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년 01월 10일 02시 45분  조회:3965  추천:0  작성자: 죽림

2. '감동'을 주는 시

▣ 신춘문예 당선작 중 독자에게 깊은 감동을 준 시로 곽재구의 [사평역에서]를 흔히 꼽습니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이 자리에서는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영산포]를 감상해볼까 합니다.

 

영산포 [전문]

 

                        나해철

 

1

배가 들어

멸치젓 향내에

읍내의 바람이 달디달 때

누님은 영산포를 떠나며

울었다.

 

가난은 강물 곁에 누워

늘 같이 흐르고

개나리꽃처럼 여윈 누님과 나는

청무우를 먹으며

강둑에 잡풀로 넘어지곤 했지.

 

빈손의 설움 속에

어머니는 묻히시고

열여섯 나이로

토종개처럼 열심이던 누님은

호남선을 오르며 울었다.

 

강물이 되는 숨죽인 슬픔

강으로 오는 눈물의 소금기는 쌓여

강심을 높이고

황시리젓배는 곧 들지 않았다.

 

포구가 막히고부터

누님은 입술과 살을 팔았을까

천한 몸의 아픔, 그 부끄럽지 않은 죄가

그리운 고향, 꿈의 하행선을 막았을까

누님은 오지 않았다.

잔칫날도 큰집의 제삿날도

누님 이야기를 꺼내는 사람은 없었다.

 

들은 비워지고

강은 바람으로 들어찰 때

갈꽃이 쓰러진 젖은 창의

얼굴이었지/십년 세월에 살며시 아버님을 뵙고

오래도록 소리 죽일 때

누님은 그냥 강물로 흐르는 것

같았지.

 

버려진 선창을 바라보며

누님은

남자와 살다가 그만 멀어졌다고

말했지.

 

갈꽃이 쓰러진 얼굴로

영산강을 걷다가 누님은

어둠에 그냥 강물이 되었지.

강물이 되어 호남선을 오르며

파도처럼 산불처럼

흐느끼며 울었지.

 

2

개산 큰집의 쥐똥바퀴새는

뒷산 깊숙이에 가서 운다.

병호 형님의 닭들은

병들어 넘어지고

술 취한 형님은

강물을 보러 아망바위를 오른다

배가 들지 않는 강은

상류와 하류의 슬픔이 모여

은빛으로 한 사람 눈시울을 흐르고

노을 속에 雲谷里를 적신다.

冷山에 누운 아버님은

물결 소리로 말씀하시고

돌절벽 끝에서 형님은

잠들지 않기 위해 잡풀처럼

바람에 흔들린다.

어머님 南平아짐은 마른 밭에서

돌아오셨을까,

귀를 적시는 강물 소리에

늦은 치마품을 움켜잡으셨을까,

그늘이 내린 九津浦/형님은 아버님을 만나 오래 기쁘고

먼발치에서

어머님은 숨죽여 어둠에

엎드린다.

 

 

▣ 이 시의 강점은 체험의 진실성입니다.

 ◦ 경기가 제법 좋았던 영산포가 근대화 과정에서 낙후되고 마는데, 한 가족이 그 여파로 절대빈곤에 노출되면서 몰락하고 맙니다.

  - 특히 화자의 누님은 몸을 파는 신세로 전락하고(1번),

  - 다른 식구들도 죄다 비극적인 상황에 봉착합니다(2번).

 

 ◦ 참담한 현실상황을 들려주면서도 이 시는 시종일관 서정성을 잃지 않고 있습니다.

  - 한 가족의 비극이 잔잔하게 기술됨으로써 비극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납니다.

  - 특히 2번 시에는 많은 지명이 제시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 시의 구체성은 더욱 두드러집니다.

  - 시의 내용은 어느 일가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산업화 시대였던 60년대와 70년대를 통과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 그 시절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농촌이나 어촌에서 살아갈 수가 없어 이농의 대열에 섰습니다.

  - 도시에 와서 산동네 주민이 되어 살길을 찾았지만 허기는 여전합니다.

  - 농촌사회에서는 그나마 가족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는데 도시에 나와서는 이산가족이 되고 말았습니다.

  - 가족이 몇 년에 한 번 볼까 말까한 관계가 되고 만 것이 더 큰 비극일 수 있습니다.

  - 남자는 노동판에 가서 일용직 노무자라도 할 수 있었지만 여자는 그 시절에 공장 노동자가 아니면 버스 차장, 그도 아니면 직업여성이라도 되어 살길을 찾아야 했었지요.

 

 ◦ 이 시는 가족사와 사회사가 함께 다뤄지고 있으며, '체험의 진실성'에 서정성과 비극성이 보태져 진한 감동을 주기에 모자람이 없습니다.

