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프로필
장춘식 연구업적 총목록
1. 朝鮮族文學近況《中國少數民族文學硏究通訊》總第4期1984.4
2. 漫談李元吉的短篇小說集 (筆名 張植), 《中國少數民族文學硏究通訊》 總第6期
3. 作家們的聚會 (筆名朱善)《民族文學硏究動態》1985.1期
4. 단편소설 <쓰디쓴 웃음>의 매력 《장춘문예》 1985년 2기
5. 림원춘소설의 민족적 특색 《문학과 예술》 1985년 3기
6. <생활의 위치>의 위치(필명 주선)《연변일보》 1985년 7월7일
7. 송정환시체계의 원형구조(필명 주선) 《북두성》 1986년 6기
8. 金勛創作的新傾向 《中國少數民族文學硏究通訊》 1986年1期
9. 소설 읽기와 관념상이 《흑룡강신문》 1988.6.25(29?)
10. 反思與覺醒 (筆名 木直), 《中國少數民族文學學會通訊》總第15期1987年 12月
11. 민족문화와 문학의 세계화(필명 주선), 《연변일보》 1988년 1월 14일
12. 困惑及其超越--1987年朝鮮族小說創作述評 (필명 朱睿), 《民族文學硏究》 1988년 4기
13. 문화의 수용과 그 능력(필명 주선) 《문학과 예술》 1988년 5기
14. 薩滿敎與朝鮮族神話傳說, 《延邊大學學報》, 1989年1期/
15.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비교연구 《진달래》 25집 1989년 6월
16. 우리 문학의 그제, 어제와 오늘 《민족단결》 1990년 1-3기련재.
17. 민족문학의 평단을 이끌어온 10년 《문학과 예술》 1990년 6기
18. 콩크리트문화와 우리 문학의 사명 《송화강》 1990년 4기
19. 문학창작과 문학수용 양상(필명 주예) 《문학과 예술》1990년 4기
20. 70년대 중후반의 중국조선족소설 《진달래》 33집 1992년 7월
21. 關於九十年代朝鮮族文學“后繼无人”問題的思考, 《民族文學硏究》 1993年第1期
22. 경제번영과 문학의 불황 《문학과 예술》 1993년 제2기 (필명 주예)
23. 김성휘의 후기시 및 기타 《길림신문》 1993년2월23일 3면
24. 시대와 우리 문학---문학평론집,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3. 12.
25. 21세기를 대비한 우리 문학인의 자세 《은하수》1994.10기
26.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없는 별--윤동주시의 이미지 분석(요지 1000자)《연변일보》,
27. 朝鮮民族薩滿敎文化 <民族文學硏究>, 1995년 3기
28. 문학적 삶의 묘미 <문학과 예술>, 1995년 6기
29.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는 별 <국제고려학>, 1995년 2집
30. 21세기 우리 문학의 전망, <연변일보>, 1996년 6월 4일
31. 박설매의 시와 인간, <문학과 예술>, 1996년 2기
32. 박충록의 <조선문학론고>, <문학과 예술>, 1996년 5기
33. 從<苦難的年代>到<淚洒豆滿江>, <民族文學硏究>, 1996년 3기
34. 이민사와 조선족 현대문학, <상록수>, 1997년 12월, 료녕민족출판사
35. “만주”소설의 정신사적 의미, <아리랑>, 1998년 3월(58집), 연변인민출판사.
36. 삼원로와 조선족 당대소설의 전통, <조선학연구논문집>, 1996년 10월,
37. 해방전 조선족의 시문학, <문예연구>(한국), 1999년 가을호
38. 安壽吉與他的“北鄕”情結, <當代韓國>, 2000년 夏季號
39. 어두운 시대 생명존재의 의미, <문학과 예술>, 2002년 2기
40. 현경준의 이민소설 연구, <세계를 향한 한국(조선)문학 비교연구>, 2002.9, 민족출판사.
41. 論金昌傑的前期小說創作, <民族文學硏究>, 2002년 4기
42. 인간성의 솔직한 표현, <도라지>, 2002년 4기
43. 깨달음의 미학, <도라지>, 2003년 2기
44. 중국체험과 한국현대소설, <한중언어문화연구>(한국현대중국연구회), 2003.3
45. 정체성과 삶의 참의미-남계 황유복 수필읽기, <도라지>, 2004년 1기
46. 간도체험과 강경애의 소설, <여성문학연구>(한국여성문학학회), 2004.6(11호)
47. 해방전 조선족이민소설연구, 민족출판사, 2004.6.
