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란 사라진 길을 찾는 광란이다....
2016년 10월 01일 18시 09분  조회:4172  추천:0  작성자: 죽림
[5강] 시의 구조-행과 연.3 


6)평서형문장으로 시의 첫 행을 시작하는 경우. 

이 평서형 문장은 시의 의미나 시인의 개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그의 형태야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주어가 생략이 되버리거나 
혹은 일인칭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사람이 아닌 
명사가 주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서 박노해님의 <월요일 아침>을 예문으로 들 
어 보겠습니다. 

월요일 아침이면 나는 우울하다 
찌부둥한 몸뚱이 무거웁고 
축축한 내 영혼 몹시 아프다 
산다는 것이 허망해지는 날 
일터와 거리와 이 거대한 도시가 
낯선 두려움으로 덮쳐누르는 날 
월요일 아침이면 나는 병을 앓는다 
날카로운 호루라기 소리로 나를 일으키는 
먹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 이 엄중함 
나는 무거운 몸을 어기적거리며 
한 컵의 냉수를 빈 속에 흘러보낸다 
푸르름 녹슬어가도록 아직 맛보지 못한 
상쾌한 아침, 생기찬 의욕, 울컥이면서 
우울한 월요일 아침 나는 또다시 
생존 행진곡에 몸을 던져 놓는다 

이 시는 작가가 시의 첫 행에 일인칭 주어인 
'나'가 나오는 예로 들었지만 여기에서 주어 
가 생략된다고 해도 그 의미 전달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겠지요. 하지만 여러분께서 '나'란 
주어를 생략하고 한 번 읽어보십시오. 그러면 
그 주어의 생략으로 인해서 시적 분위기나 
화자의 태도 등은 상당히 다르게 인식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결국은 이 자리에 '나'라는 주어 
를 놓음으로써 다른 사람과 차별돠는 오직 자신 
만의 삶의 모습이 확실하고 뚜렷하게 부각될 것 
이며 그럼으로써 그의 언술이 보다 솔직하고 
진실성 있게 느껴질 것입니다. 주어인 '나'를 
시인이 사용함으로써 거짖없는 독백의 어조가 
독자의 마음을 사로 잡을듯 강하게 어필될 것 
입니다. 

다음에는 주어가 사람이 아니고 사물이 오는 경 
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오장환님의 <북방의 길>입니다 

눈 덮인 철로는 더욱 싸늘하였다 
소반 귀퉁이 옆에 앉은 농군에게서는 송아지의 냄새가 난다 
힘없이 웃으면서 차만 타면 북으로 간다고 
어린애는 운다 철마구리 울 듯 
차창이 고향을 지워버린다 
어린애가 유리창을 쥐어뜯으며 몸부림친다 

두 예문을 올려드렸지만 
평서형의 문장이 시의 첫 행으로 오는 경우는 
특정한 사람의 이름이나 구체적 사물의 이름, 
관념어들이 오는 예가 훨씬 많습니다. 이제 
여러분들도 시를 읽으면 
평서문이 나오는 경우에 그 주어들을 살펴보면 
재미가 있을 것입니다. 

김명리님의 <배밭 속의 길>을 올립니다. 

枯死(고사)된 배나무밭 사이로 길은 사라지고 없다 
이미 반 년도 넘게 한쪽 옆구리가 기우뚱한 
적산 가옥이 한 채. 
한 겹의 얇은 슬레이트로 
내려앉으려는 하늘을 간신히 
떠받들고 있다 
떠나가고 없는 사람들 
죽은 나뭇가지에 
여전히 매달려 있는 죽은 배나무 잎사귀들 
쿵, 쿵쿵쿵 
한 때는 저 잘 익은 먹골배의 씨방 속에 
한 종지의 설탕물처럼 제법 흥건히 깃들었을 
두근거림 따위는 
이제 완전히 사라지고 없는 것이다 
누구든지 후려칠 기세로 
앙상하게 배배 틀린 회초리 같은 배나무들 
아직은 한 사나흘 더 
죽은 나뭇가지에 악착같이 
매달려 있는 죽은 배나무들의 잎사귀들! 

이 시를 해설한 이광호님은 
-시는 "길은 사라지고 없다"는 묘사로 시작되는데 
우리는 마치 어떤 존재의 길들을 본 것만 같다고 
했습니다. 여기서의 주어는 길이란 것은 여러분도 
잘 아시는 것입니다. 
다음엔 제3인칭인 경우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김상미님의 <사랑>을 보실까요? 

