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20세기를 기록한 명저서 100
2016년 10월 16일 18시 01분  조회:3674  추천:0  작성자: 죽림

[20세기를 기록한 책 100권]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성의 정치학'까지 20세기가 저물었다. 지난 세기는 인류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격랑의 연속이었다.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컴퓨터 혁명을 낳았고, 이 혁명의 적자인 인터넷은 지구촌을 촘촘한 그물로 뒤덮었다. 과학기술의 어두운 면도 남김없이 드러났다. 대량살상무기 앞에서 인류는 종이 멸망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었다. 파시즘의 발호는 `이성의 인간'을 잔인한 살륙의 짐승으로 떨어뜨리기도 했다. 사회주의 실험은 한때 인류의 희망이었으나, 한 세기를 견디지 못하고 주저앉았다. 그러는 중에도 인간은 좀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반성하고 모색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그 모든 기억은 책으로 남았다. 책은 인류의 희망과 절망, 열정과 좌절을 고스란히 문자로 담았다. <한겨레> 문화부는 지난 한 세기를 특징짓는 책 100권을 골라 소략하게 한 시대를 스케치한다. 책 선정은 영국의 서평지 <로고스>, 일간지 <더 타임스> <뉴욕타임스>, 국내 서평지 <출판저널> 등의 도움을 받아 자체 기준을 더해 이루어졌음을 밝힌다. ▶편집자 주 

<<문학>> 

세기의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영화와 컴퓨터 등에 밀리는 느낌은 있었지만, 20세기 전체를 놓고 볼 때 문학은 역시 주도적인 장르였다고 할 수 있다. 프랑스와 독일, 러시아 등 풍부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나라에서도 역작이 나왔지만, 특히 영국과 미국 등 영어권 국가에서 주요한 작품이 출현했다. 조이스의 <율리시즈>와 엘리어트의 <황무지>, 그리고 울프의 <등대로>와 함께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모더니즘이라는 새로운 창작 방법을 시대의 주류로 만들었다. 

로렌스의 <아들과 연인>과 나보코프의 <롤리타>는 성이라는 주제를 세기의 화두로 부각시켰으며, 스타인벡의 <분노의 포도>와 브레히트의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라이트의 <토박이>, 아체베의 <무너져 내린다>는 저항문학의 전통을 이어 갔다. 카프카의 <심판>과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카뮈의 <이방인> 등이 삶의 부조리에 눈을 돌렸다면,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와 오웰의 <1984년>은 미래에 대한 어두운 전망을 내놓았다. 

말로의 <인간의 조건>, 헤밍웨이의 <무기여 잘 있거라>, 레마르크의 <서부전선 이상 없다>, 조셉 헬러의 <캐치 22>는 20세기가 무엇보다도 전쟁의 세기였으며, 20세기 인간의 조건은 전쟁과 죽음이라는 실존적 문제였음을 웅변했다. 

오닐의 <밤으로의 긴 여로>는 테네시 윌리엄스나 아서 밀러의 작품들과 함께 영어 희곡의 르네상스를 일구었으며, 만의 <마의 산>과 그라스의 <양철북>, 파스테르나크의 <의사 지바고>와 솔제니친의 <수용소 군도>는 각각 독일과 러시아 문학의 전통을 계승했다. 

케루악의 <길 위에서>가 히피로 대표되는 새로운 세대의 출현을 알렸다면, 루쉰의 <아큐정전>과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 루시디의 <악마의 시>는 `변방'의 목소리를 `중심'을 향해 타전했다. 에코의 <장미의 이름>과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이념과 독점적 진리의 해체라는 세기말 시대정신의 소설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인문>> 

20세기 인류의 정신은 프로이트와 함께 열렸다. 1900년 태어난 <꿈의 해석>은 인간이 의식의 존재임과 동시에 무의식의 존재임을 `폭로'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의식이란 기껏해야 무의식의 바다에 떠 있는 섬에 지나지 않았다. 자기 안에 스스로 제어할 수 없는 또다른 자기가 있다는 깨달음은 인류를 혼란에 빠뜨렸다. 지성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프로이트는 생략할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소쉬르의 <일반언어학강의>는 거대한 폭약을 내장한 지적 폭발물이었다. 언어가 기표와 기의의 임의적인 결합일 뿐이라는 지적, 기표들의 자율적인 체계야말로 언어의 본질이라는 지적은 언어학을 넘어 인문학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구조주의는 소쉬르를 태반으로 삼아 자라난 20세기적 사유의 한 정점이었다. 레비-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는 인류학의 영역에서 `구조'를 드러낸 본격 저작이었다. 구조주의적 사유의 물결은 푸코의 <말과 사물>로, 푸코가 “20세기는 들뢰즈의 세기로 기록될 것”이라고 토로하게 만든 들뢰즈와 가타리의 <앙티오이디푸스>로 이어졌다. 

