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모더니즘 詩운동의 선구자 中 한 사람 - 파운드
2015년 11월 06일 21시 28분  조회:4736  추천:0  작성자: 죽림

에즈라 파운드

시인의 시인Ezra Pound
 
출생 1885년 10월 30일
사망 1972년 11월 01일
국적 미국
작품/저서 《칸토스》, 《피사 칸토스》 등

요약 이미지즘과 보르티시즘 기법을 도입해 20세기 초반의 모더니즘 시 분야를 이끌었다.

 

에즈라 파운드는 초기 모더니즘 시운동의 선구자 중 한 사람으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 시인 중 한 사람이다. 20세기 영미 시에 끼친 막강한 영향으로, '시인의 시인'으로도 불린다. 이미지즘(Imagism)과 보티시즘(Vorticism, 소용돌이주의)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시에 도입한 혁신적인 시인이자, 20세기 초 미국 문단에서 영향력 있는 비평가로서 제임스 조이스와 T. S. 엘리엇, 예이츠, 프루스트 많은 작가들의 천재성을 알아보고 소개하여 미국과 영국 문학을 잇는 가교 역할도 했다.

에즈라 웨스턴 루미스 파운드는 1885년 10월 30일 미국 아이다호 헤일리에서 호머 루미스 파운드와 이사벨 웨스턴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파운드와 웨스턴 집안은 17세기에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미국 독립전쟁에 참가한 유서 깊은 가문이었다. 어린 시절 파운드는 외할머니가 읽어 주는 《가계사》를 듣고 크게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할아버지 태디우스 파운드는 철도 건설업자이자 상원의원, 위스콘신 주지사까지 역임한 인물로 상공업계와 정치계에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고, 아버지 호머는 조폐국에서 일했다. 에즈라 파운드는 이런 집안에 자부심을 가지고 자랐다. 15세 때 어머니, 이모와 함께 석 달간 유럽을 여행했는데, 특히 이탈리아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보고 압도되어 시인이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16세 때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입학했고, 학창 시절부터 공부보다는 문학, 특히 시 쓰기에 몰두하고, 펜싱, 연극, 고전 영문학 등에 열중해 교수들에게 괴팍한 문제아, 자유주의자로 이름을 날렸다. 21세 때 로망어로 석사 학위를 받고 대학원 연구원에 임명되었는데, 파운드는 연구원에 임명되어 받은 연구비와 월급을 털어 유럽 여행을 다녀오기까지 한다. 1907년 귀국한 후 이로 인해 낙제를 하는 바람에 연구비 지급이 중단되자 그해 여름에 인디애나 주의 워버시 대학에서 스페인어와 프랑스어 전임 강사로 일했다. 그러나 몇 개월 지나지 않은 이듬해 1월 떠돌이 여인을 기숙사에서 재웠다가 스캔들에 휘말려 해고되었고, 아버지에게 자금을 지원받아 다시 한 번 이탈리아로 떠났다.

파운드는 베네치아에 머물면서 시를 쓰고 여러 잡지사에 투고했으나 거절당하고, 몇몇 직업을 전전하다가 첫 시집 《꺼진 촛불》을 자비로 출판했다. 그해 말 파운드는 런던으로 옮겨가 런던에서 시인 클럽과 개인 문학 클럽을 드나들면서 많은 시인, 소설가, 비평가 등을 만났다. 그중에는 조지 버나드 쇼와 신문학 운동을 이끌었던 T. E. 흄, 당시 사교계를 풍미했던 올리비아 셰익스피어 부인 등이 있었다. 파운드는 후일 올리비아 셰익스피어의 딸 도로시 셰익스피어와 결혼한다.

이듬해 런던의 엘킨 메튜스 출판사와 계약을 맺고 시집 《페르소나》를 출판했다. 《페르소나》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어 파운드는 시인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당시 유력 문학 잡지 〈잉글리시 리뷰〉에 시를 싣게 된다.

또한 T. E. 흄을 비롯한 작가들과 함께 신문학 운동에 관한 이론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파운드는 상징주의와 같은 애매한 표현을 싫어했으며, 언어를 조각과 같이 구상적(具象的)으로 구사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주관적이든 객관적이든 감각할 수 있는 이미지에 의존하여 대상을 직접적으로 설명해야 한다고 여겼으며, 표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언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이런 새로운 시 운동이 이미지즘이다. 파운드는 1911년경부터 〈신세계〉 지에 이런 논지의 논설들을 기고하고, 자신의 이론이 반영된 시들을 발표했다. 1912년에는 미국의 〈포이트리〉 지를 통해 작품을 발표했고, 이 잡지의 편집인, 해외 특파원으로 일하면서 많은 영국 시인들을 미국에 소개하기도 했다. 1917년 〈포이트리〉 지와 관계를 끊고 나서는 〈리틀 리뷰〉 지, 1920년부터는 〈다이알〉 지와 함께 일했다.

