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잊혀진 어원찾기 10
2015년 02월 24일 22시 49분  조회:5449  추천:0  작성자: 죽림

 

 

자지와 보지의 어원

- 백사 이항복과 퇴계 이황의 일화

 

 

 

선조 임금은 벼슬에서 물러나

시골에 은거해 있던 퇴계 이황을 다시 불렀다.

이 유명한 지식인이 입궐할 무렵,

궁궐 앞에서 기다리고 있던 많은 관리들이

성리학에 대해 가르침을 얻고자

그를 남문 밖의 한적한 곳으로 모셨다.

 

퇴계에게 수많은 현학적인 질문이 쏟아질 때였다.

얼굴이 희고 뺨이 붉은 소년 하나가 다가와

공손히 고개를 숙여 절을 하고는 말했다.

 

“듣자 하니 선생께서는 독서를 많이 하셔서

모르시는 바가 없다고 하시기에

평소에 궁금하게 여기던 것을

여쭤보고자 무례를 무릅쓰고 찾아왔습니다.

 

아무쪼록 배우고 싶은 마음을 물리치지 말아주소서.”

퇴계는 웃으면서 말했다.

“그래요. 그대가 알고 싶은 것이 무엇입니까?”

 

“예. 우리 말에 여자의 아래에 있는

소문(小門)을 "보지"라 하고

남자의 양경(陽莖)을 "자지"라 하니,

그것은 무슨 까닭이 있어서

그렇게 부르는 것입니까...???”

 

곁에 있던 백관들이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그때 퇴계는 얼굴빛을 온화하게 하고는

자세를 바로한 뒤에 천천히 대답을 했다.

 

“여자의 소문(小門)은

걸어다닐 때, 감추어지는 것이라고 해서

‘보장지(步藏之)’라고 하는데, 발음하기 쉽도록

감출 장(藏)이 빠지고 "보지"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자의 양경(陽莖)은

앉아 있을 때, 감추어지는 것이라고 해서

‘좌장지(坐藏之)’라고 부르던 것이 변하여

"좌지"가 되고 다시 자지로 된 것입니다.”

 

“예. 그렇군요. 잘 알겠습니다.

그런데, 선생님~! 하나 더 묻겠습니다.

 

여자의 보지를 "씹"이라 하고

남자의 자지를 "좆"이라고 하는 건

또 무슨 까닭입니까?”

 

몇몇 관리들은 낯뜨거운 질문에

얼굴이 붉으락푸르락해지면서 자리를 뜨고

몇몇은 소년에게로 다가가 그를 끌어내려 했다.

그러자 퇴계는 손을 저어 제지하더니,

다시 조용한 목소리로 대답을 이었다.

 

“여자는 음기를 지녀서

축축할 습(濕) 자의 발음을 따라, ‘습’이라 한 것인데,

우리 말은 된소리를 내는 것이 많아서 "씁"이 되고

다시 편하게 말하느라 "씹"이 된 것입니다.

 

그리고 남자는 양기를 지녀

마를 조(燥)의 발음을 따 ‘조’라고 한 것인데

이것, 역시 발음의 뒤를 세워

강조하느라 "좆"이 된 것입니다.”

 

소년은 그제서야 고개를 다시 숙인 뒤

물러나며 말했다.

“예. 말씀을 들으니 이치를 알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그때 소년의 거동을 살피던 벼슬아치들이

거친 목소리로 말했다.

“뉘 집 자식인지는 모르나,

어린 아이가 어른들 앞에서

저런 무엄하고 천한 질문을 하는 것을 보니

필경 버린 자식-호로자식임에 틀림없을 거외다.”

 

그러자 퇴계는 결연하고

묵직한 음성으로 그들에게 말했다.

 

“어찌하여 그렇게 단정을 하십니까?

 

세상의 학문이란,

가장 근본적이고 가까이 있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부모에게서 태어날 때

"자지"와 "보지"를 몸의 일부분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고

당연히 그것의 명칭에 대해

궁금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것에 이름을 붙이는 일을

어찌, 상스럽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다만 "음"과 "양"이

서로 비속한 마음과 어지러운 관계로

서로 합하여 세상의 윤리와 기강을

흔들어놓는 거기에서

천박하고 상스러움이 있는 것입니다.

