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년 07월 24일 06시 07분  조회:2135  추천:0  작성자: 죽림


    섬진강 끝
   하동에 가 보라
   돌멩이들이 얼마나 많이 굴러야 
   저렇게 작은 모래들처럼 
   끝끝내 꺼지지 않고 
   빛나는 작은 몸들을 갖게 되는지
   겨울 하동에 가 보라
   물은 또 얼마나 흐르고 모여야
   저렇게 말없는 물이 되어 
   마침내 제 몸 안에 지울 수 없는 
   청청한 산 그림자를 그려내는지



   -김용택「강끝의 노래」부분 



  김용택 서정의 특징은 사물과 자연에 대해 따뜻한 마음을 지닌다는 데 있다. 그의 시는 우리를 따뜻하면서도 풍요로운 감성의 세계로 인도한다. 시적 체계를 이루는 공간이자 근대 공간인 ‘섬진강’을 주로 노래해 ‘섬진강의 시인’이라고 불러도 좋을 그에게 자연은 삶의 원천이며 근원의 공간이다. 그의 대지적 상상력은 자연의 오염이나 황폐를 노래한 문명 비판류의 시와는 다르다. 그는자연이 본래 지니고 있는 아름다운 풍경과 그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온기를 꾸밈없이 그려낸다. 우리가 잃어 버리고 있던 마음의 고향을 섬세하게 복원시켜 놓는 그는 산벚꽃이 희게 핀 모습에서 고독을 발견하기도 하며 달빛이 하얗게 쏟아지는 들판에서 가슴을 적시는 애틋한 서러움을 발견한다. 돌멩이가 수억 겁의 세월을 구른 뒤 작은 모래로 빛나는 것, 혹은 수없는 물이 모여 제 몸 안에 청청한 산그림자를 그려내는 것을 발견해내는 그의 서정은 건강하고 맑디 맑은 이데아의 세계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에 비해, 작고 사소한 것으로부터 그윽한 사유를 이끌어 내고 있는 안도현은 시의 서사성을 중심축으로 하여 선명한 메세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그의 시는 어렵거나 애써 무거운 주제를 선택하지 않는다. 대신 산문적인 형식을 띠면서도 함축적인 여운을 주는 주제를 선택해 장면적이면서도 정확한 의미 전달을 지향한다.「가을의 전설」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의 시는 재미성이 표징을 이룬다. 저수지 물가에 배 한 척이 매어 있어 단풍놀이를 즐겨볼까 싶은 심산으로 주인집을 찾아 갔더니 고추를 매만지던 주인 아낙이 “대낮에 일도 없이 뭔 배를 탈라고 헌다요?” 하는 말에 그만 아내가 부끄러워 불이 붙은 단풍나무가 되었다는 이 시는 언어 유희적 요소가 시의 곳곳에 교묘하게 배치되어 있어 그의 시가 지니고 있는 재미성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타는 배와 사람의 배, 매운 고추와 사람의 고추 그리고 “대낮에 일도 없이 뭔 배를 탈라요?”에 함의된 해학적 의미 등은 시적 품위를 잃지 않으면서도 우리에게 시를 읽는 재미가 무엇인지를 제공한다.



   어린 눈발들이, 다른 데도 아니고
   강물 속으로 뛰어내리는 것이
   그리하여 형체도 없이 녹아 사라지는 것이
   강은,
   안타까웠던 것이다
   그래서 눈발이 물위에 닿기 전에
   몸을 바꿔 흐르려고 
   이리저리 자꾸 뒤척였는데
   그때마다 세찬 강물소리가 났던 것이다 



   -안도현「겨울 강가에서」부분



  강물이 세차게 뒤척이는 까닭을 ‘어린 눈발이 사그러져지게 되는 것이 안타까워서’라는 그의 시각은 독특하다. ‘어린 눈발’을 의인화시켜 우리에게 연민을 이끌어 내며 무형의 존재에게 생명을 부여하는 그의 시적 방법은 신선하기까지 하다. 사소하게 흘러만 가는 강물에서 따스하고도 넉넉한 모성성을 이끌어내는 그의 서정은 그윽한 사유에서 나오는 통찰력이 아니면 만나지 못하는 삶의 예지다. 복잡하기 짝이 없는 오늘날의 시에서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키는 그의 시는 ‘시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물음에 답하고 있는 시에 다름 아닐 것이다.


