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동시의 다양화에 관하여
2016년 11월 14일 22시 54분  조회:3169  추천:0  작성자: 죽림
 /김만석           들어가는 말
 
동시는 생활 가운데서 받아 안은 남다른 느낌을 동심에 려과시켜 행과 련을 나누어 쓴 운문을 말한다
여기서 먼저 짚고 넘아가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 조선에서는 가사(노래말)앞에 문학이라는 규정어를 덧붙여 <<가사문학>>이라고 하면서 가사를 아동시가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가사는 동시의 한 형태라고 인정할수없다고 인정하는바이다.
 
둘째,문학적인 예술동요는 그 예술적 가치에 근거하여 동시에 망라시켜 연구하기로 한다.
 
셋째, 문학적인 예술동요에 곡을 붙이면 그것을 <<가사>>라고 일컬을수는 있지만 그 본질적인 속성은 문학의 한 형태라는 특징은 변함이 없게 된다 그러나 가사에서 곡을 떼면 그 가사는 문학적인 예술동요가 아니라 말그대로 가사로 될뿐이다 하기에 문학적인 예술동요와 가사는 차원이 다른 형태의 글임을 먼저 리해할 필요가 제기된다.
아동문학은 원래 대상성이 강한 문학이다 그런데 동시는 그 대상성이 더더욱 강한 문학의 한 형태로 된다.
 
대상에 따라 동시를 크게 나누면 유년동시,동년동시,소년동시로 나눌수가 있다 그것을 더 세분화하면 회화적 동시,화적인 동시,동화적인 상상동시(의인화동시),환상동시, 감각적인 이미지 동시,사색적인 철리동시,은유적인 상징동시 등 여러 가지로 나눌수가 있다 동시는 원래부터 이렇게 대양화된 문학의 한 형태이다.
 
그런데 1980년대부터 한국 동시단에서는 포스터모더니즘 표현기법을 동시창작에 받아들여 동시의 대상성을 도외시하고 난해동시경향으로 나간적이 있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 중국 조선족 동시단에서는 은유적인 상징동시만을 동시라고 주장하는 동시 단일화경향이 나타나 동시창작을 오도한적이 있었다.
 
한국 동시인들은 동시의 본질을 리해하고 동시를 아이들과 접근시키며 난해시 경향을 극복하고 동시다양화를 주장하면서 풍만한성과를 올리였다.
 
중국 조선족 동시인들도 동시창작의 단일화경향을 배격하고 동시의 대상성에 토대하여 동시다양화를 주장하면서 풍만한 성과를 올리고있다.
 
다양화된 동시형태
 
동시는 당양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1,회화적인 동시
 
회화적인 동시란 시적대상을 동심적인 시각에서 회화적인 화폭으로 대상화하면서 짙은 시적인 정서를 안받침해주는 동시를 말한다.
 
원숭이
 
한국 문삼석
 
원숭이는
날 때부터
할아버지래
 
주름살
오골조골
할아버지래
 
시인은 원숭이의 주름살 하나를 집중 조명하면서 <<날때부터 할아버지>>란 시적발견을 하여 <<오골조골>>한 주름살을 확대조명하면서 회화적 그림을 그려 해학적인 정서를 유발하여냈다.
 
병아리
 
중국 김선파
 
반짝반짝 금모래
콕 찍어먹고
삐악삐악 병아리
샛노란 금병아리
 
반짝반짝 은모래
톡 찍어먹고
뾰옥뾰옥 병아리
새하얀 은병아리
 
시인은 노란 병아리와 하얀 병아리를 동심적인 시각에서 어여쁘게 대상화하면서 아이들 눈앞에 깜찍한 그림을 그려 주어 사랑의 정서를 유발하여 주고있다.
 
이런 회화적인 동시는 유년기 아이들과 동년기 아이들이 즐기는 형태의 동시들이다.
 
2,화적인 동시
 
화적인 동시란 동심에 맞는 재미나는 이야기를 고도로 간추려 정서적으로 표현한 동시를 말한다.
 
아침밥
한국 정두리
 
옆집에 사는
내 친구 준이
 
아침밥
무얼 먹었는지
난 알아
 
현관 문틈으로
새여 나오는 냄새
 

칼치구이 먹었지!
 
여기서 시인은 친구 준이가 아침에 무엇을 먹었는가를 알아 맞히는 재미나는 이야기를 집약적으로 그리고 도약적으로 펼쳐 보였다.
 
눈물 한방울
 
중국 한석윤
 
으스름
달밤
 
엄마를
기다리던
아기가
하나
 
문설주에
기대여
살풋
잠들고
 
눈귀에
매달린
눈물
한방울
 
아기를 대신하여
엄마를
기다리고
 
시인은 아기가 엄마를 기다리다가 문설주에 기대여 잠든 이야기를 집약적으로 대상화하였다 그러면서 아기를 대신하여 엄마를 기다리는 눈물 한방울을 조명하면서 시적인 이미지를 창출하여냈다.
 
이런 화적인 동시를 쓸 때에는 <<서술 쪽보다는 암시적인 언어를 아끼면서 축약하고 주제를 강조하면서 내재률을 살리고 여운을 남기면서 공감을 얻도록 이야기를 도약적으로 간추려 예술적인 승화를 가져와야 한다>>고 한국 신현득선생은 이야기를 하였다.
 
하기에 화적인 동시를 쓸 때에는 이야기 전반 과정을 시시콜콜하게 피루면서 쓰면 절대 아니된다 그러면 동시가 지루하게 되고 깜직한 맛이 없어진다 하기에 이야기의 한순간을 집중 조명하면서 도약적인 서술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야기 그 자체에 동심적인 서정이 어리여 있어야 한다.
 