그는 남쪽에 있다 
남쪽 창을 열어놓고 있으면 
그가 보인다 

나는 젖혀진다 
남쪽으로 남쪽으로 젖혀진 내 목에서 
붉은 꽃들이 피어난다 
붉은 꽃들은 피어나면서 사방으로 퍼진다 
그의 힘이다 

그는 남쪽에 있다 
그에게로 가는 수많은 작은 길들이 
내 몸으로 들어온다 
몸에 난 길을 닦는 건 사랑이다 
붉은 꽃들이 그 길을 덮는다 
새와 바람과 짐승들이 그 위를 지나다닌다 
시작과 끝은 어디에도 없다 

그는 남쪽에 있다 

우리가 배우는 주제와는 관계없지만 이왕 시를 읽 
으셨으니 이남호님의 해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김상미의 사랑 노래는 단순하면서도 아름답고 절 
실하다. 사랑하는 사람은 남쪽에 있다. 이때 남쪽 
은 단순한 방향이 아니라, 따뜻한 곳, 생명의 근 
원인 곳이다. 그곳으로부터 생명을 얻어 화자는 꽃 
핀다. 화자는 남쪽으로 젖혀지는 붉은 꽃이다.그 
것으로도 모자라서 화자는 <그에게로 가는 수많은 
작은 길들이/내 몸으로 들어온다>고 말하고, 그 
길을 닦고 또 꽃으로 장식한다. 그리고 그 길 위로 
새와 바람과 짐승들처럼 화자의 그리움은 지나다 
닌다. 

7)비유로써 첫 행을 시작할 수가 있습니다. 
이미 배우신 바와 같이 비유는 낯설게 하는 장치 
등을 통해서 우리들의 일상적인 고정관념을 깨뜨 
려 충격을 주기 때문에 독자들의 관심을 불러이르 
키는데 크게 기여를 합니다. 

유용주님의 <매운탕>을 읽어보겠습니다. 

도시는 거대한 솥, 
펄펄 끓는다 
반짝이며 수없이 떠오르는 고기떼들 
썩은 고기들의 끝없는 악취 
그래도 매운탕엔 향기가 나야 제맛이지 
깻잎과 미나리와 쑥갓을 듬뿍 넣고 
소주 한잔 카아악! 

어디에선가 무지막지한 큰 손이 
자꾸만 장작을 가져와 불을 지핀다. 

여러분은 물론이고 이 시를 읽는 독자들이면 
누구나 당돌한 이 시의 첫 행에 관심을 가지고 
다음 구절을 읽고 싶어질 것입니다. 
이렇듯 비유를 첫 행에 씀으로써 독자들에게 
긴장감을 느끼게 하며, 시 속으로 빠져들어가게 
하는 것을 알 수가 있을 것입니다. 

박형준님의 <저녁별>을 읽어보겠습니다. 

작은 창을 두드리고 간 얼룩들. 
물 빠진 담벼락에 기댄 
꽃대가 허공에 밀어올리고 있다. 
누구나 하나씩은 
흘려보낸 바구니. 

작은 창에 
저녁별 들어와 
그 환함이 오래오래 
한 자리에 앉아 있게 할 때. 
먼 세상의 내륙에 가 닿아 
갈대밭에서 우는 새들. 

바구니에 담긴 
가엾은 아이 
소금처럼 단단해져 꽃대 위 머문다. 

비유와 이미지가 살아있는 시입니다. 
첫 행이 비유인 예로 올렸습니다. 
오늘은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 
가능하면 예시를 많이 올려 여러분들이 
시를 많이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시를 공부하다가 막히면 
옛날 강의를 다시 한번 경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제 강의실에 들어가서 여러분의 입장으로 
강의를 들어보았습니다. 
쉽게 한다고 하지만 여전히 딱딱하고 어려운 부 
분이 많았으며, 오자가 가끔 발견되어서 미안했 
습니다. 그러나 몇 번이고 반복해서 공부하면 
그렇게 어렵게 생각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아마 열심히 공부하신 분들은 지금쯤 더러 저보다 
앞 서 가는 분도 계시리라 믿습니다. 

이 번 강의의 특징은 강의 말미에 따로 최근에 
발표된 시 중 좋은 시 한 두 편을 올린다는 것 
입니다. 
그 날 강의한 주제와는 특별한 상관이 없더라도 
좋은 작품 읽기의 일환이니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김선우님의 <물로 빚어진 사람>을 올립니다. 

