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난해함 대신 일상 파고드는 시쓰기...
2015년 12월 31일 02시 11분  조회:3208  추천:0  작성자: 죽림

내년 한국 문단에 새로운 피를 수혈할 2016 한국일보 신춘문예의 심사가 완료됐다. 올해 응모자는 총 1,637명.

 

예년(1,792명)에 비해 다소 줄어든 수치다. 부문별로는 시 703명, 소설 335명, 희곡 116명, 동화 186명, 동시 297명이 원고를 보내왔다.

시 부문에서는 소위 ‘미래파’ 시가 사라진 것이 특징으로 꼽혔다. 미래파 시는 2000년대 초반 몇몇 젊은 시인들이 선보인 길고 난해한 시에 붙여진 이름으로, 신춘문예에서도 한 동안 이런 시들이 유행처럼 돌았었다. 한 심사위원은 “일상에서 느낀 감정을 명확하게 표현하려는 시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반면 읽는 이를 헷갈리게 만드는 수수께끼 같은 시가 확실히 줄어 들었다”며 “미래파 시에 대한 피로도가 커지면서 시를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 모두 의식적으로 피한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등 사회참여적인 시도 별로 눈에 띄지 않았다.

소설 부문에서는 희망 없는 미래에 대한 개인의 좌절이 지배적 정서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한 심사위원은 “전통적으로 정리해고, 정년퇴직 등 삶의 고달픔을 소재로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이 많았는데, 올해는 비판까지 나가지 못하고 개인적 상실감에서 주저 앉아 버리는 경향이 컸다”며 “사회 분위기가 비관적이라 개인이 거기 갇혀 버린 듯한 느낌”이라고 평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년의 삶을 소재로 한 작품이 크게 늘어난 것도 눈에 띈다. 다른 심사위원은 “치매나 50대 이후의 성생활을 다룬 작품이 상당수였다”며 “젊고 발랄한 문체로 쓰인 것도 많아 앞으로 비슷한 작품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희곡 부문에서는 현 대학로 연극 흐름과 비슷하게 일상적 소재, 사소한 갈등에서 비롯된 다툼을 다룬 작품이 다수를 차지했다. 한 심사위원은 “사람에게 석고를 바르거나, 청년이 임신을 하는 등 극단적인 상황 설정이 많았다”며 “연극 소재로서는 눈에 띄지만 그런 극단적 상황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인물간의 관계나 극적인 상황 전개로 풀어야 하는데 배우들의 대사만으로 풀어냈다는 점은 아쉽다”고 평가했다.

동화 부문 응모작에는 학업 스트레스를 다룬 작품이 많았다. 엄마, 선생님 등의 캐릭터가 상투적이고 갈등을 풀어가는 방식에서 기시감이 느껴지는 게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한 심사위원은 “현실주의적 상상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회고나 단순한 의인화로 어른 작가의 관념을 계몽하는 작품이 많이 보였다”며 “이는 동화작가로서 경계할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작고 소외된 것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잃지 않고 작품 속에 녹여내려고 하는 태도는 비단 어린이들뿐 아니라 어려운 시기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큰 위로가 될 거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동시 부문은 신춘문예의 전형성에서 비껴난 작품이 많았으나 소재를 표현하는 방식에선 관습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 심사위원은 “말을 아낄 줄 모르는 시가 많았고 한 사람이 제출한 시라도 작품 간 편차가 큰 경우가 많았다”며 “동시도 엄연한 시라는 점을 잊지 말고 언어를 갈고 닦는 연습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동시를 쓸 때는 아이에게 동시를 베푸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아이가 돼서 동심을 담으려 노력해야 한다”는 당부도 더했다.

황수현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82 詩는 언어로 남과 더불어 사는 정서를 절규하는것... 2016-11-28 0 3418
1881 시인, 시, 그리고 미술... 2016-11-27 0 3539
1880 시인, 시, 그리고 경제... 2016-11-27 0 2925
1879 시인의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16-11-27 1 4717
1878 현대시를 이끈 시대의 대변인 영국시인 - T.S. 엘리엇 2016-11-27 0 4610
1877 "부부 시인"의 비극과 또 하나의 그림자 2016-11-26 1 5004
1876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16-11-26 0 4550
1875 독일 시인 - 롤프 디터 브링크만 2016-11-26 0 3477
1874 권총으로 자살한 구쏘련 시인 - 마야꼬프스끼 2016-11-26 0 3737
1873 20세기 러시아 최대 서정시인 - 안나 아흐마또바 2016-11-26 0 2912
1872 20세기 러시아 최대의 시인 - 오시쁘 만젤쉬땀 2016-11-26 1 3251
1871 상상하라, 당신의 심원한 일부와 함께 비상하라... 2016-11-26 0 2649
1870 세계문학상에서 가장 짧은 형태의 시 - "하이쿠" 2016-11-26 0 3412
1869 詩의 탄생 = 人의 출생 2016-11-26 0 2944
1868 실험적 詩는 아직도 어둠의 아방궁전에서 자라고 있다... 2016-11-26 0 3210
1867 詩가 무엇이길래 예전에도 지금도 실험에 또 실험이냐... 2016-11-26 0 3887
1866 詩는 독자들에게 읽는 즐거움을 주어야... 2016-11-26 0 2787
1865 詩를 더불어 사는 삶쪽에 력점을 두고 써라... 2016-11-26 0 2957
1864 詩人은 명확하고 힘있게 말하는 사람... 2016-11-26 0 2956
1863 詩를 발랄한 유머와 역설의 언어로 재미있게 읽히는 시로 써라... 2016-11-26 0 3205
1862 캐나다계 미국 시인 - 마크 스트랜드 2016-11-22 0 4516
1861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로스케 2016-11-22 1 5301
1860 러시아계 미국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6-11-22 0 4019
1859 詩란 마음 비우기로 언어 세우기이다... 2016-11-22 0 3206
1858 자연속의 삶을 노래한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1-21 0 5503
1857 풍자시란 삶의 그라프를 조각하여 통쾌함을 나타내는 시... 2016-11-21 0 3101
1856 미국 재즈 시의 초기 혁신자 中 시인 - 랭스턴 휴스 2016-11-20 0 4416
1855 락서는 詩作의 始初에도 못미치는 망동... 2016-11-19 0 2892
1854 인기나 명성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신의 색갈을 고집한 예술가 2016-11-18 0 4413
1853 카나다 음유시인 - 레너드 노먼 코언 2016-11-18 0 4524
1852 령혼 + 동료 = ...삶의 그라프 2016-11-18 0 2856
1851 김영건 / 박춘월 2016-11-18 0 2711
1850 詩作의 첫번째 비결은 껄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쓰는것... 2016-11-18 0 3322
1849 詩作할때 "수사법" 자알 잘 리용할줄 알아야... 2016-11-16 1 4142
1848 詩人은 "꽃말"의 상징성을 발견할줄 알아야... 2016-11-15 0 2916
1847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11-15 0 2892
1846 고 김정호 / 허동식 2016-11-15 0 2969
1845 윤청남 / 허동식 2016-11-15 0 2903
1844 詩를 제발 오독(誤讀)하지 말자... 2016-11-15 0 3037
1843 "님의 침묵"이냐?... "情人의 침묵"이냐?... 2016-11-14 0 3203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