또한 신문학 운동을 전개하고 비평가로 활동하면서 파운드는 많은 작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했다. 헤밍웨이는 "(파운드는 친구들을) 잡지에 소개해 주고, 감옥에서 꺼내 주고, 돈을 꾸어 주고, 연주회를 알선해 주었다. 병원비를 지불해 주고 자살하지 못하도록 설득하기도 했다."라고 말했다. 이런 친구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T. S. 엘리엇과 예이츠일 것이다. 파운드는 이들의 생활비를 지원했으며, 첫 작품집을 낼 때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는 '시대를 앞서 나가는 시인들의 생활을 지원해 주고, 그들의 예술을 문명 세계로부터 인정받게 하는 안내자'가 자신의 역할이라고 여겼다. T. S.엘리엇은 그에 대해 "인정을 받지 못하는 재능 있는 젊은 작가들에게 그만큼 친절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파운드는 당대 다른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미국과 현대 문명사회에 비판의식을 가졌고, 이에 대한 생각을 다양한 잡지에 기고하면서 문학적 저널리즘 활동을 활발히 했다.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는 고대 로마의 시인 프로페르티우스의 작품을 번안한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에게 바치는 경의》를 발표했다. 이 작품은 프로페르티우스와 로마 제국을 통해 1917년의 대영제국을 논평한 것으로, 그는 자신의 의도를 알지 못한 많은 비평가들, 특히 고전학자들로부터 오역이라는 엄청난 비난을 들어야만 했다. 그 후 시집 《휴 셀윈 모벌리》를 펴냈는데, 영국 문단 문화를 세밀하게 복원해 놓은 초상이라는 평을 받으며, 20세기 가장 위대한 시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 작품들은 파운드가 제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겪은 일들과 심상을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파운드의 가장 큰 위업은 1917년부터 집필하기 시작하여 평생에 걸쳐 쓴 모더니즘적 심상서사시 《칸토스》이다. 첫 편은 1921년에 발표 되었으며, 죽기 2년 전인 1969년에야 비로소 마무리되었다. 이 시편들은 오디세우스, 단테, 공자를 비롯해 미 대통령 존 애덤스, 이탈리아 용병 지기스몬트 말라테스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와 문화적 배경에 속한 신화, 역사, 문학, 문화 등을 인유하고 있는 난해한 작품이다. 파운드는 이 작품을 일컬어 '역사를 내포하고 있는 시'라고 했는데, 제1차 세계대전 후 기존의 가치와 공동체가 붕괴되고 인간의 정체성을 잃어 가던 혼돈의 세계에서 분열된 삶을 통합시키고 역사를 다시 쓰고자 한 시도로 여겨진다. 이상적인 공동체의 확립, 그중에서도 진정한 예술이 가능한 사회를 추구한 파운드의 모습이 담겨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파운드는 1922년 런던을 떠나 이탈리아로 갔고,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무솔리니를 지지하고 친파시즘 라디오 방송을 했다. 그는 미국 은행가들의 탐욕이야말로 미국이 전쟁에 참전한 이유라고 생각했고, 라디오 방송을 통해 공공연하게 미국을 비방했다. 이 때문에 전후 1946년 전범으로 체포되었는데, 정신병 판정을 받아 가까스로 사형을 면하고 워싱턴의 세인트 엘리자베스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 그런 와중에도 《칸토스》의 집필을 계속하여 수감 중이던 1948년 《피사 칸토스》를 발표했다. 이 작품은 볼링겐상을 수상하며, 정치적, 문학적 소동을 야기했다. 정신병원에서 파운드는 《피사 칸토스》 집필뿐만 아니라 《중용》, 《대학》, 《시경》, 《소포클레스: 트라키스의 여인들》을 번역했다.