프랑스에서 `구조주의'가 잉태될 무렵 독일에서 후설은 `현상학'을 탄생시켰다. 현상학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를 통해 실존주의라는 또다른 20세기적 풍경을 착색했다. 마르크스주의는 독일에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으로 이어졌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 마르쿠제의 <이성과 혁명>, 프롬의 <소유냐 삶이냐>,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 하버마스의 <소통행위이론>은 비판이론의 토양에서 자란 다채로운 꽃이었다. 그 한편에서 루카치는 사회주의혁명의 열정으로 <역사와 계급의식>을 썼고, 포퍼는 모든 형태의 전체주의에 대항해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을 썼으며, 보부아르는 <제2의 성>으로 여성해방의 횃불을 올렸다. 서양이 이렇게 격동할 때 동양에선 펑유란이 <중국철학사>를, 라다크리슈난이 <인도철학사>를 각각 지성의 전당에 들였다. 

<<사회>> 

사회주의 체제의 성립은 20세기 사건의 맨 윗자리에 놓일 격변이다. 그 선두에 러시아의 혁명가 레닌이 있었다. 그가 32살에 내놓은 <무엇을 할 것인가>는 혁명가라면 놓아선 안 될 필독서였다. 그람시는 감옥 안에서 쓴 <옥중수고>로 자본주의 국가체제가 안정된 상황에서 혁명의 가능성과 방략을 제시했다. 베버가 프로테스탄트 윤리에서 자본축적의 정신적 동력을 발견한(<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자본주의는 위기를 겪었으나 수정주의라는 형태로 살아남아 번창했다. 케인스의 <고용·이자·화폐 일반이론>은 그 계기가 된 저작이었다. 그보다 먼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자본주의적 노동통제방법을 과학의 이름으로 제출했다. 자본주의는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내부의 모순을 완화시키려 했다(베버리지의 <사회보장과 관련 서비스>). 밀레트의 <성의 정치학>에 이르러 여성해방의 목소리는 한층 날카로워졌고, 킨지의 <남성의 성행위>는 음지의 성을 양지로 끌어냈다. 

<<과학·예술·기타>> 

20세기만큼 과학기술이 우리의 일상을 지배한 적은 일찍이 없었다. 아인슈타인은 과학혁명의 중심이자 극점이었다. <상대성원리>는 250년간 부동의 진리였던 뉴튼의 역학적 세계관을 뒤엎었다. 시간과 공간은 더이상 불변의 좌표가 되지 못했다. 쿤은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과학적 세계관의 단절적 변화를 `패러다임'이라는 개념에 담아냈다. 러브록의 <가이아>는 환경과 생태에 대한 관심의 힘을 받아 과학의 영역으로 입장했다. 호킹은 <시간과 역사>에서 천체물리학의 최신이론을 소개했다. 

20세기는 간간이 위인을 낳기도 했다. 현대의 성자 간디는 <자서전>에서 비폭력과 관용의 정신을, 말콤 엑스는 이슬람교에 기반한 흑인해방의 이념을, 남아공의 흑인 영웅 만델라는 피부색이 차별의 근거가 될 수 없음을 설파했다. 히틀러는 <나의 투쟁>에서 장차 유럽을 피로 물들일 광기의 집념을 피력했다.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는 서양의 예술 역사를 알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고전으로 자리잡았다.


20세기의 명저 100선 


Ⅰ.문학 

1.로렌스/아들과 연인/1913 

2.루쉰/아큐정전/1921 

3.엘리어트/황무지/1922 

4.제임스 조이스/율리시즈/1922 

5.토마스 만/마의 산/1924 

6.카프카/심판/1925(?) 