월경 때가 가까워 오면 
내 몸에서 바다 냄새가 나네 

깊은 우물 속에서 계수나무가 흘러나오고 
사랑을 나눈 달팽이 한 쌍이 흘러나오고 
재 될 날개 굽이치며 불새가 흘러나오고 
내 속에서 흘러나온 것들의 발등엔 
늘 조금씩 바다 비린내가 묻어 있네 

무릎베개를 괴어 주면 엄마의 몸냄새가 
유독 물큰한 갯내음이던 밤마다 
왜 그토록 조갈증을 내며 뒷산 아카시아 
희디흰 꽃타래들이 흔들리곤 했는지 
푸른 등을 반짝이던 사막의 물고기 때가 
폭풍처럼 밤하늘로 헤엄쳐 오곤 했는지 

알 것 같네 어머니는 물로 빚어진 사람 
가뭄이 심한 해가 오면 흰 무명에 붉은, 
월경 자국 선명한 개짐으로 깃발을 만들어 
기우제를 올렸다는 옛이야기를 알 것 같네 
저의 몸에서 퍼올린 즙으로 비를 만든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들의 이야기 

월경 때가 가까워 오면 
바다 냄새로 달이 가득해지네 

이 시에 대한 남진우 님의 해설도 곁들입니다. 
"달과 여인과 바다. 이 이미지의 연상망은 원형적인 
만큼이나 상투적인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시인은 
이를 기계적이고 작위적으로 연결시켜 놓지 않고 
구체적이고 토속적인 상황 설정을 통해 제시함으로 
써 설드력을 얻고 있다. 여인의 몸은 바다의 조류가 
넘나들고 달이 운행하는 우주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그것은 모든 것이 흘러 나오는 무한한 생산성을 약 
속한다. 여인의 몸에서 <퍼올린 즙>이 비가 되어 
내린다는 발상 속에는 풍요를 기원하는 대지모신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시인의 시가 지닌 건강성은 
요즘 젊은 시인들의 시에서 보기 힘든 에너지를 
과시하고 있다." 

시를 참 잘 썼습니다. 
몇 번씩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평안한 하루 보내시구요. 
내일 뵙겠습니다. 

 

==============================================

 

 

장독 하나 묻어 두고 
―이연희(1973∼ )

앵두나무 그늘 아래 장독대를 생각한다
이른 아침 커다란 독 뚜껑을 다른 장독 위에 올려놓고
고추장 몇 숟가락 탁탁 소리 나게 퍼 담던
굵은 손마디
찬바람 속에서 한 해 먹을 고추장을 담그며
말하지 못한 속내를 어머니는
장독 속에 묻었다

새빨간 고추장에 싹싹 비빈 밥을 입속에 퍼 넣을 때
할머니와 아버지 언니와 나는
흔적 없이 잘 삭은 어머니 속내를 먹었다
더러는 짜고 더러는 매웠던
소리 내지 않는 한 시절을
온가족이 골고루 나누어 먹었다

푸른 잎 사이에서 소리 없이 앵두가 익어가던
장독대의 봄날처럼
베란다 창 안으로 쏟아지는 햇빛
덜 삭은 마음들이 맵고 짠 맛을 내며
가슴에서 밀려올 때
붉고 따뜻한 몸 안의 길을 따라
늙은 어머니는 오늘도 나를 다녀가신다


화자는 젊은 주부일 테다. 어쩌면 늙은 어머니가 담가 보냈을 그의 집 고추장이 냉장고에 있을 테다. 장독 항아리 같은 건 까마득히 잊고 살았을 화자가 화분 몇 개 놓여 있을 베란다에서 창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햇빛을 받으며 ‘푸른 잎 사이에서 소리 없이 앵두가 익어가던/장독대의 봄날’을 떠올린다. ‘앵두나무 그늘 아래 장독대’에서 ‘이른 아침 커다란 독 뚜껑을 다른 장독 위에 올려놓고/고추장 몇 숟가락 탁탁 소리 나게 퍼 담던’ 어머니를 생각한다. 그 시절 어머니의 ‘말하지 못한 속내’를 비로소, 사무치게 알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화자의 마음이 시리고 아픈 것이다. 