파운드는 1958년에 방면되었는데, T. S. 엘리엇, 어니스트 헤밍웨이, 로버트 프로스트 등 친구들의 탄원이 작용한 덕분이었다. 그러나 풀려난 뒤에도 파운드는 이탈리아로 가서 "미국은 하나의 정신병원이다."라고 비난했다. 파운드는 이탈리아 알프스 근처에 머무르면서 스위스, 아일랜드, 파리, 뉴욕 등으로 친지들을 방문하며 지냈다. 1969년에는 자신이 선집한 《파운드 칸토스 선집》를 펴냈으며, 〈칸토스 CX-CXVII〉도 발표했다. 1972년 11월 1일 베네치아에서 숨을 거두었다.

=====================================================================

 

 

 

호수의 섬(The Lake Isle)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1885~1972)

 

 

 

 

 

 

오 신이여비너스여도둑떼의 신 머큐리여,

간청하노니내게 주소서조그만 담배 가게를,

선반들에 가지런히 쌓여 있는

작고 반짝이는 상자들과 함께,

묶이지 않은 향기로운 씹는담배와

독한 살담배와

반짝이는 유리 진열장 아래 흩어진

반짝이는 버지니아 담배가 있고,

너무 번들거리지 않은

천칭 저울도 하나쯤 있는,

잠시 머리를 매만지며버릇없는 말로

한두 마디 수작을 거는 매춘부들도 있는.

 

오 신이여비너스여도둑떼의 신 머큐리여,

조그만 담배 가게를 빌려 주거나

아니면 다른 일자리라도 주소서,

쉴 새 없이 머리를 써야 하는

이 빌어먹을 글 쓰는 일만 아니라면.

 

 

 

 

 

에즈라 파운드 하면 장신(長身)의 백발이 떠오르고, ‘장신의 백발’ 하면 김종삼 시인이 쓴 백발의 에즈라 파운드라는 시가 떠오른다. “심야의성채(城砦)/ 덩지가 큰 날짐승이 둘레를 서서히떠돌고 있다가까이 날아와 멎더니장신의 백발이 된다에즈라 파운드이다잠시 후 그 사람은 다른 데로 떠나갔다라는 짧은 시다이 시 때문일까에즈라 파운드는 내게 심야의 성채처럼 견고한 지성과 덩지가 큰 날짐승처럼 강력한 에너지가 소용돌이치는남성적이고 도전적인 시인으로 기억된다.

 

동시대 문인들 또한 파운드를 일컬어 예측할 수 없는 전류 다발(제임스 조이스), ‘20세기 시의 혁명 주체(T. S. 엘리엇), 문학의 트로츠’(윈드햄 루이스), 고독한 화산(W. B. 예이츠)이라 했다조이스엘리엇루이스예이츠를 비롯해 어니스트 헤밍웨이나 로버트 프로스트 등이 파운드의 문학적 지지와 배려 속에서 대가로 성장했으며특히 엘리엇의 장시[황무지]가 그에 의해 대담하게 수정되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미지스트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는 등 이미지즘을 주창했으며, 20세기 초 모더니즘 예술운동의 젖줄이었던보티시즘(소용돌이주의, vorticism)’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중국 한시와 일본 하이쿠를 번역 소개함은 물론 그 영향을 받아 새로운 시 형식을 모색하기도 했다.

 

이렇듯 파운드는 천부적인 재능으로 20세기 시단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그러나, 1941년 즈음 정치에 개입하면서부터 불우한 삶을 살았다그는 신용자본주의(특히 이자)에 반대했기에 반유대주의로 나아갔으며나아가 무솔리니의 파시즘적인 사회정책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게 되었다결국 2차 세계대전 중 이탈리아 라디오 방송에서 친파시즘적이고 반유대주의적인 라디오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전쟁이 끝난 1945년 미국 정부에 의해 반역죄로 체포되었다정신이상 범죄자라는 판정을 받아 사형은 면했으나 워싱턴에 있는 성엘리자베스병원에 수용되어 위탁 치료를 받다가, 1955년부터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파운드 석방 운동이 일어나1958년 봄에 반역죄 기소가 기각되었다석방된 파운드는 이탈리아로 망명해 87세의 생일을 이틀 넘기고 베네치아에 있는 성존앤드폴병원에서 고단한 생애를 마쳤다평생에 걸쳐 신화와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모더니즘 대서사시 [칸토스]를 집필했으며 수감 중이던 1948년에는 [피사 칸토스]로 볼링겐상 첫 회 수상자가 되었다.

