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작할때 형이상학적 이미지들 언어로 시적성채를 빚어야...
2017년 11월 13일 20시 47분  조회:3044  추천:0  작성자: 죽림
 
태양(太陽)의 돌
  옥타비오 파스(Octavio Paz, 1914~1998·조칠환 옮김)
  
  반복되는 거울들의 회랑
  목마른 자의 눈동자, 항상
  출발점으로 되돌아가는 회랑,
  이제 너는 무작정 내 손을 잡아끌고
  저 끝이 가물가물한 통로로
  원의 중심부를 향해 데려가서 버티고 서 있다
  횃불 속에서 얼어붙은 하나의 광휘처럼,
  껍질을 벗기는, 매혹적인 빛처럼
  사악한 자를 위한 교수대처럼,
  채찍처럼 탄력 있고 달과 짝을 이룬
  하나의 무기처럼 화사하게,
  이제 날을 세운 네 단어들이 내 가슴을
  파내고 나를 황폐하게 하고 텅 비게 한다,
  하나씩 하나씩 너는 내게서 기억들을 뽑아낸다,
  나는 내 이름을 잊었다, 내 친구들은
  돼지들 사이에서 꿀꿀대거나 벼랑에 걸친
  태양에 잡아먹혀 썩어간다,
  내게는 아무것도 없다 길다란 상처 하나뿐,
  이미 아무도 거닐지 않는 동굴 하나,
  창문들 없는 현재, 사고가
  돌아와, 되풀이되고, 반사된다
  이제 그 동일한 투명 속에서 사라진다,
  눈 하나에 의해 옮겨진 의식
  밝음으로 넘쳐 흐를 때까지 돌아봄을
  서로 마주보는 의식:
  나는 네 지독한 비늘을 보았다.
  멜루시나, 동틀 녘에 녹색으로 빛나는,
  너는 시트 사이에 동그라미가 되어 잠들어 있었다
  이제 너는 깨어나 한 마리 새처럼 부르짖었다
  이제 끝없이, 부숴진 창백한 모습으로 쓰러졌다,
  아무것도 네게는 남지 않았다 네 외침만이,
  이제 세기들의 말에 나는 발견한다
  기침을 해대며 흐릿한 시선으로, 오래 묵은
  사진들을 뒤섞으며:
  아무도 없다, 너는 아무도 아니다,
  잿더미 하나와 빗자루 하나,
  이 빠진 나이프 하나와 깃털 하나,
  몇몇 뼈다귀들이 매달린 가죽 하나,
  이미 말라 버린 꽃송이 하나, 시꺼먼 구멍 하나
  이제 구멍 바닥에는 천년 전에 질식해 버린
  한 여자아이의 두 눈이 있다,
  한 우물에 묻혀 있는 시선들,
  태초부터 우리를 보는 시선들,
  늙은 어머니의 어린 시선
  덩치 큰 아들에게서 보는 한 젊은 아버지,
  고만한 여자아이의 어머니 시선
  몸집 큰 아버지에게서 보는 한 어린 아들,
  삶의 바닥으로부터 우리를 바라보는 시선들은
  이제 죽음의 함정들이다
  아니면 반대로: 그 눈속에 떨어짐이 진정한 삶에로의 회귀인가?
  

아즈텍의 달력인 〈태양의 돌〉. 이 거석에는 금성과 태양의 움직임이 새겨져 있는데 전체 주기가 584일이다.
  아무 일도 없다, 그냥 하나의 눈짓
  태양의 눈짓 하나, 움직임조차 아닌
  아무 것도 아닌 그런 거.
  구제할 길은 없다. 시간은 뒷걸음질치지 않는다.
  죽는 자는 스스로의 죽음 속에 묶여
  다시 달리 죽을 순 없다.
  스스로의 모습 속에 못 박혀 다시 어쩔 수가 없다.
  그 고독으로부터, 그 죽음으로부터
  별수없이 보이지 않는 눈으로 우리를 지켜볼 뿐
  그의 죽음은 이제 그의 삶의 동상,
  거기 항상 있으면서 항상 있지 않은
  거기 일 분 일 분은 이제 영원히 아무 것도 아닌
  하나의 도깨비 왕이 너의 맥박을 점지한다.
  그리고 너의 마지막 몸짓, 너의 딱딱한 가면은
  시시로 바뀌는 너의 얼굴 위에 작업을 멈추지 않는다.
  우리는 하나의 삶의 기념비
  우리 것이 아닌 우리가 살지 않는 남의 삶.
  
