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한복" 알아보기...4
2018년 01월 07일 06시 15분  조회:3069  추천:0  작성자: 죽림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돌복

남자아이는 연보라색 풍차바지와 분홍색 저고리에 남색 돌띠고름을 단다. 그 위에 조끼 ·마고자를 입고 오방장두루마기(까치두루마기) 위에 전복을 입고 복건이나 호건을 쓰고 술띠를 맨다. 전복 등에는 길상무늬를 수놓은 붉은 띠에 12개월을 상징하는 주머니 12개를 매달아 부귀영화를 기원한다. 그리고 타래버선에 태사혜를 신는다. 
녀자아이는 분홍 풍차바지에 노란색 또는 연 뽕무지기 속치마를 입고 다홍치마에 연두 혹은 노랑 색동저고리를 입는다. 당의를 입기도 한다. 머리에는 굴레나 조바위를 씌우고 발에는 오목누비 버선에 비단신을 신긴다. 당의 고름에는 길상도안을 수놓은 주머니에 은으로 만든 장식노리개를 매단다. 모두 수(壽) ·부귀(富貴)를 기원하는 뜻이다. 
 
  혼례복
신랑은 사모관대를 갖추고 신부는 원삼, 족두리차림을 한다. 관원들이 행차할 때처럼 가마와 말을 타고 사령을 거느리며 관원대우를 받는다.  
혼례날 옷차림은 웃옷으로 제일 안에 모시속적삼을 입고, 분홍저고리, 노랑저고리, 연두삼회장저고리를 차례대로 겹쳐 입었다. 아래는 속에서부터 속옷바지, 단속곳, 청치마, 홍치마를 입고 그 위에 원삼을 입었다.  
혼례날 옷은 반드시 솜저고리나 솜바지를 입었다.  솜은 부를 상징했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평상복 
사계절이 뚜렷하여 여름옷은 모시나 삼베를 이용하되 홑으로 하고, 겨울에는 명주나 무명을 겹이나 솜옷으로 하였다. 특히, 봄가을에는 누빈옷을 입는 것을 가장 으뜸으로 여겼다.  
여름에는 등이나 대나무로 만든 등걸이나 손토수를 사용하여 더위를 이기고, 겨울에는 솜이나 털로 만든 손토수를 끼고 머리, 귀, 얼굴에도 방한용구를 사용하여 추위를 막았다. 평상복은 남자복과 녀자복으로 나눌 수 있다. 남자옷은 바지 저고리가 기본이었으며, 나들이 갈 때는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었다. 기혼남자들은 머리에 망건에다 탕건, 정자관, 갓 등을 썼다. 녀자들은 대부분이 치마, 저고리 차림이였으며, 여유 있는 사람은 두루마기를 입기도 했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상례복
상례는 까다로운 의례이므로 상복도 격식이 엄격했다. 상복은 상의 경중에 따라 오복제가 있었다. 남자상주는 굵은 삼베로 만든 굴건제복을 입고 짚신을 신었다. 대신 중단을 입고, 건 대신 베 헝겊을 머리에 얹고 수질과 함께 썼다. 손자와 사위는 건과 중단을 갖추고 행전을 찼다. 녀자상주는 삼베로 만든 치마저고리에 중단을 입었다.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수의 
죽은자가 입는 옷인데 수의, 머능옷, 저승옷, 호상옷 등으로 불린다. 재료는 비단이나 명주로 하였다. 저승에서 영생토록 입는 옷이라고 해서 최상의 것으로 장만했다. 저승에서는 만인이 평등하여 사모관대는 착용하지 않았다. 대신에 이승에서 가장 큰 례복인 도포를 입혔다. 수의는 주로 윤달에 마련했다. 완성된 것은 좀이 쓸지 않도록 담뱃잎이나 박하잎을 넣어 보관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3 [쉼터] - 중국 흑룡강 야부리에 "참대곰관" 없다?... 있다!... 2017-12-09 0 4961
1632 [연변 유적비 순례] - 강경애문학비 2017-12-08 0 4744
1631 [타산지석] - 세치 혀끝과 험담... 2017-12-08 0 2979
1630 [이런저런] - 호랑이야, 니 자알 가래이... 2017-12-07 0 3562
162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말라가는 땅을 살찌우기... /그 외... 2017-12-07 0 3991
1628 [그것이 알고싶다] - "차와 녀자"는 있구!... "차와 남자"는?... 2017-12-07 0 3192