 

파운드의 호수의 섬, “나 일어나 이제 가리내 고향 이니스프리로 돌아가리,/ 거기 외줄기 엮어 진흙 바른 작은 오두막 짓고아홉 이랑 콩을 심고꿀벌 통 하나 두고벌떼 잉잉거리는 숲속에 홀로 살리로 시작하는 예이츠의 시이니스프리 호수의 섬을 패러디하고 있다. ‘이니스프리는 아일랜드의 슬라이고라는 마을의 큰 호수의 섬 이름인데 예이츠는 어린 시절 이 호수의 섬에서 아버지와 함께 지냈던 적이 있다고 한다아일랜드 태생인 예이츠에게 이니스프리 호수의 섬은 고향 혹은 조국의 대명사이고자연 그 자체이자 행복한 유년의 상징이었다.

 

1910년을 전후한 파운드의 초기 시에 예이츠는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둘의 관계 또한 돈독했다미국 시인 파운드가 스무 살 위인 영국 아일랜드 시인 예이츠의 비서 역할을 했고예이츠의 아내가 파운드 아내의 사촌이기도 했다그러나 둘의 사이는 문학적·정치적으로 점차 벌어지게 되었다. ‘호수의 섬에서 파운드는 제목시행의 배열 및 리듬 등에서 예이츠를 모방하면서도 주제에서는 그와 대조를 이룬다예이츠가 이니스프리 호수의 섬에서 목가적인 이니스프리를 동경했던 것과 달리파운드는 복잡하고 살벌한 도시 한가운데 떠 있는조그만 담배 가게를 해학적으로 동경한다.

 

특히 파운드는 아름다움의 여신 비너스와신들의 사자이며 웅변·직공·상인·도적의 수호신인 머큐리를 호명함으로써 현대성의 상징이 여성물질지식임을 천명하고 있다그가 애연가였음은 분명하다조그만 담배 가게그것도 그 안에 씹는담배나 살담배(칼로 썬 담배)나 버지니아 담배(버지니아 주에서 나는 담배)등 온갖 종류의 담배와 담배를 재는 저울그리고 담배 피우는 매춘부들을 간청하는 데서도 알 수 있다니코틴에 대한 몽상은 나의 안개에 싸인 여왕,/ 니코틴하이얀 니코틴그대는그대 머릿속에 광휘를 띠고 말을 달려우리의 꿈속 옆길을그대의 큰길로 삼네.”(‘니코틴’)와 같은 시에서도 변주된다. “쉴 새 없이 머리를 써야 하는이 빌어먹을 글 쓰는 일에 매달려 사는 파운드에게 담배와 담배 가게는 가장 도시적이고 현실적인 이니스프리였던 것이다사실은 담배를 통해 글쓰기의 고통과 지식인의 고뇌를 역설하고 있다.

 

김종삼의 백발의 에즈라 파운드파운드의 가장 잘 알려진 단 두 행의 군중 속에서 환영처럼 나타난 얼굴들,/ 젖은검은 가지 위의 꽃잎들.”(‘지하철역에서’)이라는 시를 닮아 있다파리의 콩코르드 지하철역에서 내렸을 때 파운드의 시야에 들어왔던 아름답고 환한 얼굴들에 대한 감정과 의미를 표현한 시라고 한다군중 속에 홀연히 나타나는 환영젖은 가지 위의 꽃잎은 불완전하고 순간적인 현대인의 불안한 초상이다. 30행의 시를 하이쿠 형식을 빌려 단 두 줄로 압축해 놓음으로써 파운드는 군더더기 없는 시각적 이미지와 정확한 표현을 기치로 내세웠던 이미지즘 시의 미학을 구현하고 있다김종삼 또한 그러한 파운드의 시학에 기초해 성채와 날짐승,그리고 백발의 장신으로 파운드를 이미지화한 것이리라지금은 예이츠도 엘리엇도파운드도 김종삼도군중 속에서 환영처럼 나타나 젖은 가지 위의 꽃잎처럼 사라지고 없지만.

 

 

에즈라 파운드 (Ezra Pound, 1885. 10. 30. ~ 1972. 11. 1.)

