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년 02월 03일 03시 45분  조회:4269  추천:0  작성자: 죽림

‘스물여덟 삶’
윤동주의 부끄러움은 뭐였을까

PDF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기사 이미지

영화 ‘동주’에서 배우 강하늘(왼쪽)과 박정민(오른쪽)은 각각 윤동주 시인과 송몽규 열사를 연기했다. 형무소에 갇힌 송몽규를 면회 간 윤동주. 사촌지간인 두 사람은 친구이자 문학적 라이벌이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

이준익 감독, 강하늘 주연 맡아
고종사촌 송몽규 열사 통해 조명
6억원 저예산 흑백 영화로 제작
“소박했던 고인의 삶에 대한 예의”


국민 애송시라고 해야 할 시인 윤동주(1917∼45)의 대표작인 ‘서시’의 앞 부분이다. 일제 강점기, 암울한 시대의 희망과 절망을 온몸으로 표현한 윤동주. 그의 길지 않은 삶을 스크린에 복원한 영화 ‘동주’(이준익 감독)가 18일 개봉한다.

지금까지 윤동주에 대한 연구서나 평전은 여러 권 출간됐다. 하지만 그의 삶이 영화화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0대와 연희전문 시절, 일본 유학,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스물여덟의 나이로 숨을 거두기까지를 다룬다.

영화는 윤동주 자신의 시선뿐 아니라, 그와 막역했던 고종사촌 형이자 독립운동가인 송몽규(1917~45) 열사의 눈을 통해 인간 윤동주의 삶을 바라본다.

지난해 영화 ‘사도’(2015)에서 파국으로 치달았던 영조와 사도세자의 부자 관계를 그렸던 이준익(57) 감독은 이번엔 서로 거울 같은 존재이자 라이벌이었던 두 청춘에 초점을 맞춰 비극의 서사를 그려냈다. 윤동주와 송몽규는 같은 해 중국 용정에서 태어나 운명처럼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나란히 삶을 마감했다.

영화는 불나방처럼 항일 투쟁에 몸을 던졌던 송몽규(박정민)와 그의 거침없는 행동이나 용기와 달리 그저 시로서 시대의 아픔을 그리는 스스로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는 윤동주(강하늘)의 속마음을 대비해 보여준다. 부끄러움은 윤동주의 여러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 두드러진 내면 심리다.

 
기사 이미지

고향에서 동주(왼쪽)와 몽규(가운데)가 함께 문예지를 만드는 장면. [사진 메가박스플러스엠]

영화는 윤동주의 눈에 비친 독립운동가 송몽규의 삶을 통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단 한 권의 시집을 남긴 윤동주가 어떤 심정으로 그토록 아름다운 글을 남겨왔는지를 담담하게 되짚는다.

‘동주’는 6억 원 규모의 저예산 흑백 영화로 제작됐다. 이준익 감독은 “막대한 자본을 들여 윤동주에 대한 영화를 만드는 게 소박한 삶을 지향했던 고인의 삶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했다”며 흑백 사진으로만 전해지는 윤동주와 송몽규 열사의 모습을 흑백 영상으로 재현했다.

윤동주 역을 맡은 드라마 ‘미생’의 스타 강하늘(26)은 지난해 영화 ‘스물’에 출연한 데 이어 최근 TV 예능 프로그램 ‘꽃보다 청춘 아이슬란드’(tvN)에서 풋풋한 매력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에는 순수하고 예민한 시인의 내면을 섬세하게 연기했다.

DA 300

 

송몽규 역의 박정민(29)은 독립영화 ‘파수꾼’(2011)으로 데뷔한 뒤 영화·드라마를 오가며 연기력을 다져온 신예. 조선의 독립을 꿈꾸며 자신을 위험에 내몰면서도, 동주 만큼은 극진히 보살피는 인물로 출연해 선 굵은 연기를 보여줬다.

두 배우는 마지막 촬영에서 고등형사의 심문을 받던 장면을 찍다가 눈물을 흘렸고, 결국 이를 지켜보던 이준익 감독도 눈물을 펑펑 흘렸다고 한다. “강하늘, 박정민의 혼신의 연기가 압권”이라는 게 이준익 감독의 설명이다.

화려한 액션 등 볼거리가 많지는 않지만 ‘동주’는 어두운 시대의 한가운데서 “부끄러움 없기를” 소망했던 두 청춘의 삶을 잔잔하게 되살린다. 영화 중간 중간에는 ‘별 헤는 밤’ ‘서시’ 등 윤동주가 남긴 시 열한 편이 강하늘의 목소리로 낭독된다.

시조차 자유롭게 쓸 수 없었던 어두운 시대, 두 청춘의 소망과 고통을 대변하는 듯한 아름다운 싯귀들은 먹먹한 울림으로 가슴을 친다...

[출처: 중앙일보] ‘스물여덟 삶’ 윤동주의 부끄러움은 뭐였을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83 풍유시로 사회를 고발한 백거이 2016-02-10 0 4370
1082 그 누구에게나 가슴속엔 詩가 가득듬뿍... 2016-02-10 0 5539
1081 묘비명 한졸가리 2016-02-10 0 4776
1080 남미주 칠레 민중시인 네루다를 다시 만나다 2016-02-09 0 4284
1079 詩人은 풍경속을 걷는 者 2016-02-08 0 4464
1078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02-08 0 4719
1077 <새해> 시모음 2016-02-08 0 4194
1076 <설날> 시모음 2016-02-08 0 4607
1075 동시는 童詩 2016-02-07 0 3925
1074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02-07 0 4828
1073 동시창작론 2016-02-07 1 4385
1072 동요창작론 2016-02-07 0 3924
1071 세계기행詩 쓰기 2016-02-06 0 4340
1070 소설가로만 알았던 포석 조명희, 시인으로 만나다... 2016-02-06 0 5068
1069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이용악 2016-02-06 0 4756
1068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오장환을 기리며 2016-02-06 0 4193
106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오장환 2016-02-05 0 4213
1066 산문시를 확실하게 알아보기 2016-02-05 1 5307
1065 참 재미있는 산문시 2016-02-05 0 4286
1064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02-05 0 4791
1063 산문시를 아십니까... 2016-02-05 0 4685
1062 詩창작의 최고의 교과서는 詩와 詩集 2016-02-05 0 4787
1061 散文詩이냐 산문(수필)이냐 2016-02-05 0 4242
1060 산문시 쓰기전 공부하기 2016-02-05 0 4985
1059 동시야 동시야 나와 놀자... 2016-02-05 0 4176
1058 우리도 산문시 써보자... 2016-02-05 0 4915
1057 산문시를 공부하기 2016-02-05 0 4308
1056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02-05 0 4722
1055 무감각해진 詩의 하체를 톡톡 건드려봅시다 2016-02-05 0 5162
1054 散文詩에 대하여 2016-02-05 0 6405
1053 은유에 관한 보고서 2016-02-05 0 4331
1052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2-05 0 4767
1051 풍경이 곧 시인의 재산 2016-02-03 0 4261
1050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02-03 0 4269
1049 詩의 언어운용에 관하여 2016-02-03 0 5512
1048 겁없이 쓰는 詩와 겁먹으며 씌여지는 詩 2016-02-03 0 5067
1047 태양아래 새로운 것 없다?!... 있다?!... 2016-02-03 0 4744
1046 生态詩 공부하기 2016-02-02 0 4272
1045 "생태시" 시론을 공부하고 생태시 쓰자... 2016-02-02 0 4170
1044 유교사회 조선시대 녀류시인들 2016-02-01 0 5491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