  그러니까 인생이라는 것이 언제 정말 우리의 것인 일이 있는가?
  언제 우리는 정말 우리인가?
  잘 생각해 보면 우리는 아무 것도 아니다, 아무 것도 되어 본 일이 없다.
  우리 혼자는 현기증이나 공허밖에는
  거울에 비친 찌그러진 얼굴이나 공포와 구토밖에는
  인생은 우리의 것이어 본 일이 없다, 그건 남의 것.
  삶은 아무의 것도 아니다. 우리 모두가
  삶이고 — 남을 위해 태양으로 빚은 빵,
  우리 모두 남인 우리라는 존재 —,
  내가 존재할 때 나는 남이다. 나의 행동은
  나의 것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것이기도 하다.
  
  내가 존재하기 위해서 나는 남이 되어야 한다.
  내게서 떠나와 남들 사이에서 나를 찾아야 한다.
  남들이란 결국 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존재하지 않는 것,
  그 남들이 내게 나의 존재를 충만시켜 준다.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내가 없다, 항상 우리다.
  삶은 항상 다른 것, 항상 거기 있는 것, 멀리 멀리 있는 것,
  너를 떠나 나를 떠나 항상 지평선으로 남아 있는 것.
  우리의 삶을 앗아가고 우리를 남으로 남겨놓은 삶
  우리에게 얼굴을 만들어 주고 그 얼굴을 마모시키는 삶
  존재하고 싶은 허기증, 오 죽음이여, 우리 모두의 빵이여.
  
  (※ 이 시는 무려 584행에 이를 만큼 장시다. 〈태양의 돌〉은 거대한 아즈텍의 달력용 돌을 통해 영감을 얻었다. 거석에는 금성과 태양의 움직임이 새겨져 있는데 전체 주기가 584일이다. 옥타비오 파스는 584일의 주기를 584행의 시로 형상화했다.
  1990년 참빛출판사에서 펴낸 《태양의 돌》에 실린 시 중 일부를 소개한다.)

  

젊은 시절 시인의 모습. 옥타비오 파스는 1952년 인도와 일본에서 1년간 머무르며 중국과 일본의 고전을 탐독했다.
  
1957년에 간행된 옥타비오 파스의 시집 《태양의 돌》.
  1990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멕시코 출신의 옥타비오 파스의 대표적 작품이 〈태양의 돌〉이다. 1957년에 쓰인 이 시는 지적이고 현란하다. 이미지의 시적(詩的) 회랑을 따라 걷기란 독자로선 행복한 일이다. 그 회랑을 따라 걷다 보면, 언어로 조탁된 아름다운 골짜기와 인간사의 애증이 촘촘히 박힌 계곡, 죽음의 영감으로 가득한 묘지를 만날 수 있다.
  
  ‘반복되는 거울들의 회랑’(1행), ‘출발점으로 되돌아가는 회랑’(3행), ‘횃불 속에 얼어붙은 하나의 광휘’(7행), ‘사악한 자를 위한 교수대’(9행), ‘아무도 거닐지 않는 동굴’(19행), ‘창문들 없는 현재’(20행), ‘그의 죽음은 이제 그의 삶의 동상’(60행), ‘우리는 하나의 삶의 기념비’(66행), ‘존재하고 싶은 허기증’(86행) 같은 형이상학적 이미지들은 언어가 빚은 성채 같다.
  
  이런 울림은 여느 서양시인들과 다르다. 파스의 시에는 동양사상이 스며 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이다.
  
  ‘구멍 바닥에는 천년 전에 질식해 버린 한 여자아이의 두 눈’(40~41행)이 있는데 그 눈은 ‘태초부터 우리를 보는 시선’이다. 그 시선에는 아들을 통해 아버지가, 아버지에게서 어린 아들이 보인다.(45, 47행) 또 딸(여자아이)에게서 어머니의 시선(46행)이 느껴진다. 이런 시선은 삶의 바닥에서 우리를 바라보는 것들(48행)이다. 삶의 회귀(50행)다. 불교의 윤회론적 사고와 닿아 있다.
  
  옥파비오 파스가 쓴 시 중에서 방랑 수도사를 그린 시 〈브린다반(Vrindaban)〉이 있다.
  
  광대
  절대(絶對)의 원숭이
  쭈그러진
  갈고리 모양을 하고
  창백한 재로 덮인
  방랑 수도사가 나를 쳐다보고 혼자 웃고 있었다.
  그 연안에 앉은 채 멀리 멀리서 동물이나 성인(聖人)들같이 나를 쳐다보고 있었다.
  헐벗고 산발한 더러운 모습을 하고
  …
  아마도 크리스나를 본 모양이야
  그는 이런저런 사연으로
  죽은 자들을 불사르는 부둣가 화장터에서 살고 있다.
  