1885년 아이다호 주 헤일리에서 태어났다열다섯 살에 펜실베니아 대학에 입학해 2년 동안 공부하다 해밀턴 칼리지로 옮겼다열아홉 살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년 동안 대학에서 교편을 잡기도 하였으나 여성 관계로 인한 불상사를 일으켜 학교를 떠났다스물두 살에 유럽으로 건너가 베네치아에서 몇 개월 체류한 후 런던에 자리를 잡았다영국으로 건너간 뒤 T. S. 엘리엇과 제임스 조이스 등을 세상에 소개했다서른세 살에는 파리로 이사해 현대 예술 전반에 혁명을 불러일으키고 있던 예술가들과 함께 활동했다동시에 비판적인 산문을 쓰거나 번역했고 오페라 전곡과 바이올린 솔로곡도 작곡했다. 2차 세계대전 중 반미 활동 혐의를 받아 정신 병원에 연금되었으나 시인들의 운동으로 풀려났다대표작으로 [가면], [칸토스등이 있다.

 

 

정끝별 시인1988년 <문학사상>에 시가, 1994년 <동아일보신춘 문예에 평론이 당선된 후 시 쓰기와 평론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시집으로 [자작나무 내 인생], [흰 책], [삼천갑자 복사빛], [와락], 시론·평론집 [패러디 시학], [천 개의 혀를 가진 시의 언어], [오룩의 노래], [파이의 시학등이 있다.

 

 

 


에즈라 파운드(Ezra (Loomis) Pound)

1885. 10. 30 미국 아이다호 헤일리 출생 
1972. 11. 1 베네치아 사망

미국의 시인·비평가로 20세기 영미시에 끼친 지대한 영향 때문에 '시인의 시인'으로 불린다. 제2차 세계대전중 이탈리아에서 파시스트를 지지하는 방송을 하여 전쟁 후에 체포당해 1958년까지 정신병원에서 억류되었다.

<초기생애와 작품활동>
아이다호의 작은 광산촌에서 연방 토지사무국 공무원인 위스콘신 출신의 아버지 호머 루미스 파운드와 뉴욕 시 출신 어머니 이사벨 웨스턴 사이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1887년경 가족은 동부로 이사했고, 1889년 6월 아버지가 필라델피아에 있는 미국 조폐국에 취직하면서 윈코트 근처에 정착했다. 파운드는 여기서 평범한 중산층 아이로 자랐다. 첼트넘 사관학교에 2년간 다니다가 졸업 전에 그만두고, 지방 고등학교에 다녔다. 그뒤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 2년간(1901~03) 다니면서 평생의 친구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를 만났다. 1905년 뉴욕 주 클린턴의 해밀턴대학에서 철학학사학위를 받았고,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 돌아와 대학원과정을 밟았다. 1906년 6월에 석사학위를 받았고 박사과정을 1년 다니다가 그만두었다. 학교에서 영문학과 영문법은 물론 라틴어·그리스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독일어·스페인어·프로방스어·앵글로색슨어에 대한 지식을 쌓았다.
1907년 가을 인디애나 주 크로퍼즈빌에 있는 워버시장로교대학의 로망스어 교수가 되었다. 대체로 그는 장로교 교육을 받은 사람처럼 행동했으나 시를 쓰기 시작하면서 자유분방한 태도를 보였다. 첫 직장을 곧 그만두고 1908년 2월 가벼운 짐과 적어도 한 미국 출판업자로부터 출판을 거절당한 시집 원고를 들고 유럽으로 가는 배를 탔다. 그전에도 유럽에는 3번이나 갔었는데, 1898년에는 대고모와, 1902년에는 부모와, 1906년 여름에는 혼자서 방문했다. 이때 모은 자료를 기초로 르네상스 시기 라틴 시인에 대한 〈라파엘풍 라틴 Raphaelite Latin〉과 음유시인에 대한 〈흥미로운 프랑스 출판물 Interesting French Publications〉(둘 다 필라델피아의 〈북 뉴스 먼슬리 Book News Monthly〉 1906년 9월호에 실림), 〈부르고스, 꿈의 도시 옛 카스티야 Burgos, a Dream City of Old Castile〉(〈북 뉴스 먼슬리〉1906년 10월호에 실림)를 썼다. 그러나 이번에는 돈도 별로 없이 떠나 배를 타고 지브롤터와 스페인 남부를 지나 베네치아로 갔다. 1908년 6월 베네치아에서 자비로 첫 시집 〈A lume spento〉를 출판했다. 1908년 9월경에는 런던으로 가서 작가이자 편집자인 포드 매덕스 포드(그가 펴내는 〈잉글리시 리뷰 English Review〉에 파운드의 글을 실어줌)와 사귀었고, 윌리엄 버틀리 예이츠의 문학 서클에 들어갔으며, 철학자 T. E.흄이 주관하는 현대 그룹 '이미지파'에 들어갔다.

