈 만들기 2016-03-06 0 7807
1146 詩에서 상상은 허구, 가공이다... 2016-03-04 0 4985
1145 {안녕?- 아침 詩 두송이} - 나무들의 목소리 2016-03-04 0 4131
1144 詩는 그 어디까지나 상상의 산물 2016-03-04 0 4429
1143 [아침 詩 두수] - 황지우 시 두수 2016-03-03 0 4297
1142 산문시가 산문이 아니다라 詩이다 2016-03-03 0 4436
1141 산문과 산문시의 차이 알아보기 2016-03-03 0 4588
1140 산문시와 산문을 구별해보자 2016-03-03 0 4125
1139 "시의 본질" 이라는 거울앞에 서보자 2016-03-03 0 3980
1138 독자가 없으면 詩는 존재할수 있다... 없다... 2016-03-03 0 4434
1137 밀핵시(密核詩)란? 2016-03-02 0 4465
1136 [아침 詩 한수] - 내가 뜯는 이 빵 2016-03-02 0 3950
1135 눈물보다 독한 술은 없다... 있다... 2016-03-02 0 3911
1134 詩의 천하루밤 2016-03-02 0 4034
1133 詩作初心 - 독자 없는 시대를 독자 있는 시대로... 2016-03-02 0 4379
1132 詩作初心 - 詩를 읽는다는것은... 2016-03-01 0 4183
1131 詩作初心 - 한편의 시를 탈고하기 위하여... 2016-03-01 0 5005
1130 [아침 詩 한수] - 어떤 평화 2016-02-29 0 4515
1129 詩作初心 - 좋은 詩 없다... 있다... 2016-02-26 0 4176
1128 詩作初心 - "詩의 본질"이라는 거울앞에서ㅡ 2016-02-26 0 4262
1127 [아침 詩 두수] - 늙은 꽃 / 기적 2016-02-26 0 4060
1126 [아침 詩 한수] - 가벼운 농담 2016-02-25 0 4234
1125 민족시인들을 찾아서... 2016-02-25 0 4830
1124 詩作初心 - 詩의 출발은 사춘기, 고정관념 벗어나기 2016-02-24 0 4186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