  김용택과 안도현이 자신이 살고 있는 삶의 주변을 맑고 결고운 서정으로 따뜻한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면 오늘의 시의 한 징후를 보여주고 있는 이윤학의 시는 근대 체험과 과거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신 안에 숨어 있는 황폐의 감정을 현동화(acturlization)시킨다. 시적 대상에 자신의 감정을 투사시키는 그의 언어적 인식은 대상에 자신의 입김을 불어 넣어 대상과 자신이 구별하기 힘들게 만든다. 자아와 대상이 서로 교호하며 삼투하여 동일화를 이루는 그의 시는 사물이나 풍경을 막연히 그려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통해 대상의 뒤에 숨은 의미를 입체적으로 그려낸다. ‘알레고리의 시학’을 보여주는 그의 시는 상징과 지시 대상이 중층화되며 입체성을 이룬다. 이를 통해 그의 시는 소읍과 변두리 도시 공간을 주 배경으로 삼고 이와 연계하여 음울한 자아의 모습을 흐린 흑백 필름처럼 아련하게 보여 준다.



   잠을 이룰 수 없는, 겨울,
   낮은 키의 울타리를 넘어오는 사람.
   이불을 둘둘 말아 가슴속에 구겨넣고
   먼 곳으로 보내는 편지를 써야 했다.
   밤새, 우리의 죄는 먼 곳에 있고······
   뼈 속으로 스미는 빗물에 
   그 무엇도 지울 수가 없었다.
   입술의 푸른 멍이 몸 구석구석으로
   녹아들고 부르튼 열매들이 붉은
   꽃을 피워냈다. 시퍼렇게
   도는 피를 닮은 잎들, 문신들,



   -이윤학「사철나무」부분



  시적 대상에 자신의 감정을 전이시켜 문맥화시키는 그의 시는 주관적 감정과 체험이 강조되는 특징을 보인다. 추억이 주는 통점과 자아와 세계와의 불화를 조직화된 감수성으로 농밀하게 그려내는 그는 공허하고 불안하기 짝이 없는 내면의 공간에서 발화하고 발효된 이미지들을 하나씩 불러내 어두운 영혼의 그림자를 시의 전면에 유포시킨다. 그의 시는 김용택과 안도현의 시와 구별된다. 김용택과 안도현의 시가 세계와 동화하며 조화와 균형을 노래하고 있다면 이윤학의 시는 세계와 대응하며 세계에 끊임없이 위협받는 자아의 불안과 불화를 노래한다. 

  이윤학과 같은 시적 공간에 잇대어 있으면서 구수한 충청도 방언과 위트 넘치는 입담으로 어둡게 보일 수도 있는 삶을 밝고 명랑하게 그려내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 이정록은 가늘지만 질긴 생명력을 사물에 불어 넣는다. 믿음직스럽고 신뢰할 수 있는 그의 목소리가 시의 곳곳에 포진하면서 완성미를 갖추고 있는 그의 시에는 밝은 사랑과 진솔한 삶이 묻어 있다.



   큰애야 이따 돌아갈 때에는 
   네 아비가 마지막으로 묵었던
   수덕여관엘 가봤으면 좋겠다
   가슴 속 빨랫방망이를 꺼내어 눈물 찍으신다 
   피서 와서까지 그러시냐고 투덜거리자 
   나는 여기와서도 피가 서는구나 하신다



   앞산이 갑자기 캄캄해지더니
   도토리만한 소나기를 훑고 지나간다
   한바탕 빨래를 마친 하늘에 된장잠자리들 가득하다 
   저것이 다 먼저 간 것들이여 한참을 올려다보신다
   광목 홑청처럼 하늘이 팽팽하다



   -이정록「피서」부분



  할머니가 영면하시 전 ‘가곡’라는 곳으로 피서를 가서 건너편 산의 도토리는 누가 따갈까 걱정하시는 할머니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군더더기 없이 기술하고 있는 이 시는 부풀리거나 축소시키는 가감없이 있는 그대로를 그려냄으로써 시적 호기심을 유도해 낸다. 슬픔을 슬픔으로 그리지 않고 슬픔 속에 깃들어 있는 강한 페이소스를 드러내 보이는 그의 시는 시적 주제에 압도당하지 않는 그의 감성적 여과력을 보여준다. 시적 대상을 통어하며 서정의 건강함을 드러내고 있는 그의 시는 시인의 체험과 음성이 짙게 배어 있다는 점에서 시는 곧 그 사람이라는 텍스트적 의미를 지닌다. 