<외국에서 거둔 성공>
영국에서는 곧 성공을 거두었다. 시집 〈페르소나이 Personae〉가 1909년 4월에 출판되었고, 10월에 2번째 시집 〈환희 Exultations〉가 나왔다. 런던에서 한 강의(1909~10)를 바탕으로 쓴 3번째 책 〈로망스의 정신 The Spirit of Romance〉은 1910년에 출판되었다. 고국으로 돌아와 마지막으로 필라델피아나 뉴욕 시에서 문단에 진출하려고 했으나 실패하자 1911년 2월 유럽으로 돌아갔고, 이탈리아·독일·프랑스를 방문했다. 1911년말 사회주의 주간지 〈뉴 에이지 New Age〉의 편집자이며 영국의 저널리스트인 앨프레드 R. 오러지를 알게 되었다. 오러지는 파운드에게 〈뉴 에이지〉의 지면을 할애해 이후 9년 동안 적지만 정기적인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해주었다. 1912년 파운드는 시카고의 작은 잡지사 〈포이트리 Poetry〉의 런던 주재기자가 되었다. 그는 이 잡지의 중요도를 높이는 데 크게 공헌했고, 곧 영미 시단의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다. 그는 일찍부터 로버트 프로스트와 D.H.로렌스의 재능을 간파하고 그들의 시를 높게 평가한 사람이었으며 모더니스트 조각가 제이콥 엡스타인과 헨리 고디어 브제스카에게 찬사를 보냈다. 1912~14년의 이미지스트 운동의 선구자이자 '이미지파'의 후계자로서 시에서 직접적이고 간결한 언어, 정확한 이미지의 사용을 강조하는 최초의 이미지스트 선언문을 작성했으며, 이미지스트의 첫번째 시선집 〈이미지스트 Des Imagistes〉(1914)를 편집했다.

<현대문학의 형성자>

친구 예이츠는 이미 유명해져 있었지만, 파운드는 그를 설득해 새로 간결한 문체를 쓰도록 했다. 1914년에 예이츠의 친구 올리비아 셰익스피어의 딸 도로시 셰익스피어와 결혼했으며, 같은 해 당시 무명이던 제임스 조이스와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 〈에고이스트 The Egoist〉지 비공식 편집자로서, 그리고 나중에는 뉴욕 시의 〈리틀 리뷰 The Little Review〉 런던판 편집자가 되어 조이스가 〈젊은 예술가의 초상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율리시스 Ulysses〉를 출판하도록 도와 조이스의 이름을 널리 알렸으며 재정 보조를 확보해주었다. 또한 1914년 T. S. 엘리엇이 자신처럼 시인이자 비평가로서 출발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한편 계속해서 자신의 시집 〈반격 Ripostes〉(1912)과 〈재계(齋戒) Lustra〉(1916), 산문 비평집 〈파반과 분할 Pavannes and Divisions〉(1918)을 출판했다. 1913년 위대한 동양학자 어니스트 페널로사의 글을 읽게 된 뒤에는 고대 중국 시의 영어판인 〈중국 Cathay〉(1915)과 일본 노극[能劇]에 관한 저서 2권(1916~17)을 출판해 호평을 받았다.
제1차 세계대전중의 살육과 전후 영국에 만연한 무력감에 불안을 느껴 파리로 가기로 결정하고, 떠나기 전에 가장 중요한 작품인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에 대한 경의 Homage to Sextus Propertius〉(1919년 〈Quia Pauper Amavi〉에 실림), 〈휴 셀윈 모벌리 Hugh Selwyn Mauberley〉(1920)를 출판했다.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에 대한 경의〉는 프로페르티우스와 로마 제국을 통해 1917년의 대영제국에 대해 논평한 것이며, 〈휴 셀윈 모벌리〉는 1919년 영국 문단문화의 한 측면을 정교하게 새겨놓은 '초상'으로서 20세기에 가장 찬사를 받은 시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파리에서 지내는 동안(1921~24) 젊은 미국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를 만나 그를 도와주었고, 프랑수아 비용의 시를 바탕으로 오페라 〈유언 Le Testament〉(1926 파리 공연, 1931, 1962 BBC가 런던에서 상연)의 대본을 썼다. T.S.엘리엇을 도와 장시 〈황무지 The Waste Land〉를 편집했으며, 뉴욕 문예지 〈다이얼 The Dial〉의 주재기자로 활동했다.