1627 [그것이 알고싶다] - "차 중의 보배 백차"래ㅠ?... 2017-12-07 0 3109
16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07 0 3258
1625 [쉼터] - 10 = 7 2017-12-07 0 2801
162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상식과 "상식"은 그저 일이 아니다... 2017-12-07 0 5889
1623 빈민과 병자, 고아들의 수호자 = 작은 몸짓으로 사랑을... 2017-12-07 0 6788
1622 조선족식, 조선식, 한국식 "우리 글 규범" 언제 통일되나... 2017-12-07 0 3358
1621 [이런저런]-길바닥에 떨어진 물건이라도 그냥 가져가면 처벌... 2017-12-07 0 3547
1620 [쉼터] - 사투리의 비교비평 2017-12-06 0 3470
1619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사투리 달력"을 만들었으면... 2017-12-06 0 4137
1618 [쉼터] - 한반도 팔도 사투리야, 놀아보쟈... 2017-12-06 0 3361
1617 [쉼터] - 전라도 사투리로 쓴 詩 한졸가리 2017-12-06 0 3095
1616 [쉼터] - 강원도 사투리로 한 얘기 한토리 2017-12-05 0 3375
1615 [이런저런] - 8년 = 7억원 2017-12-05 0 3114
1614 [이런저런] - 7천원 = 4천만원 2017-12-05 0 3100
1613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산천어축제"가 있었으면... 2017-12-05 0 2732
1612 [이런 저런] - "아예 '교통경찰' 시킬가ㅠ"?... 2017-12-05 0 4409
16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건축쓰레기"?!... 2017-12-05 0 3435
1610 [그것이 알고싶다] - "마치 쟁반 위에 앉은 파리처럼"?... 2017-12-05 0 3600
1609 [그것이 알고싶다] - 동물들도 "부부"가 함께 살까???... 2017-12-01 0 3948
1608 [고향문단소식] - 고향과 청보리와 엄마의 세월... 2017-12-01 0 3314
16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변소혁명"... 2017-11-30 0 4619
16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금 지구는 무섭게 앓고 있다... 2017-11-30 0 3153
1605 [타산지석]-우리 연변 민족 대학가에서도 떡메춤.도리깨춤을... 2017-11-27 0 3793
1604 [쉼터] - 세상은 넓고 세상은 살맛나고지고... 2017-11-27 0 4503
1603 [이런저런] -중국 중경시에 "S"형 컬러 도로가 없다?... 있다!... 2017-11-27 0 3138
1602 [이런저런] - "송이버섯" 인공재배 된다고???... 2017-11-27 0 2755
1601 [타향문단소식] - "흑토에서 흘러온 훈훈한 문단분위기"... 2017-11-27 0 2855
1600 [타향문단소식] -"문학적 혼을 공유하는것" 절대 미룰수 없다... 2017-11-27 0 3279
1599 [타산지석]-우리 연변 학교들에서도 "전통민요라디오체조"를... 2017-11-21 0 4286
15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호야, 너와 나와 놀아보쟈... 2017-11-20 0 4235
1597 [쉼터] - 장래의 건축가들의 솜씨자랑 화이팅!... 2017-11-20 0 3141
1596 [쟁명] - 중국 연변, 조선, 한국 "조선말통일안"은 언제?... 2017-11-20 0 3192
1595 [문단유사] - "문예부흥"을 위한 문학도들을 잘 보듬기... 2017-11-19 0 3415
1594 [고향사람] - 한글 서체 개발자 = 조선족 김성진 2017-11-19 0 3440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