  - 이 시를 쓴 나해철 시인은 전남의대를 나와 지금은 서울 강남에서 성형외과 의사를 하고 있습니다.

  - 보통 얼굴의 여성을 미모의 여성으로 탈바꿈시키는 재주를 지닌 의사 시인이기에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을지 모르지요.

 

 ◦ 하지만 시인의 직업이 무엇이든 간에, 연간 수입이 얼마인지 간에, 그 사실로 인해 이 시가 지닌 체험의 진실성이 흔들릴 수는 없습니다.

  - 자기 자신의 체험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시인은 이웃 혹은 일가친척 중 누군가의 체험을 진솔하게 묘사해 냈기 때문입니다.

  - 1993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는 제 후배여서 시 창작의 내밀한 부분을 잘 알고 있습니다.

 

-------------------------------------------

 

43. 청명 / 정희성

 

 

 

 

 

44. 시를 찾아서 / 정희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02 詩의 징검다리는 어디?... 2015-12-31 0 3439
801 詩의 생명력 /// 난해시에 대하여 ///난해시 사랑 2015-12-31 0 3309
800 詩에서의 상징주의 2015-12-31 0 4020
799 극단적 미래파 詩는 사기... 2015-12-31 0 3775
798 난해함 대신 일상 파고드는 시쓰기... 2015-12-31 0 3214
797 삶속에서 게으름 피우며 詩라는 배에 타보라... 2015-12-31 0 3133
796 동시창작은 다양화되여야 한다 /// 창작은 모방인가? 2015-12-30 0 3054
795 윤동주는 우선 동시인 2015-12-30 1 3822
79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의 선구자 - 채택룡 2015-12-30 0 3603
793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경청 - "길 하나 보인다..." 2015-12-28 0 3530
792 <<현대시 100년 詩의 계보>>를 위하여... <<로시인, 詩를 고발하다>>를 추천하매... 2015-12-28 0 3389
79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현대시>>시리즈를 일단락 마치며 - <<절실한 한마디>>를 추천한다... 2015-12-27 0 3618
790 윌리엄 불레이크, /// 칼 크롤로브 시해설 2015-12-10 0 5840
789 詩를 <<쉽게>> 짖자... /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2015-12-10 0 3584
788 로신과 한국 2015-12-05 0 4420
787 천재시인 - 李白의 음주시 연구 /// 술과 시인 2015-12-05 0 4834
786 남영전의 토템시 연구 2015-12-05 0 4583
785 민족시인 심련수 유작시의 정리와 출판을 두고 / 그의 대표작 시 해설 2015-12-05 0 4340
784 중국 조선족 문학의 흐름과 전개과정 2015-12-05 0 3674
783 중국 조선족 한글문학의 현황과 과제 2015-12-05 0 4241
782 중국 조선족의 文學地圖 다시 그려야 2015-12-05 0 3908
781 중국 력사상 가장 영향력이 컸던 詩 10首 / 초현실주의 대하여 2015-12-04 0 3597
780 한국 문단의 <<4대 비극>> /// <락서> 시모음 2015-12-03 1 4121
779 중국 조선족 시단의 奇花異石 - 한춘詩論 2015-11-21 0 4262
778 詩碑의 喜悲쌍곡선 2015-11-13 0 4059
777 詩人共和國, 碑共和國 2015-11-13 0 3907
776 詩碑가 是非로 되지 않기까지의 詩碑로 되기... / 詩를 고발하다... 2015-11-13 0 4162
775 詩碑 是非 ㅡ 세상보기 2015-11-13 1 4057
774 是非의 나라, 詩碑의 나라 2015-11-13 0 4606
773 詩碑의 是非 2015-11-13 0 3888
772 시를 지을 때 비법은? / 시와 련애하는 법 2015-11-11 0 4396
771 선생은 詩 읊기를 좋아하지 않습니까... 2015-11-11 0 4478
770 고로, 난 시인이 아니다! 2015-11-09 0 4873
769 하늘 저 켠을 공연스레 볼 뻔하였다... 시는 시적인것. 2015-11-06 0 3817
768 사랑 詩 10수 / 가슴으로 하는 詩 2015-11-06 0 4121
767 "온몸시론" 2015-11-06 0 3706
766 시는 언어를 통한 언어 파괴의 자화상이다...?! 2015-11-06 0 4066
765 참된 령혼이 시인을 만든다... 2015-11-06 0 4172
764 이미지즘과 한국詩 2015-11-06 0 4024
763 모더니즘 詩운동의 선구자 中 한 사람 - 파운드 2015-11-06 0 4763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