  - 〈브린다반〉의 시 일부. 번역 김현장.
  

1990년 참빛출판사에서 번역되어 나온 옥타비오 파스의 시집 《태양의 돌》.
  옥타비오 파스는 1952년 인도와 일본에서 1년간 머무르며 중국과 일본의 고전을 탐독했다. 주역(周易)에 관심을 가졌고 팔괘의 시각적 효과를 원용한 시를 쓰기도 했다. 그가 결정적으로 불교와 동양사상에 빠지게 된 것은 1962년부터 6년간 인도 주재 멕시코 대사였다는 사실이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무(無)의 세계관은 인도철학의 ‘찰나(刹那)’와 관련이 있다. 모든 존재가 찰나(순간)에서 생성하거나 사라지기도 하는데 계속적인 생멸 현상이 우리 삶에서 일어난다. 불교에서 일생은 찰나와 같다. 또 찰나는 순간의 영원성과 닿아 있다. ‘거기 항상 있으면서 있지 않거나’(61행), ‘삶은 아무의 것도 아니고 우리 모두가 삶’(73, 74행)이다.
  
  시인은 일본의 하이쿠(俳句)를 본뜬 시를 쓰기도 했다. 하이쿠는 각 행마다 5, 7, 5음으로 이뤄진 단시를 말한다. 그 영향을 받아서인지 파스의 시 첫 행은 대개 간결하게, 그러나 대상의 본질에 가깝게 묘사하려는 듯 비유적이다. 〈시간〉의 첫 행은 ‘바람이 아니다’다. 〈독백〉의 첫 행은 ‘허무와 꿈 사이’, 〈새벽〉의 첫 행은 ‘차갑고 재빠른 손길’, 〈시(詩)〉의 첫 행은 ‘내가 보는 것과 내가 말하는 것’, 〈바람〉의 첫 행은 ‘현재는 영속한다’다.
  
  옥타비오 파스는 1968년 오르테스 멕시코 당시 대통령이 학생시위를 탄압하자 대사직을 던져 버린다. 그리고 이듬해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로 부임했고 2년 뒤 미국 하버드대에서 시학(詩學) 담당 교수가 된다. 그의 문학은 파블로 네루다, 가브리엘 마르케스 등과 함께 남미문학을 세계문학의 중심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산정묘지〉
  
  옥타비오 파스의 시를 읽다 보면 조정권 시인의 연작시 〈산정묘지〉가 떠오른다. 추운 겨울, 산정(山頂)의 정신세계를 그린 이 시는 혹한의 고통 속에서도 ‘허옇게 얼어터진’ 순수한 결빙의 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프랑스 시 전문 계간지 《포에지》는 1999년 한국 시인 특집호에 〈산정묘지〉를 소개하며 찬사를 보냈다. 
  
  조정권 시인은 2006년 한불수교 100주년 기념으로 마련된 보르도대 강연에서 “시간의 고요가 깃든 험준한 봉우리를 지상에서 올려다보는 경험은 삶의 물음에 대한 방향으로 틀을 잡을 때 경건하고 숭고한 정신의 표상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겨울 산을 오르면서 나는 본다.
  가장 높은 것들은 추운 곳에서
  얼음처럼 빛나고
  얼어붙은 폭포의 단호한 침묵.
  가장 높은 정신은
  추운 곳에서 살아 움직이며
  허옇게 얼어터진 계곡과 계곡 사이
  바위와 바위의 결빙을 노래한다.
  산정(山頂)은
  얼음을 그대로 뒤집어쓴 채
  빛을 받들고 있다.
  만일 내 영혼이 천상(天上)의 누각을 꿈꾸어 왔다면
  나는 신이 거주하는 저 천상의 일각(一角)을 그리워하리.
  가장 높은 정신은 가장 추운 곳을 향하는 법.
  저 아래 흐르는 것은 이제부터 결빙하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침묵하는 것.
  움직이는 것들도 이제부터는 멈추는 것이 아니라
  침묵의 노래가 되어
  침묵의 동렬(同列)에 서는 것.
  