7.프루스트/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27 

8.버지니아 울프/등대로/1927 

9.헤밍웨이/무기여 잘 있거라/1929 

10.레마르크/서부전선 이상 없다/1929 

11.올더스 헉슬리/멋진 신세계/1932 

12.앙드레 말로/인간의 조건/1933 

13.스타인벡/분노의 포도/1939 

14.리처드 라이트/토박이/1940 

15.브레히트/억척어멈과 그 자식들/1941 

16.카뮈/이방인/1942 

17.조지 오웰/1984/1948 

18.사뮈엘 베케트/고도를 기다리며/1952 

19.나보코프/롤리타/1955 

20.유진 오닐/밤으로의 긴 여로/1956 

21.잭 케루악/길 위에서/1957 

22.파스테르나크/의사 지바고/1957 

23.치누아 아체베/무너져 내린다/1958 

24.귄터 그라스/양철북/1959 

25.조지프 헬러/캐치 22/1961 

26.솔제니친/수용소 군도/1962 

27.가르시아 마르케스/백년 동안의 고독/1967 

28.움베르토 에코/장미의 이름/1980 

29.밀란 쿤데라/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1984 

30.샐먼 루시디/악마의 시/1989 

Ⅱ.인문 

1.지그문트 프로이트/꿈의 해석/1900 

2.페르디낭 드 소쉬르/일반언어학강의/1916 

3.막스 베버/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1920 

4.라다크리슈난/인도철학사/1923~27 

5.게오르그 루카치/역사와 계급의식/1923 

6.마르틴 하이데거/존재와 시간/1927 

7.펑유란/중국철학사/1930 

8.아놀드 토인비/역사의 연구/1931~64 

9.마오쩌둥/모순론/1937 

10.허버트 마르쿠제/이성과 혁명/1941 

11.장 폴 사르트르/존재와 무/1943 

12.칼 포퍼/열린 사회와 그 적들/1945 

13.호르크하이머·아도르노/계몽의 변증법/1947 

14.시몬 드 보부아르/제2의 성/1949 

15.한나 아렌트/전체주의의 기원/1951 

16.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철학적 탐구/1953 

17.미르치아 엘리아데/성과 속/1957 

18.에드워드 헬렛 카/역사란 무엇인가/1961 

19.클로드 레비-스트로스/야생의 사고/1962 

20.에릭 홉스봄/혁명의 시대/1962 

21.에드문트 후설/현상학의 이념/1964 

22.미셸 푸코/말과 사물/1966 

23.노엄 촘스키/언어와 정신/1968 

24.베르터 하이젠베르크/부분과 전체/1969 

25.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안티오이디푸스/1972 

26.에리히 프롬/소유냐 삶이냐/1976 

27.에드워드 사이드/오리엔탈리즘/1978 

28.페르낭 브로델/물질문명과 자본주의/1979 

29.피에르 부르디외/구별짓기/1979 

30.위르겐 하버마스/소통행위이론/1981 

Ⅲ.사회 

1.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무엇을 할 것인가/1902 

2.프레드릭 윈슬로 테일러/과학적 관리법/1911 

3.안토니오 그람시/옥중수고/1926~37 

4.라인홀트 니버/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1932 

5.존 메이너드 케인스/고용·이자·화폐 일반이론/1936 

6.윌리엄 베버리지/사회보험과 관련 사업/1942 

7.앙리 조르주 르페브르/현대세계의 일상성/1947 

8.앨프리드 킨지/남성의 성행위/1948 

9.데이비드 리스먼/고독한 군중/1950 

10.조지프 슘페터/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1950 

11.존 갤브레이스/미국의 자본주의/1951 

12.다니엘 벨/이데올로기의 종언/1960 

13.에드워드 톰슨/영국노동계급의 형성/1964 

14.마루야마 마사오/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1964 

15.마샬 맥루언/미디어의 이해/1964 

16.케이트 밀레트/성의 정치학/1970 

17.존 롤스/정의론/1971 

18.이매뉴얼 월러스틴/세계체제론/1976 

19.앨빈 토플러/제3의 물결/1980 

20.폴 케네디/강대국의 흥망/1987 

Ⅳ.과학 

1.앨버트 아인슈타인/상대성원리/1918 

2.노버트 비너/사이버네틱스/1948 

3.조지프 니덤/중국의 과학과 문명/1954 

4.토머스 쿤/과학혁명의 구조/1962 

5.제임스 워트슨/유전자의 분자생물학/1965 

6.제임스 러브록/가이아/1978 

