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세상은 좋아보이는것뿐, 나쁘게 보이는것뿐...
2015년 09월 06일 21시 09분  조회:3815  추천:1  작성자: 죽림

<시작노트>

시인이란 이름으로

 

                                          심정자 시인

 

   詩를 쓴다는 것은 내게 더없는 행복이다. 혹여 왜 행복하냐고 묻는 사람이 있다면 기꺼이 말할 것이다. 생각을 문장으로 드러낼 수 있는 시인이란 이름에는 흙냄새와 들꽃 냄새가 나기 때문이라고. 시는 닫힌 마음을 열고 멀어졌던 것들 불러들여 가슴으로 품을 힘이 생기게 한다. 시는 마술처럼 황홀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나에게 시란 지지리 가난해서 애처로운 애인이다. 그것뿐만이 아니다. 들꽃에서 이는 작은 바람 한 점에서도 사랑을 노래하며 자연의 평화를 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들꽃의 향기로 글을 쓰고 한 점 바람에 사랑과 평화를 띄우는 것이 시인이다. 고통이 지나간 자리에서도 보석 같은 희망을 건져내는 것이 시인이다. 마음의 때를 씻어 내리는 언어의 발걸음 소리를 듣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냄새가 나는 시가 좋다. 나는 내 자신에게 ‘백치 아다다’ 임을 고백한다.

 

  새벽 산책하는 수봉산공원에는 기막히게 예쁜 정신이상인 여자 거지가 살고 있다. 겨울이 지나 봄이 되면 어김없이 이불 보따리를 옆구리에 낀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녀는 자주 만나는 얼굴에 대고 한마디 한다. “언니 나 김치 부침 좀 해줘! 먹고 싶어 죽겠다.” 어느 해는 “언니 나 감자 좀 쪄다 줘!” 한다. 사람 좋은 이들은 그런 말을 들으면 “쟤 또 임신했나 보다” 하면서 누구의 자식인지도 모르면서 해마다 임신하는 그녀를 위해 다음 날 음식을 해다가 먹이는 모습을 여러 해 보았다.

  나 역시 잉태하고 있는 詩語들, 달이 차도 나오지 않고 일년 삼백육십오일 품고 있는 것들만 있다. 마음이 급해질 때면 울컥울컥 곧 쏟아 낼 듯 하다가 죽고 마는 것들, 그러나 또 품을 수 있는 가슴이 있으니 행복하다. 깊숙이 들어와 자리 잡고 있는 이러저러한 종자들은 나를 늘 메슥거리게 한다. 건강한 놈으로 빨리 낳기를 바라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아 늘 멀미를 지병으로 달고 산다. 그래도 행복하다고 말을 할 수 있는 것은 역시 “백치 아다다”임이 확인되는 일이라 생각한다.

시집 <그리움의 무늬>에 실은 시 한편을 본다.

 

밤과 낮이 없다

아무데서나 부스럭거린다

허름한 담 모퉁이 으슥한 골목

아무 데서나 긁적인다

정적이든 동적이든

놓치지 않으려 받아 적는다

간첩으로 신고 당할지도 모른다

좋다

다 좋다 간첩이란 누명 써도

좋다

누명처럼

남기고

 

-「누명을 써도」전문

 

속이 메슥거리면 어떻고 늘 멀미를 하면 어떤가. 품고만 있어도 행복한 것을, 더구나 겨울을 건너 봄의 들녘에 닿아 시어를 잉태하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겠는가? 회춘으로 수태할 수 있음은 얼마나 큰 행운인가?

이 감사한 마음은 늘 다홍치마에 노랑 저고리를 입고 있다. 찰랑찰랑한 다홍치마 길이만큼 긴 새하얀 앞치마를 지어 입을 것이다. 바쁜 살림살이에 밥을 짓듯이 시어를 짓기 위한 앞치마, 햇살 좋은 날에는 앞치마에 풀을 먹여 다듬이질하련다. 하얗게 빛을 낸 앞치마를 내 생애가 다하는 날까지 입을 것이다. 하늘에서 우리 인간에게 내려준 정을, 그 정이란 것을 실어 나르고 싶다. 그런 글을 쓰고 싶다.

 

  이 세상은 그렇게 좋은 일도 그렇게 궂은일도 없다. 다만, 좋아 보이는 것뿐이고 나쁘게 보이는 것뿐이다. 얼마나 여유로운 세상의 이치인가. 감사한 일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83 풍유시로 사회를 고발한 백거이 2016-02-10 0 4257
1082 그 누구에게나 가슴속엔 詩가 가득듬뿍... 2016-02-10 0 5489
1081 묘비명 한졸가리 2016-02-10 0 4600
1080 남미주 칠레 민중시인 네루다를 다시 만나다 2016-02-09 0 4245
1079 詩人은 풍경속을 걷는 者 2016-02-08 0 4411
1078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02-08 0 4508
1077 <새해> 시모음 2016-02-08 0 4132
1076 <설날> 시모음 2016-02-08 0 4464
1075 동시는 童詩 2016-02-07 0 3904
1074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02-07 0 4682
1073 동시창작론 2016-02-07 1 4328
1072 동요창작론 2016-02-07 0 3904
1071 세계기행詩 쓰기 2016-02-06 0 4300
1070 소설가로만 알았던 포석 조명희, 시인으로 만나다... 2016-02-06 0 4940
1069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이용악 2016-02-06 0 4675
1068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오장환을 기리며 2016-02-06 0 4142
106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오장환 2016-02-05 0 4035
1066 산문시를 확실하게 알아보기 2016-02-05 1 5234
1065 참 재미있는 산문시 2016-02-05 0 4255
1064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02-05 0 4745
1063 산문시를 아십니까... 2016-02-05 0 4607
1062 詩창작의 최고의 교과서는 詩와 詩集 2016-02-05 0 4708
1061 散文詩이냐 산문(수필)이냐 2016-02-05 0 4213
1060 산문시 쓰기전 공부하기 2016-02-05 0 4956
1059 동시야 동시야 나와 놀자... 2016-02-05 0 4125
1058 우리도 산문시 써보자... 2016-02-05 0 4695
1057 산문시를 공부하기 2016-02-05 0 4158
1056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02-05 0 4629
1055 무감각해진 詩의 하체를 톡톡 건드려봅시다 2016-02-05 0 4992
1054 散文詩에 대하여 2016-02-05 0 6334
1053 은유에 관한 보고서 2016-02-05 0 4274
1052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2-05 0 4610
1051 풍경이 곧 시인의 재산 2016-02-03 0 4177
1050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02-03 0 4242
1049 詩의 언어운용에 관하여 2016-02-03 0 5467
1048 겁없이 쓰는 詩와 겁먹으며 씌여지는 詩 2016-02-03 0 4925
1047 태양아래 새로운 것 없다?!... 있다?!... 2016-02-03 0 4613
1046 生态詩 공부하기 2016-02-02 0 4220
1045 "생태시" 시론을 공부하고 생태시 쓰자... 2016-02-02 0 4042
1044 유교사회 조선시대 녀류시인들 2016-02-01 0 5229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