 

그런 말을 쉽게 입에 올리지 않는 까닭은

자칫 우리가 범하기 쉬운 천박한 행동과

욕망을 경계하고자 하는 것이지,

저 소년같이 순수한 마음으로

진상을 알고자 하는 것을 억압하고자 함은 아닙니다.

 

음양의 근본과 이치를 탐구하는

저 소년의 마음이야 말로

우리가 궁구하는 "성리학"의 근본을 성찰하려는

진지한 뜻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아마 저 소년은 장차 세상 음양의 조화를 잘 살펴

변화에 맞게 세상을 이끌어갈 큰 인물

-뛰어난 지도자가 될 것입니다.”

 

그 소년이 바로, 백사-이항복이었다.





율곡은
자지와 보지에 대하여 달리 설명한다.

자지는 아이(子)를 낳는 가지(枝)이므로 자지이고

보지는 아이라는 보배(寶)를 담고 있는 연못(池)이니 보지라고.....

 

*** 이런 견해도 있군요.

 

 

 


보지의 어원

우선 남자들이 어렸을 때부터 그 단어를 입에 올리는 것 만으로도 은근한 쾌감을 느끼던 단어인 "보지"에 대해 알아 보자.
보지의 어원은 "볻"이다. 
'볻'은 뿌리나 씨(種)의 뜻을 가지고 있는 고어인데 동북아 일대에서 아직도 변형되어 사용하고 있는 말이라고 한다. 이 '볻'은 다시 '볼'이고 여기에 접미사 '옴'이 붙어 '보롬'이 되며 이것은 다시 'ㄹ'이 떨어져 '보옴'이 된다. 

'보옴'은 지금 우리가 현대어에서 사용하고 있는 '봄' 바로 그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보지'와 '봄'은 결국 같은 말인 것이다. 얼마나 아름다운 말인가? 만물의 뿌리가 되고 모든것이 기지개를 펴는 향그러운 봄, 향그러운 보지.... 
터부시할 아무런 이유가 없는 것이다....
              

불알의 어원

'볼' 얘기가 나와서 한마디 덪붙이겠다. 
'볼'의 모음이 바뀌어 '불'로 변했는데, 이 '불'도 우리는 지금 고스란히 쓰고 있다. 남자의 성기를 지칭하는 '불알'이 바로 그것이다.
 
"돼지 불을 친다" 
"불두덩 한번 튼실하다"
이런 것들도 마찬가지 뜻으로 쓰이고 있다. 
여성의 성기를 뜻하는 '보지'와 남자의 성기를 뜻하는 '불'이 같은 어원에서 나왔다는 것도 재미있는 사실이다.
이웃나라 일본어에서는 여자의 성기를 "호도(hoto)"라고 하는데, 이 역시 어근 '볻(pot)'이 '보도(photo)'라는 과정을 거쳐 생성된 말이라고 한다. 

 
          
       
씹의 어원

그럼 내친 김에 여자의 성기를 지칭하는 또 다른 단어인 "씹"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전에서 '씹'을 찾아보면, "성숙한 어른의 보지"라고 되어 있다. 

아니...같은 보지인데 왜 어른의 보지라고 했을까? 
여기에는 필시 뭔가 이유가 있을거야.... 
나는 이렇게 생각하며 이 책 저 책 뒤적거려 보았으나 도무지 해답을 찾을 길이 없었다... 

그러다 어느 한 순간.... 
다른 데서도 아닌 "씹"이라는 그 말 속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씹". 즉 "어른의 보지"로서의 역할이 무엇인가? 
그것은 남자의 정액을 받아 아이를 만드는 초입의 구실을 하는 것이다. 

즉, 남자의 씨를 받는 입구인 것이다... 
씨(種)의 입(口).... 
결국 "씹"은 "씨"와 "입"의 순수 우리말 복합어 였던 것이다. 
두 말을 붙여서 발음 해 보라.... 
 

씨입....씹.... 
씨의 입이라.... 
이 또한 아름답지 않은가? 
아름답다 못해 낭만적이지 않은가? 
몸의 일부일지언정 의인화 시켜서 생각하는 우리 조상들의 인본적인 자세.... 
왜 우리는 이 말을 터부시 해야 된단 말이냐?  



