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년 01월 21일 23시 58분  조회:3124  추천:0  작성자: 죽림

 

평전시집 '다시, 별 헤는 밤'…탄생 100주년 곳곳 기념행사

 

시인 윤동주 [연합뉴스 자료사진]
시인 윤동주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산모퉁이 외딴 우물 하나/ 하늘과 구름, 달과 별이 빛나는 우물 위로/ 잎새에 이는 바람이 스쳐 지나가고/ 난, 외로운 동주처럼/ 혼자 말없이 우물을 바라봅니다// 그러다가 나도 괜히 동주처럼 내 자신이 미워져/ 우물에 돌멩이 하나 던져놓고 돌아가다/ 다시, 문득 우물 속 사내가 그리워집니다"

윤동주(1917∼1945)의 '자화상'을 연상시키는 이 시는 소강석 시인이 윤동주처럼 우물에 비친 자신, 그리고 윤동주를 들여다보며 쓴 '동주의 우물가에서'다. 시인이 최근 펴낸 시집 '다시, 별 헤는 밤'에는 윤동주의 삶과 시세계를 더듬은 시 54편이 실렸다.

시집은 윤동주에게 바치는 오마주이자 그의 삶을 운문으로 기록한 '평전시'다. 시인은 윤동주의 내면으로 들어가 그가 못다한 말을 대신 하는가 하면 시로써 생애를 복기한다. 시집은 만주 명동촌에서 태어나 용정으로 이주해 자란 유년기(1부)와 연희전문학교 시절(2부), 일본 유학과 순국(3부) 등 연대기 순서로 묶였다.

"그러나, 동주여/ 님의 별 헤는 밤의 시가/ 이 도시 어딘가/ 잠 못 드는 이의 낮은 숨결로 낭송되고/ 외롭고 쓸쓸한 자의 가슴에서/ 밤새 헤아리고 싶은 밤하늘 별로 빛나고 있다면// 우리의 밤은 어두운 암흑으로 갇히지 않고/ 다시, 별 헤는 밤이 되어/ 별 하나에 추억과 사랑과 쓸쓸함과 동경과/ 시와 어머니의 이름을 부르겠지요" ('다시, 별 헤는 밤' 부분)

윤동주(왼쪽)와 독립운동가 송몽규(오른쪽) [연합뉴스 자료사진]
윤동주(왼쪽)와 독립운동가 송몽규(오른쪽) [연합뉴스 자료사진]

 

 

윤동주가 타국에서 창씨개명을 부끄러워하며 제 이름자를 써보고 덮어버린 '별 헤는 밤'은 한 세기 가까이 지났다. 그러나 그의 시는 우리 가슴 속에 푸른 별로 떠올라 영원히 지지 않는다고 시인은 말한다. 시대가 어둡고 탁할수록 윤동주의 순결한 성찰의 시심은 더욱 빛난다.

"윤동주 이후/ 우리 모두는 가슴에 시 한 편 가졌다/ 아무리 시에 관심 없고/ 문학에 문외한인 사람일지라도/ (…)/ 우리의 지저분한 마음을/ 가혹한 상처를/ 씻을 수 없는 후회를/ 위로하고 닦아주는 시 한 편 가졌다" ('서시, 이후…' 부분)

시인은 "처음에는 내 안에 윤동주를 끌어들였지만 나중에는 내가 윤동주 안에 들어가서 심연의 우물가에서 시를 쓴 것"이라며 "졸작이지만 윤동주 시의 제단에 불쏘시개라도 되고 싶은 마음뿐"이라고 했다.

 

 

올해 문단 안팎에서는 윤동주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연중 열릴 예정이다. 우선 소강석 시인은 8일 오후 7시 자신이 목사로 있는 경기도 용인 새에덴교회에서 추모음악회를 연다. 윤동주의 6촌 동생인 가수 윤형주가 출연한다.

한민족평화나눔재단과 한국문인협회는 이달 23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류양선 가톨릭대 명예교수와 송희복 진주교대 교수, 이승하 중앙대 교수 등이 발표자로 나서 윤동주의 시세계와 민족정신을 재조명한다.

한국작가회의는 4월말께 심포지엄과 함께 공연 형식의 문학의 밤 행사를 연다. 윤동주의 친필 원고가 보존됐던 전남 광양시도 7월께 학술행사와 음악회로 윤동주를 기린다.


==========================================
'부끄럼없이 살기를’…윤동주 탄생 100주년 추모열기

[앵커]

올해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윤동주 시인이 탄생한 지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에 아파하고 고민한 시인을 기념하기 위해 문화ㆍ예술계에서는 다양한 추모 행사를 마련 중입니다.

임은진 기자입니다.

[기자]

<개코X황광희 '당신의 밤' 중> “별이 바람에 스치는 밤, 내가 길을 잃은 밤.”

한 세기를 지나 젊은 힙합 음악으로 다시 태어난 영원한 청년 윤동주.

지난해 말 ‘무한도전-위대한 유산’ 편을 통해 발표된 이 곡은 3주째 음원 차트 상위권을 지키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계는 ‘저항 시인’ 윤동주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삶과 작품을 되돌아보는 행사를 마련합니다.

올해를 ‘윤동주 100년의 해’로 선포한 서울시인협회는 문학 투어와 사진전 등을 열기로 했고 연세대 윤동주기념사업회는 5월과 12월에 기념음악회와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공연계도 창작 가무극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추모 행사와 함께 시인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하루 빨리 바로 잡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중국의 최대 인터넷 포털 바이두는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 민족은 조선족이라고 소개하고 있고 인터넷에서는 윤동주의 시로 잘못 알려진 글들이 돌고 있습니다.

<윤형주 / 윤동주 시인 6촌 동생> “그가 시를 통해서 어떻게 일제에 저항을 했는지, 소리 없는 깊은 외침이 있었다고 (집안 어른들은) 윤동주의 정신에 대해서 늘 들려주곤 하셨습니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는 삶을 원했던 윤동주.

시대에 아파하며 조용한 저항을 이어간 그의 삶과 작품은 지금도 큰 울림을 남기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임은진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3502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4324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3598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335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147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062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5149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3956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4772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134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3189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2894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058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3348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282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4252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3193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3818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3721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241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3451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124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3308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075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5393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3539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3304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3620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3549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3691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5741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4587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3334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024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3526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046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4724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3400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3992
1963 중국 몽롱파 시인 - 顧城 2016-12-25 0 391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