〈칸토스 The Cantos〉

1924년 파리에 싫증을 느낀 그는 이탈리아 라팔로로 이사해 20년을 살았다. 1925년에 미국 출신의 바이올린 연주자이며 정부인 올가 러지와의 사이에서 딸 마리아가 태어났고, 1926년에 아내 도로시는 아들 오마르를 낳았다. 딸은 이탈리아령 티롤의 한 시골 여인이 길렀고, 아들은 영국에 사는 친척집에서 자랐다. 1927~28년에 자신의 잡지인 〈에그자일 Exile〉을 편집했고, 1930년에는 〈30편의 초고 A Draft of XXX Cantos〉라는 제목으로, 1915년부터 쓰기 시작했던 야심적인 장시 〈칸토스〉의 일부를 다양하게 엮어 출판했다. 1930년대에 〈칸토스〉가 더 증보되어 〈새 칸토스 11편 Eleven New Cantos〉(1934)과 〈5번째 칸토스 10편 The Fifth Decad of Cantos〉(1937)·〈칸토스 52~71 Cantos VXII-ⅦⅩⅠ〉(1940) 등이 나왔고, 걸작 산문집 〈새롭게 하라 Make It New〉(1934)가 나왔다. 점차 음악에 큰 관심을 갖게 되어 1930년대에 라팔로에서 몇 차례 음악회를 기획했으며, 올가 러지의 도움을 받아 17세기 이탈리아의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를 재발견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또 문화와 역사의 지속적인 연구 결과 뛰어난 단문집 〈쿨처 안내 Guide to Kulchur〉(1938)를 출판했다.
1930년대 세계적인 불황이 닥치자 그는 경제사를 비롯한 역사에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 1918년 런던에서 사회신용설의 주창자인 C. H. 더글러스를 만난 후 경제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사회신용설은 불충분한 구매력에 따른 부(富)의 부당한 분배가 불황을 초래한다는 경제 이론이다. 파운드는 정부와 일반 대중이 돈과 금융을 잘못 이해하고, 국제 은행가들이 돈을 조종한 결과 세계가 일련의 전쟁에 빠지게 되었다고 믿었다. 그는 화폐개혁에 몰입해 〈경제학 입문 ABC of Economics〉(1933)·〈사회적 신용 Social Credit〉(1935)·〈돈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What Is Money For?〉(1939)를 썼으며, 정치에도 관여해 이탈리아의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를 찬양하는 글 〈제퍼슨과 무솔리니 Jefferson and/or Mussolini〉(1935)를 썼다 (→ 색인 : 파시즘). 그가 몰입한 이 주제는 〈칸토스〉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초기작에서도 개인적·역사적 일화들이 통제되지 않은 흔적이 드러난다.