  김용택, 안도현, 이윤학, 이정록의 시는 각각 산, 강, 농촌, 도시 변두리와 같은 근대 공간을 배경으로 자신의 서정을 표현한다. 그들의 시는 서로의 개성에도 불구하고 늘상 부딪치는 현실의 체험을 어려운 수사를 동원하지 않으면서도 우리 시에서만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서정의 세계를 미감 있게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가 잃어 버렸거나 혹은 잊어 버리고 있던 자연의 아름다운 서정과 원체험적 인식들이 진실하게 그려내고 있는 그들에게서 발견되는 이러한 미의식이야말로 하루가 다르게 전자 정보화되어 가는 오늘날, 우리에게 참다운 삶이 무엇인지를 새롭게 일깨워 줄 것이 틀림없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90 화룡 두만강역 로과籍 - 방홍국 시 쓰다... 2017-12-16 0 2188
889 <섬> 시모음 2017-12-14 0 2201
888 "이 섬에서 저 섬으로 가고 싶다"... 2017-12-14 0 2597
887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2017-12-14 0 2444
886 시인은 "쉽고 편안하면서도 아름답고 품격있는 시"를 써야... 2017-12-14 0 2460
885 반도에서 최초의 성교육 동시집 "응아~" 태여나다... 2017-12-12 0 2062
884 모든 시인은 "자연파"이다... 2017-12-12 0 2418
883 {쟁명}하이퍼시에서 감정은 감옥세계에... 감각은 자유세상에... 2017-12-10 0 2128
882 노을아, 나와 놀쟈... 2017-12-09 0 3450
881 평화야, 어서 빨리 오너라... 닐리리 우리 함께 놀아나 보쟈... 2017-12-09 0 2172
880 작은것과 큰것... 2017-12-07 0 2391
879 [사투리공부] - 시 "진달래꽃"를 강원도 사투리로 보기 2017-12-06 0 2419
878 {쟁명} - 하이퍼시는 두차례 이상의 "도주"가 있어야... 2017-12-01 0 2829
877 "미안합니다, 동주"... "윤동주를 려행하다"... 2017-11-30 0 2722
876 징그러워 보이기도 하면서 아름다운 예술세계... 2017-11-28 0 4651
875 독일 유대계 녀류시인 - 넬리 작스 2017-11-21 0 2620
874 [쟁명] - 하이퍼시와 "다수"와 "소수" 그리고... 2017-11-20 0 2459
873 [시문학소사전] - 풍시조(諷詩調)란?... 2017-11-19 0 2590
872 누구나 시인이 될수 없다?... 있다!... 2017-11-18 0 2666
871 현대시 = 비유 2017-11-18 0 2792
870 현대시 = 이미지 2017-11-18 0 2291
869 시문학공부는 끝이 없다... 2017-11-18 0 2833
868 "낯설게하기"시공부 1 2 3... 2017-11-16 0 2582
867 시작은 고정관념을 파괴해야 생명력을 낳는다... 2017-11-16 0 3266
866 낯설기용법= 신선함 "회복창조"하는것, 새로운 시세계 구축... 2017-11-15 0 3269
865 "자화상"에서 "낯설게하기" 찾아보기... 2017-11-15 0 2411
864 낯설게하기란 기존의 코트를 해체, 파괴하는 용감한 행동이다 2017-11-15 0 2231
863 러시아 문예학자 - 시클로프스키 = "낯설게하기" 2017-11-15 0 4600
862 시는 낯설음의 미학이다... 2017-11-15 0 2715
861 시인은 무대(시)뒤에 숨어버린 감독이여야... 2017-11-15 1 2524
860 시인은 조탁능력이 있는 연금술자가 되여야... 2017-11-15 0 2332
859 글쓸 때 시집을 한쪽켠에 놓고 글써라... 2017-11-15 0 3136
858 시작은 "은유와 환유"라는 두 녀자를 사귀러 가는것이다... 2017-11-15 0 3145
857 시는 "광기적 드라마"이다... 2017-11-15 0 2374
856 시는 은유와 환유의 몸부림이다... 2017-11-15 0 3376
855 내전 중에 희생된 "철뚜기와 신비한 베일"에 싸인 시인 2017-11-14 0 4259
8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조문학교과서 4 5 6... 2017-11-14 0 3113
853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문학교과서 1 2 3... 2017-11-14 0 2891
85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세계에서 뛰여 놀쟈... 2017-11-13 0 2796
85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시와 언어는 쌍둥이... 2017-11-13 0 3082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