 

 

어머니는 소금과 고춧가루를 들이부은 것 같았을 그 마음을 잘도 삭히셨군요. 썩히지 않고 삭혀서 시어머니와 남편과 아이들에게 맛있게 먹이셨군요. 그렇게 우리 식구를 지키셨던 거군요. 저도 그럴 수 있을까요? 내 마음이 이렇게 맵고 짠 건 덜 삭혀서일까요? 어머니와 딸은 용모와 표정뿐 아니라 성정도 닮을 테다. 고추장처럼 ‘붉고 따뜻한 몸 안의 길을 따라/늙은 어머니는 오늘도 나를 다녀가신다’.

안온한 삶의 껍질이 갑자기 벗겨진 듯한 화자의 마음이 고즈넉하게 와 닿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03 詩人은 풀잎같은 존재이다... 2016-10-01 0 4164
1602 詩는 늘 등뒤에서 울고지고... 2016-10-01 0 4130
1601 詩속에는 시작과 시간이 흐른다... 2016-10-01 0 3522
1600 詩는 피해자와 비피해자의 그림자 2016-10-01 0 3843
1599 詩는 "어떤 음계에서"의 암시투성이다... 2016-10-01 0 4382
1598 80년대이래 중국 詩歌 관련하여 2016-10-01 0 3623
1597 연변이 낳은 걸출한 서정시인 ㅡ 윤동주 2016-09-30 0 4168
1596 나는 사람이 아니고 개다... 2016-09-29 0 3964
1595 중국 조선족 시인 시묶음 2016-08-25 0 5743
1594 詩리론은 쉬운것, 아리송한것, 어려운것들의 따위... 2016-08-24 0 4404
1593 詩창작은 곧 "자기표현"이다... 2016-08-24 0 4508
1592 詩는 "어떤 음계에서"의 암시투성이다... 2016-08-22 0 4115
1591 詩적 장치속에 상징이라는 눔이 있다는것... 2016-08-22 0 4071
1590 詩는 <<그저 그런...>>것, 젠장칠,ㅡ ... 2016-08-22 0 4080
1589 정지용 시인과 향수 2016-08-18 0 3784
1588 詩作을 할때 위장술(아이러니)을 변덕스럽게 사용하라... 2016-08-18 0 4324
1587 詩作할때 <<...것들>>로 잘 장식하라... 2016-08-17 0 4192
1586 詩作을 할때 살아있는 은유를 포획하라... 2016-08-16 0 4599
1585 詩人은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는 련금사... 2016-08-12 0 4762
1584 詩作을 할때 죽은 비유를 멀리하고 배척하라... 2016-08-11 0 4198
1583 詩作에서 어려운 리론은 잊어버리고 새로운 싹을 티우라... 2016-08-10 0 4569
1582 인습적인것들을 사용하면 좋은 詩가 될수 없다... 2016-08-09 0 4485
1581 좋은 詩들을 많이 읽고, 詩를 쓰고 싶은대로 쓰라... 2016-08-08 0 4212
1580 83세의 한국 아동문학가 - 신현득 童心에 살다... 2016-08-04 0 4062
1579 복습, 예습하는 詩공부하기... 2016-08-04 0 4017
1578 밤중에만 詩공부하는 눔이라구라... 2016-08-04 0 3951
1577 재다시 현대시 공부하기... 2016-08-04 0 4331
1576 다시 詩공부합니다... 2016-08-04 0 3848
1575 詩作하는데는 시험도 숙제도 없다... 2016-08-04 0 3918
1574 詩에서 작은 이미지 하나로 시전체분위기를 만들라... 2016-08-04 0 4101
1573 詩人은 이미지에게 일을 시킬줄 알아야... 2016-08-02 0 3791
1572 詩人의 상상력에 의해 그려진 언어의 그림 곧 이미지이다... 2016-08-01 0 4212
1571 詩는 말하는 그림, 그림은 말없는 詩... 2016-08-01 0 3934
1570 검정 망아지가 큰 검정 馬(말)인 韓春을 그리다... 2016-07-30 0 3877
1569 한국 현대시 100년을 빛낸 시집 5권 2016-07-29 1 4921
1568 한국문학 100년을 빛낸 기념비적 작품들 2016-07-29 0 3895
1567 한국 현대시 100년을 돌아보다... 2016-07-29 0 5924
1566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李陸史 2016-07-29 0 4621
1565 한국 시인 중국 기행 시모음/중국 현대시 개요 2016-07-29 0 4681
1564 詩의 생명이며 극치는 곧 이미지이다... 2016-07-29 0 3557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