<반미(反美) 방송>

유럽에서 전쟁이 임박하자 그는 이탈리아와 미국이 서로 평화를 유지하는 데 자신이 한몫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1939년 미국에 갔다. 그러나 실망을 안고 이탈리아로 돌아왔고 이탈리아와 미국이 교전한 뒤인 1941~43년에 로마의 라디오를 통해 문학·경제·금융·정치 등의 광범위한 주제를 가지고 수백 회에 걸쳐 방송했고 종종 미국이 전쟁을 벌였다고 공공연하게 비난했다. 그는 1945년 미국군에 체포되어 피사 근처 전범 수용소에 6개월 동안 수감되어 있었다. 열악한 조건인 그곳에서 공자를 영어로 번역했고(〈위대한 학설과 흔들리지 않는 축 The Great Digest & Unwobbling Pivot〉, 1951), 계속 집필중이던 장시 가운데 가장 감동적인 〈피사 칸토스 The Pisan Cantos〉(1948)를 썼다. 반역죄로 재판을 받기 위해 미국으로 돌아왔으나 '재판을 받을 수 없을 만큼 정신이상'이라는 의사들의 선고를 받고, 정신 질환 죄수를 수용하는 워싱턴 D.C.의 세인트엘리자베스 병원에서 12년(1946~58)을 보냈다. 이 기간에도 〈칸토스〉를 이어나가 〈절단 Section:Rock-Drill〉(1955)· 〈왕관 Thrones〉(1959) 등을 썼으며, 고대 중국의 시와 소포클레스의 〈트라키니아 Trachiniai〉를 각각 〈고전 시선집 The Classic Anthology〉(1954)과 〈트라키스의 여자들 Women of Trachis〉(1956)로 번역했다. 한편 정기적으로 방문객들을 만났으며 여러 나라 사람들과 많은 편지를 주고받았다. 1949년에 〈피사 칸토스〉로 저명한 볼링겐상을 받으면서 그에 대한 논쟁이 다시 뜨거워졌다. 1958년 4월 18일, 재판을 받기에 부적합하다는 판정이 나오고 고소가 기각되면서 세인트엘리자베스 병원에서 풀려났다. 그는 이탈리아로 돌아와 6개월씩 라팔로와 베네치아를 오가며 지냈다. 저술 기간 60년 동안 혼자 70권을 썼으며, 70여 권의 다른 책에 기고하고, 1,500편 이상의 글을 썼다. (N. Stock 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02 詩의 징검다리는 어디?... 2015-12-31 0 3435
801 詩의 생명력 /// 난해시에 대하여 ///난해시 사랑 2015-12-31 0 3296
800 詩에서의 상징주의 2015-12-31 0 4012
799 극단적 미래파 詩는 사기... 2015-12-31 0 3761
798 난해함 대신 일상 파고드는 시쓰기... 2015-12-31 0 3178
797 삶속에서 게으름 피우며 詩라는 배에 타보라... 2015-12-31 0 3133
796 동시창작은 다양화되여야 한다 /// 창작은 모방인가? 2015-12-30 0 3040
795 윤동주는 우선 동시인 2015-12-30 1 3819
79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의 선구자 - 채택룡 2015-12-30 0 3598
793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경청 - "길 하나 보인다..." 2015-12-28 0 3520
792 <<현대시 100년 詩의 계보>>를 위하여... <<로시인, 詩를 고발하다>>를 추천하매... 2015-12-28 0 3366
79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현대시>>시리즈를 일단락 마치며 - <<절실한 한마디>>를 추천한다... 2015-12-27 0 3602
790 윌리엄 불레이크, /// 칼 크롤로브 시해설 2015-12-10 0 5830
789 詩를 <<쉽게>> 짖자... /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2015-12-10 0 3556
788 로신과 한국 2015-12-05 0 4402
787 천재시인 - 李白의 음주시 연구 /// 술과 시인 2015-12-05 0 4827
786 남영전의 토템시 연구 2015-12-05 0 4570
785 민족시인 심련수 유작시의 정리와 출판을 두고 / 그의 대표작 시 해설 2015-12-05 0 4337
784 중국 조선족 문학의 흐름과 전개과정 2015-12-05 0 3672
783 중국 조선족 한글문학의 현황과 과제 2015-12-05 0 4210
782 중국 조선족의 文學地圖 다시 그려야 2015-12-05 0 3906
781 중국 력사상 가장 영향력이 컸던 詩 10首 / 초현실주의 대하여 2015-12-04 0 3581
780 한국 문단의 <<4대 비극>> /// <락서> 시모음 2015-12-03 1 4116
779 중국 조선족 시단의 奇花異石 - 한춘詩論 2015-11-21 0 4255
778 詩碑의 喜悲쌍곡선 2015-11-13 0 4057
777 詩人共和國, 碑共和國 2015-11-13 0 3899
776 詩碑가 是非로 되지 않기까지의 詩碑로 되기... / 詩를 고발하다... 2015-11-13 0 4133
775 詩碑 是非 ㅡ 세상보기 2015-11-13 1 4052
774 是非의 나라, 詩碑의 나라 2015-11-13 0 4577
773 詩碑의 是非 2015-11-13 0 3875
772 시를 지을 때 비법은? / 시와 련애하는 법 2015-11-11 0 4391
771 선생은 詩 읊기를 좋아하지 않습니까... 2015-11-11 0 4456
770 고로, 난 시인이 아니다! 2015-11-09 0 4872
769 하늘 저 켠을 공연스레 볼 뻔하였다... 시는 시적인것. 2015-11-06 0 3803
768 사랑 詩 10수 / 가슴으로 하는 詩 2015-11-06 0 4108
767 "온몸시론" 2015-11-06 0 3700
766 시는 언어를 통한 언어 파괴의 자화상이다...?! 2015-11-06 0 4039
765 참된 령혼이 시인을 만든다... 2015-11-06 0 4152
764 이미지즘과 한국詩 2015-11-06 0 4019
763 모더니즘 詩운동의 선구자 中 한 사람 - 파운드 2015-11-06 0 4736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