좆과 자지의 어원

이번에는 남자의 성기를 지칭하는 좆과 자지.... 
"좆"과 "자지"의 어근은 "잦"이다. 
그러므로 두 단어는 단지 모음의 차이일 뿐이며 같은 뜻의 단어이다. 
그런데 'ㅈ'은 'ㄷ'에서 변한 자음이다. 
따라서 "좆"과 "잦"은 "돋"과 "닫"이 조어가 된다. 
일본 유구어에서는 남자의 자지를 "다니(tani)라고 하는데, 어근 단(tan)은 닫(tat)이 조어가 된다. 
우리나라 말의 '닫'과 완전히 일치가 된다. 
이 닫의 원뜻은 "씨(種)"다. 
만주어에 "다림비(tarimbi, 씨를 뿌리다)"라는 말이 있는데, 어근 "달"이 씨의 뜻을 지니고 있으며 여기에서의 어근 "달"의 조어는 "닫"이다.
 
결국... 보지, 씹, 자지, 좆의 뜻은 한가지였던 것이다. 우리가 평소에 이런 우리 말을 쓰지 않으면 나중에 이 아름다운 뜻을 가진 말들은 모두 사라지게 되어 있다. 문화적 사대주의가 별게 아니다. 팝송을 부르고 일본만화를 밤새 보는게 사대주의가 아니라 좋은 우리말을 천시하고 내 팽개쳐 두는게 바로 문화적 사대주의인것이다.
오늘부터 과제물을 해 가거나 연구보고서를 제출할 때 당당하게 글로 쓰라. 또한 당신의 연인이나 배우자와 사랑을 속삭일 때 당당히 보지와 자지, 그리고 좆과 씹을 말해 보라. 모르긴 몰라도 둘의 사랑이 더욱 깊어질 것이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 안중근 / 동서양의 력사를 바꾼 권총 2015-04-04 0 7133
152 안중근 / 권총 / 탄알 2015-04-04 0 5448
151 곽말약, 그 배후... 2015-04-03 0 5742
150 백두산 화산 력사와 개념도 2015-04-03 0 6361
149 갑골문 / 곽말약 2015-04-02 0 4811
148 눈보건 전신 지압법 2015-04-02 0 6923
147 그때에도 역시 그랬지... 2015-04-01 0 4659
146 한반도 종교의 력사 2015-03-30 0 4346
145 연변작가협회 <공로상> 2015-03-30 0 4408
144 전라남도 광주 정률성 고향에서ㅡ 2015-03-30 0 4381
143 그때 그때 저랬던가ㅠ... 2015-03-30 0 4793
142 그때 그때 이랬던가ㅠ... 2015-03-30 0 5076
141 수석(壽石) 용어 2015-03-29 1 6888
140 추상화란?... 2015-03-29 0 6589
139 안중근의사 유언, 어머니의 편지 2015-03-28 0 6132
138 샹송이란? 2015-03-21 0 4906
137 두만강을 따라... 2015-03-17 0 5379
136 자랑스러운 고향사람 2015-03-17 0 4836
135 그 어느 한때는,ㅡㅡㅡ 2015-03-15 0 5281
134 <<그 어느 한때에는 그럴사한 일도 있었따아임껴...>>ㅡ한국 교보문고 서점 시집 홍보 2015-03-15 0 5515
133 껍데기는 가거라... 2015-03-15 0 4652
132 연변 사투리 (ㅇ) 2015-03-15 1 5265
131 유형문화재 보호하기!!! 2015-03-14 0 5371
130 재 복습하는 명언 모음 2015-03-08 0 6007
129 순 우리 말 어원을 찾아... 2015-03-08 0 4825
128 아빠, 엄마 어원 2015-03-08 1 4460
127 가장 아름다운 순 한글 말 2015-03-08 0 4994
126 순 한글 말 - <시나브로>의 뜻은? 2015-03-08 0 5798
125 아버지 어원 2015-03-07 0 4978
124 괴테 명언 모음 2015-03-07 0 5460
123 숫자로 살펴본 노벨상 110년 2015-03-05 0 4379
122 세계 문학 명저 100선 2015-03-04 1 7229
121 동의보감 67가지 2015-03-04 0 6112
120 책읽기 열가지 방법 2015-03-04 0 4034
119 생활지혜 2015-02-24 0 4660
118 보지 말가 볼가... 2015-02-24 0 4679
117 볼가 보지 말가... 2015-02-24 0 5201
116 잊혀진 어원찾기 11 2015-02-24 0 5929
115 잊혀진 어원찾기 10 2015-02-24 0 5449
114 잊혀진 어원찾기 9 2015-02-24 0 4880
‹처음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