  - 〈산정묘지(山頂墓地)1〉의 첫 연 중 일부
  
  민음사에서 간행된 《산정묘지》(1991년 간)는 이후 프랑스에서 번역됐으며 현지 언론을 통해 대서특필됐다. 당시 조정권 시인은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옥타비오 파스와 더불어 ‘세계 15대 대표시인’으로 꼽혔다고 한다.⊙
출처 | 월간조선 2017년 6월호 김태완 기자

/////////////////////////////////////////////////
===================================
/////////////////////////////////////////////////

 

 

 

외침, 부리, 이빨, 으르렁 대는 소리들,

 

살기등등한 허무와 그 혼잡도

 

이 소박한 꽃 앞에선 자취를 감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90 살아있는 시는 류행에 매달리지 않고 시대를 초월한 시이다... 2017-09-02 0 2127
689 문제 시인, 유명 시인, 훌륭한 시인, 무명 시인... 2017-09-02 0 2018
688 어떤 시인들은 자기가 갖고 있는 자대를 늘 자랑하는데... ㅉㅉ 2017-09-02 0 2243
687 늘 헛시농사를 짓는 시지기는 죽을 때까지 시씨를 뿌리고지고... 2017-08-29 0 2118
686 녀성의 립장에서 쓴 시와 남성의 립장에서 쓴 시... 2017-08-28 0 2439
685 걸어온 길과 걷고 있는 길과 걸어가야 할 길... 2017-08-28 0 2077
684 시어의 보고는 비어, 속어, 사투리, 은어, 구어 곧 활어이다... 2017-08-24 0 2305
683 "이 아름다운 날들이 언제까지라도 계속되길"... 2017-08-24 0 2304
682 당신들은 아버지 사타구니를 닦아본적 있으십니까?!... 2017-08-23 0 3093
681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였습니다"... 2017-08-23 0 2400
680 시세계, 시나라 좁고 넓고 짧고 길다... 2017-08-22 0 2382
679 시는 짧은 세계, 짧은 시의 나라... 2017-08-22 0 2525
678 짧은 시의 나라, 시는 짧은 세계... 2017-08-22 0 2780
677 시를 쓴다는것은 상투적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이다... 2017-08-22 0 2272
676 "아버지의 성기를 노래하고싶다"... 2017-08-22 0 2573
675 "그때 사방팔방에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2017-08-22 0 2175
674 시는 활자화되기전, 랭정하게 다듬기에 온갖 피를 쏟으라... 2017-08-22 0 2093
673 시를 시의 나라로 던질때 진저리치며 받아주는 이, 그 누구?!... 2017-08-22 0 2182
672 시는 무의 세계, 침묵의 나라, 시다운 시여야 절에 들어가는것, 2017-08-22 0 2081
671 시는 멀리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살그머니 있다... 2017-08-22 0 1791
670 시속의 비밀은 모든 사람들에게 각기 다른 주파수를 준다... 2017-08-22 0 2149
669 시는 진술이 아니라 언어에 늘 새옷을 입히는 행위이다... 2017-08-22 0 1948
668 "온몸으로 불 밝히는 살구꽃나무 환하게 서서 있었다"... 2017-08-22 0 1926
667 시는 언어를 재료로 하는 예술이며 미학이지 철학은 아니다... 2017-08-22 0 2146
666 "한줄을 쓰기전에 백줄을 읽고 독파하라"... 2017-08-22 0 1865
665 시적 언어재현으로 시각적인 상(像)-이미지를 찾아 그려라... 2017-08-22 0 1984
664 "어미를 따라 잡힌 어린 게 한마리"와 군용트럭... 2017-08-21 0 1958
663 "저 모습 뒤편에는 무수한 시침이 꽂혀 있을것이다"... 2017-08-21 0 1789
662 "아, 이거 시가 되겠네"... 2017-08-21 0 1698
661 "장백산아, 이야기하라"... 2017-08-21 0 1968
660 "틀에만 얽매이지 말고 틀을 벗어나 살라"... 2017-08-21 0 1941
659 "한개 두개 세개" 동요동시야 나와 놀쟈... 2017-08-21 0 2829
658 시인은 전자아(全自我)를 대변할수 있는 화자를 발견해야... 2017-08-21 0 1904
657 "그 바보들 틈에서 노는것이 마냥 즐겁기만하다"... 2017-08-20 0 2081
656 시를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할수 있는 시가 재미있는 시?!... 2017-08-20 0 1990
655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우리다"... 2017-08-19 0 1782
654 추억의 "되놀이" - 문득 "되놀이" 하고싶어짐은 또... 2017-08-18 0 2101
653 [땡... 복습시간이다...] - 중고생들 안녕하십니까... 2017-08-18 0 3251
652 [땡... 복습시간이다...]- 와- 동시를 쓰는 방법을 배워준대... 2017-08-18 0 2268
651 시적 상상력을 어떻게 구사할것인가... 2017-08-18 0 2138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