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년 03월 07일 22시 33분  조회:3501  추천:0  작성자: 죽림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연설에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이렇게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시어의 세계에서는
그 어느 것 하나도 평범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 어떤 바위도, 그리고 그 위를 유유히 흘러가는 그 어떤 구름도. 그 어떤 날도.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그 어떤 밤도.
아니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도.
이것이야말로 시인들은 언제 어디서든 할 일이 많다는,
그런 의미가 아닐는지요.”

나는 단어를 찾는다.
비스와바 쉼보르스카(1923~2012),
그를 한마디로 표현할 단어를 찾는다.
어느 것도 충분하지 못하다.
가장 요긴한 말은 쓸데없고,
가장 뜨거운 말은 너무 미지근하다.

1945년 ‘나는 단어를 찾는다’로 데뷔한 폴란드 시인은 그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가장 용감한 말은 비겁하고/
가장 경멸적인 말은 여전히 성스럽다/
가장 잔인한 말은 너무나 동정적이고/
가장 적대적인 말은 너무나 약하다//
그 말은 화산 같아야 한다/
격동하고, 솟구치고, 힘차게 쏟아져 내려야 한다”.

노벨문학상(1996년) 수상 때 “모차르트의 음악같이 잘 다듬어진 구조에, 베토벤의 음악처럼 냉철한 사유 속에서 뜨겁게 폭발하는 그 무엇을 겸비했다”(스웨덴 한림원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연설문 중)는 찬사를 받자 “진정한 시인이라면 ‘나는 모르겠어’를 되풀이해야 한다”고 되뇌었던 시인의 유고시집 ‘충분하다’가 번역 출간됐다. 한국어판에는 생전 펴낸 마지막 시집 ‘여기’에 실린 시가 더해졌다.

쉼보르스카가 눈을 감기 전 완성한 시는 13편이다. 고민과 첨삭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미완성 시 원고가 또 6편 있었다. 이를 합치고 동료이자 편집자인 리샤르드 크리니츠키의 편집후기를 붙인 ‘충분하다’가 나오자 폴란드 언론들은 ‘유고시집’ 대신 ‘신간시집’이라는 말로 그에게 애정을 표시했다.

‘충분하다’의 시어들은 초창기만큼이나 꾸밈없고 명징하다. 문장은 가볍고 투명한데도 묵직한 힘으로 존재의 본질을, 생의 이면을, 문명의 폐단을 떠올리게 한다.

“다른 곳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
하지만 여기 지구에서는 모든 것이 꽤나 풍요로워/
여기서 사람들은 의자와 슬픔을 제조하지//
(…)여기서 무지(無知)는 과로로 뻗어버렸어.
끊임없이 뭔가를 계산하고, 비교하고, 측정하면서/
결론과 근본적 원리를 추출해내느라.”(‘여기’ 중)

일상을 읊다 불쑥 폭력, 전쟁 등의 테마를 눈 앞에 가져와 뇌를 식히는 문장도 여전하다. 1993년 ‘끝과 시작’이후 쉼보르스카가 이런 주제를 시 속에 언급한 일은 드물다고 한다. 그는 사슬에 묶인 채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개의 모습에서 인간을 향한 억압을, 거리에 남은 시위의 흔적을 보며 폴란드 사회의 현 주소를 본다.

“무더운 여름날, 개집, 그리고 사슬에 묶인 개 한 마리/
불과 몇 발자국 건너, 물이 가득 담긴 바가지가 놓여 있다/
하지만 사슬이 너무 짧아 도저히 닿질 못한다/
이 그림에 한 가지 항목을 덧붙여보자/
훨씬 더 길지만/
육안으로는 보기 힘든 우리의 사슬,
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게 서로를 지나칠 수 있다.”(‘사슬’전문)

‘두 번은 없다’며 유한성 앞에 겸허했던 그는 죽음 앞에서도 초연하고 담담하다.

“어쨌든 나는 돌아가야만 한다/
내 시의 유일한 자양분은 그리움/
그리워하려면 멀리 있어야 하므로” (미완성 원고 부분)
있는 힘을 다해 단어를, 문장을 갈구해 온 그가 택한 마지막 시어는 소소하지만 더할 나위 없이 충분했다.

김혜영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83 풍유시로 사회를 고발한 백거이 2016-02-10 0 4241
1082 그 누구에게나 가슴속엔 詩가 가득듬뿍... 2016-02-10 0 5469
1081 묘비명 한졸가리 2016-02-10 0 4590
1080 남미주 칠레 민중시인 네루다를 다시 만나다 2016-02-09 0 4225
1079 詩人은 풍경속을 걷는 者 2016-02-08 0 4380
1078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02-08 0 4500
1077 <새해> 시모음 2016-02-08 0 4126
1076 <설날> 시모음 2016-02-08 0 4436
1075 동시는 童詩 2016-02-07 0 3898
1074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02-07 0 4656
1073 동시창작론 2016-02-07 1 4319
1072 동요창작론 2016-02-07 0 3892
1071 세계기행詩 쓰기 2016-02-06 0 4280
1070 소설가로만 알았던 포석 조명희, 시인으로 만나다... 2016-02-06 0 4927
1069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이용악 2016-02-06 0 4639
1068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오장환을 기리며 2016-02-06 0 4125
106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오장환 2016-02-05 0 4026
1066 산문시를 확실하게 알아보기 2016-02-05 1 5211
1065 참 재미있는 산문시 2016-02-05 0 4247
1064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02-05 0 4730
1063 산문시를 아십니까... 2016-02-05 0 4573
1062 詩창작의 최고의 교과서는 詩와 詩集 2016-02-05 0 4703
1061 散文詩이냐 산문(수필)이냐 2016-02-05 0 4175
1060 산문시 쓰기전 공부하기 2016-02-05 0 4934
1059 동시야 동시야 나와 놀자... 2016-02-05 0 4114
1058 우리도 산문시 써보자... 2016-02-05 0 4680
1057 산문시를 공부하기 2016-02-05 0 4157
1056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02-05 0 4607
1055 무감각해진 詩의 하체를 톡톡 건드려봅시다 2016-02-05 0 4972
1054 散文詩에 대하여 2016-02-05 0 6277
1053 은유에 관한 보고서 2016-02-05 0 4252
1052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2-05 0 4594
1051 풍경이 곧 시인의 재산 2016-02-03 0 4162
1050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02-03 0 4237
1049 詩의 언어운용에 관하여 2016-02-03 0 5437
1048 겁없이 쓰는 詩와 겁먹으며 씌여지는 詩 2016-02-03 0 4920
1047 태양아래 새로운 것 없다?!... 있다?!... 2016-02-03 0 4605
1046 生态詩 공부하기 2016-02-02 0 4211
1045 "생태시" 시론을 공부하고 생태시 쓰자... 2016-02-02 0 4015
1044 유교사회 조선시대 녀류시인들 2016-02-01 0 5222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