48. 리원길의 장편 <땅의 자식들> 시론, <도라지>, 2004년 5호.
49. 광복전 조선족소설의 정체성 인식, <문학과 예술>, 2004년 6호(복간호-2003년4호
50.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문학과 예술>, 2005년 1호.
51. 도시적 상상력: 수필시대가 도래하는가, <도라지>, 2005년 1호.
52. 리원길과 그의 문학세계, <중국민족>, 2005년 2호.
53. 작가로서 교육자로서 그리고 인간으로서, <도라지>, 2005년 2호.
54. 강경애의 행적에 대한 일 고찰, <도라지>, 2005년 2호.
55. 조선족 수필의 장르적 변화와 서영빈 수필, <연변문학>, 2005년 5호.
56. 한국어학습과 문화의 교류, <제1회 중국에서의 한국어.한국문화 국제학술회의 초록집>,
57. 文化多樣性與中韓文化交流, <世界社科交流>(내부간행물, 중국사회과학원 국제합작국/
58. 金昌傑, <二十世纪少数民族百家评传>, 民族出版社, 2007.12.
59. 력사의식과 민족사 드러내기, <김운룡과 그의 소설연구>, 료녕민족출판사, 2005.7.
60. 김창걸의 소설사적 위치 재고, <개방시대 세계속의 조선(한국)문학비교연구>(리원길,
61. 평론가에서 수필가로의 변신-장정일특집에 부쳐, <장백산>, 2005년 4호.
62. 성장의 아픔을 넘어-신세대 녀성소설의 한 단면, <도라지>, 2005.5
* 63. 일제강점기 조선족이민문학(저서), 민족출판사, 2005.11.
64. 다시 돌아온 소설가 김재국, <도라지>, 2005.6.
65. 김창걸의 소설사적 위치 재고, <개방시대 세계속의 조선(한국)문학 비교연구>, 민족출판사, 2005.8.
66. 문학의 위축, 해법은 없는가?, <문학과 예술>, 2006년 1호.
67. 윤동주시의 이민문학적 성격, <도라지>, 2006년 2호.
68. 력사소설을 통한 민족정체성의 확인-김용식의 장편력사소설 <설랑자>를 중심으로, <문학과 예술>, 2006년 3호.
69. 문학의 참(眞)을 찾아서-김혁의 소설 읽기, <연변문학>, 2006.8.
70. 판소리와 중국 평탄의 비교, <문화산맥>, 연변조족문화발전추진회, 연변교육출판사, 2006.6.
71. 최순희 수필 읽기, <도라지>, 2006년 5호.
72. 이민문학의 시각에서 본 윤동주의 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32집, 2006.9.
* 73. 중국조선족 문학의 어제와 오늘(정덕준 외, 공저), 푸른사상, 2006.8
74. 주변화의 덫에서 탈출하기, <문학과 예술>, 2006.6
75. 김조규의 재만시기 시문학 연구, <조선-한국언어문학연구>, 연변대학 조선언어문학학과 편, 민족출판사, 2007.3.
76. 글이 곧 그의 얼굴인 시인, <도라지>, 2006.6
77. <만몽일보>소재 문학작품의 제 양상, <문학과 예술>, 2007.2
78. 일상과 꿈사이의 방황, <연변문학>, 2007.5; <윤동주문학상 수상작품집>, 연변인민출판사, 2009.12
79. 민족의 전통과 삶, 그리고 시, 리옥금시집 <별 줏는 녀인>, 연변인민출판사, 2007.5
80. 송정환의 창작과 연구 다시 보기, <문학과 예술>, 2007.4.
81. 청출어람, <도라지>, 2007.5.
82. 동방 삼국을 넘나드는 "환경주의자", 허승호 저 <신사의 호주머니는 쓰레기통>,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7.10
83. 중산층의 글쓰기와 문학지형의 변화, <문학과 예술>, 2007.6.
* 84. 중국조선족문학사(공저), 민족출판사, 2007.12.
85. 천청송과 그의 문학, <문학과 예술>, 2008.1
86. 새로운 비상을 위한 날개짓, <도라지>, 2008.1
87. 金昌杰, <二十世紀中國少數民族文學百家評傳>, 遼寧民族出版社, 2007, 12.
88. 개혁개방 후 조선족 문학의 변화 양상, <한국(조선)언어문학연구국제학술회의 논문집>, 민족출판사, 2008.6
89. 이민의 체험과 디아스포라적 상상, <문예연구>(한국), 2008년 여름호.
90. 조선족문학의 어제와 오늘, <도라지>, 2008.4.