7.에드워드 윌슨/사회생물학/1980 

8.칼 세이건/코스모스/1980 

9.일리야 프리고진/혼돈으로부터의 질서/1984 

10.스티븐 호킹/시간의 역사/1988 


Ⅴ.예술·기타 

1.헬렌 켈러/헬렌 켈러 자서전/1903 

2.아돌프 히틀러/나의 투쟁/1926 

3.마하트마 간디/자서전/1927~29 

4.에드가 스노/중국의 붉은 별/1937 

5.아놀트 하우저/문학과 예술의 사회사/1940~50 

6.안네 프랑크/안네의 일기/1947 

7.에른스트 한스 곰브리치/서양미술사/1948 

8.말콤 엑스/말콤 엑스의 자서전/1966 

9.에른스트 슈마허/작은 것이 아름답다/1975 

10.넬슨 만델라/자유를 향한 긴 여정/1994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13 [쉼터] - 문학상 받고 13년간이나 전전긍긍 살다... 2016-10-19 0 5115
512 "노벨문학상 수상자"라는 타이틀 안에 가두지 않은 사르트르 2016-10-19 0 5516
511 [쉼터] - 115년만에 "노벨문학상" 큰 사고를 치다... 2016-10-19 0 5622
510 [쉼터] - "노벨상"때문에 남들이 더 입방아 찧어대다... 2016-10-19 0 4682
509 혹시나에서 역시나로의 "노벨상"은 초인적 노력의 결과물이다... 2016-10-19 0 5489
508 노벨문학상 수상자 밥 딜런 거장기록 14 2016-10-17 0 3825
507 살아있는 포크의 전설- 밥 딜런 노벨문학상 받기까지... 2016-10-17 0 5935
506 노벨문학상 수상자의 가사가 과학자들의 론문에 쓰이다... 2016-10-17 0 4551
505 아이들 가슴에 천만년의 보배로 가득 찰 때까지... 2016-10-17 0 4308
504 [쉼터] - 재밌는 "악마의 수자" 2016-10-16 1 4624
503 [쉼터] - 재미있는 자연속의 피보나치 수렬 2016-10-16 0 14247
502 [알아두기] - 음유시인(吟遊詩人)이란? 2016-10-16 0 4333
501 [쉼터] - 철학자들 모습 엿보다... 2016-10-16 0 3617
500 [쉼터] - 조선왕조 실록 알아보기 2016-10-16 0 4016
499 가장 읽기 어려운 문학작품 20 2016-10-16 0 4365
498 20세기를 기록한 명저서 100 2016-10-16 0 3674
497 립체파 화가 ㅡ 파블로 피카소 2016-10-16 0 4071
496 세계인의 헛소리, 빗나간 예측들 모음 2016-10-16 0 5090
495 가장 영향력 있는 현존 령적지도자 100 2016-10-16 0 5308
494 100원짜리 동전보다 좀 큰 남생이 새 가족 늘다... 2016-10-16 0 3912
493 고향문화소식 ㅡ "미니영화" 눈을 뜨다... 2016-10-14 0 5695
492 [록색문학평화주의자]= 明太여 돌아오라... 2016-10-12 0 4151
491 우리 말을 풍성하게 하는 생선 = 明太 2016-10-12 0 4656
490 명천군 명(明)자와 물고기 잡아온 어부의 성 태(太)자를 따서 명명=명태 2016-10-12 0 4171
489 [록색문학평화주의자]= 시가 되고 노래가 된 "명태" 2016-10-12 0 4577
488 [록색문학평화주의자]= 세계 최초 명태 완전양식 해빛보다... 2016-10-12 0 3900
487 [록색문학평화주의자]= 명태가 금(金)태가 되기까지... 2016-10-12 0 3709
486 [록색평화문학주의자]="국민생선"- 명태를 "현상 수배범"으로 만든 인간 2016-10-12 0 4549
485 [취미려행]= 중국 5A급 려행지 모음 2016-10-10 0 4419
484 노벨문학상 거부한 작가도 없다?... 있다!... 2016-10-10 0 3910
483 대표도서로 보는 세계의 문학상 2016-10-10 0 5908
482 력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와 국가별 및 수상작품 2016-10-07 0 7347
481 고향문단소식 두토리 2016-09-30 0 3946
480 베이징문단소식 한토리 2016-09-30 0 4612
479 섣부른 시지기 다시 한번 섣부르게 하면서... 2016-09-29 0 5622
478 제20회 연변 정지용문학상 밝혀지다... 2016-08-24 0 6896
477 연변작가협회 60과 = 전 세계작가와의 만남... 2016-08-20 0 3898
476 중국 조선족과 무극 "아리랑꽃" 2016-08-18 0 3727
475 [쉼터] - 올림픽 뒷이야기 2016-08-17 0 4214
474 [쉼터]- 올림픽 정신- 운동화는 필요 없다... 2016-08-15 0 5882
‹처음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