91. 朝鮮族移民小說與身份認同,《民族文学研究》,2008.3; <多元文化格局中的民族文學硏究>, 中國社會科學出板社, 2010,3.
92. "우파"소설과 그 내막, <연변문학>, 2009.4.
93. "대약진"운동과 우리 소설의 대응, <연변문학>, 2009.5
94. <도라지>와 청년작가, <도라지>, 2009.2
95. "두번째 이민"과 우리 작가들의 대응, <도라지>, 2009.3.
96. 전원목가와 디아스포라적 애수, <세계속의 한국(조선)학연구 국제학술토론회 논문집>, 민족출판사, 2009.6.
97. 由身份认同的不同而引起的文学表现之不同,《朝鲜-韩国文学与东亚》,延边大学出版社,2009.6.
98. 계급투쟁과 추리소설의 만남-문화대혁명 그 전후시기 우리 소설 고찰, <연변문학>, 2009.7-8호.
99. 고슴도치와 족제비의 대결-<도라지>2009년 4호를 읽고, <도라지>, 2009년 5호.
100. "두번째 이민"과 소수자의 생존전략, <연변문학>, 2009년 11호.
101. 소설의 재미와 시의 운률, <도라지>, 2009년 6호.
102. 유치환의 시와 만주체험, <국제고려학>(제13호), 국제고려학회, 2009.12
103. 정체성의 혼란에 대응한 문화적신분의 자각, <도라지>, 2010년 2호.
104. 박계주의 단편소설 <유방>의 혼종성과 전복성, <문화e시대>, 2010.2호.
105. 독서와 창작, <예술세계>, 2010년 3호.
* 106. 일제강점기 조선족 이민작가 연구(저서), 민족출판사, 2010.7
107. 실험정신과 구조의 미, 그리고 달관의 경지, <도라지>, 2010.3호.
108. 계급투쟁 담론 해체의 미학, <장백산>, 2010.5
109. 공동체의 위기와 그 탈출의 의지, <연변문학>, 2010.11-12
110. 與星對話--朝鮮族現代詩人尹東柱與他的詩, <民族文學硏究>, 2010.4.
111. 추억과 사랑, 그리고 허무의 미, <도라지>, 2010.6.
112. 탈식민주의와 주변에서 글쓰기, <연변문학>, 2011.3
113. 朝鮮族第六代小說家的崛起, <民族文學>, 2011.5
114. 광복이전 우리 시의 력사적 흐름, <연변문학>, 2011.8-9
115. 서탑의 력사적의미와 시적인 상징성, 김창영시집 <서탑>, 료녕민족출판사, 2011.8
*116. 일제강점기 중국의 한인 이주문학, (한국)산과글, 2011
117. 용서와 관용의 미학-남흥범수필집 <노년심서>, <장백산>, 2011/6
118. 반전의 미학, 그리고 풍성한 수필잔치, <도라지>, 2011/6
119. 류은종의 시조와 시, <연변문학>, 2012.3
120. 격변기 시대와 민족의 운명에 대한 관조-고신일소설론, <도라지>, 2012/4
121. 항일부대에서의 연극창작과 그 의미, <송화강>, 2012/7
122. 방룡남의 <재중조선인 이주민소설 연구-안수길론>, <동방학술논단>, 2012/2(한국학술정보[주])
123. 시대성과 민족성의 통일, 그리고 서사전략-박초란단편소설집 <너구리를 조심해> 해설, 박초란단편소설집 <너구리를 조심해>, 료녕민족출판사, 2012.8
124. <만선일보> 지상토론 "만주 조선문학 건설 신제의"의 가치와 의미, <건지인문학>(한국), 제8집, 2012.12.
125. 장르적인 경계 깨기--조광명특집평, <장백산>, 2013/3.
126. 신세기 중국조선족문학비평의 현황과 전망, <인문과학> 제53집, 2014/2
127. 时代话语、民族话语以及个人定位》,刊于《民族文学研究》 2014.5
128. 새중국 창건이전 중국조선족문학의 형성과 조선반도문학의 관계, 김춘선주필, <중국조선족문학과 조선반도문학의 관계 연구>, 2015.
129. 로익장의 풍성한 연구업적, 문화시대(문학과예술), 2015/3
130. 려로형소설의 시간과 공간, 장백산, 2015/4
131. 조선족, 우리는 누구인가?, 도라지, 2015/5
132. 2000년대 문학, 위기와 그 극복의 의지(저서), 연변인민출판사, 2015.8
133. 金勋文学的互文性研究,民族文学研究,2016/5
134. 식민주의와 재중조선인문학(저서), (한국)살과글, 2017.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