이런 화적인 동시는 유년기 아이들과 동년기 아이들이 제일 즐기는 동시형태들이다.
 
3,동화적인 상상동시(의인화동시)
 
동화적인 상상 동시란 모든 사물과 동식물이 사람처럼 생각하고 말하게 하는 물활론적인 사유방식에 토대하여 쓴 동시를 말한다.
 
해바라기와 채송화
 
한국 문삼석
 
담 우에서 해바라기가
올망졸망 놀고있는 채송화 보고
-아유 귀여워라
몇 살이나 먹었을가?
하며
노랗게 웃으니까
 
담 아래 채송화가
하늘 덮고 있는 해바라기 보고
-와! 크다
백살도 넘었나봐!
하고
눈을 소곳 떴어요.
 
여기서 시인은 해바라기와 채송화를 인격화하고 그들더러 오묘한 대화를 하게 하였다 그것도 해바라기가 채송화를 보고 업신여기며 <<귀여워>><<몇살이나 되였을가?>>하는 오만스러운 태도와 채송화가 해바라기를 보고 놀라<<와 크다>><<백살도 엄었나봐>>하는 채송화의 천진한 태도를 비교적으로 돋보여주어 아이들더러 그 뜻을 더듬어 보도록 꾀하고 있다.
 
봉투와 풀
한국 문삼석
 
-난 순이 마음 다 안다
말해 볼가?
봉투가 입을 벌리고
으스댔어요
 
-안돼
그건 비밀이야
풀이 봉투 입을
꽁 막아버렸어요
 
여기서 시인은 봉투와 풀을 인격화하여 서로 대화하면서 편지봉투에 풀을 붙이는 현상을 엉뚱한 이야기로 만들어내여 아이들에게 무척 흥미를 돋구어주었다
이런 동화적인 상상 동시는 유년기와 동년기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동시형태로 된다.
 
4,환상동시
 
환상동시란 아이들의 천성으로 되고있는 엉뚱한 환상을 노래한 동시를 말한다.
 
하늘
 
한국 손관세
 
옹달샘에
가라앉은
가을 하늘
 
쪽박으로
퍼마시면

입속으로
들어가는
 
맑고
푸른
가을 하늘
 
시인은 현실 생활에서는 도저히 불가능한 사실을 환상세계에서 다루면서 쪽박으로 마시는 물을 맑고 푸른 가을 하늘이라고 하여 아이들더러 놀랄 정도의 매혹을 자아내고 있다.
 
양떼와 흰구름
 
중국 최문섭
 
푸르른 들판에 흰구름 흐르네
쉼없이 쉼없이 앞으로 흐르네
푸르른 들판이 하늘인줄 알고
흰구름 내려와서 노니는게지
 
파아란 하늘에 양떼가 떠가네
쉼없이 쉼없이 둥둥 떠가네
파아란 하늘이 풀밭인줄 알고
양들이 풀먹으러 올라간게지
 
시인은 환상을 도입하여 현실 가운데서의 양떼와 환상 가운데서의 흰구름을 넘나들면서 이른바 혼돈세계에서 양떼의 시적이미지를 발견한 시적주인공의 희열을 노래하고있다.
 
5,사색적인 철리동시
 
사색적인 철리동시란 시적대상을 보고 사색을 굴리면서 아이들의 정도에 맞는 그 어떤 철리적인 시적발견을 노래한 동시를 말한다.
 
먼길
 
한국 윤석중
 
아기가 잠드는걸
보고 가자고
아빠는 머리 맡에
앉아 계시고
 
아빠가 가시는걸
보고 가자고
아기는 말똥말똥
잠을 안자고
 
시인은 아기와 아빠지간의 애틋한 사랑을 묘사하면서 그 묘사속에 깃들어있는 시적내용을 사색하게 한다 도대체 시인은 무엇을 노래하고 있을가? 도리머리하면서 생각하던 아이들은 아빠와 아기 사이의 따뜻한 정을 노래했구나 하는것을 알아 맞히게 된다.
 
황소
 
중국 김수복
 
암탉은 꼬꼬댁
알 낳았다고 제 자랑
 
멍멍개도 멍멍멍
집 지킨다고 제 자랑
 
수레 끄는 황소만은
말없이 뚜벅뚜벅
 
시인은 제 자랑에 이골이 난 수탉과 멍멍개를 풍자하고 하고 수레 끄는 부지런한 황소의 모습을 독자들 눈앞에 선히 그려놓았다 그러면서 어린 독자들더러 그 뜻을 음미하도록 하고있다 시인은 좋은 일 하면서도 자랑할줄 모르는 황소의 겸손한 성미를 예술적으로 칭찬하고있는것이다.
 
이런 동시는 동년기와 소년기 아이들의 구미에 맞는 동시형태로 된다.
 
6,감각적인 이미지동시
 
감각적인 이미지 동시는 시적인 대상에 대하여 시각,청각,촉각,후각,미각적으로 대상화하면서 시적 이미지를 창조하는 동시를 말한다
 
시내물
 
중국 김철호
 
솔밭을
지날 때면
파랗게
파랗게
 
진달래산
지날 때면
빨갛게
빨갛게
 
마을앞
지날 때면
하얗게
하얗게
 
여기서 시인은 시적대상 시내물을 노래하고있다 그런데 시내물을 직접 노래한것이 아니라 시내물에 비낀 소나무,진달래,마을에 초점을 맞추고 수채화같은 시각적형상을 그려내면서 조선족의 심미특징에 맞게 조선족이 살고있는 생활환경을 미화하여 주고있다.
 
가을
 
한국 윤미현
 
토옥
튕기고 싶은
 
주욱
그어보고싶은
 
와와
웨쳐보고싶은
 
푸웅덩
뛰여보고싶은
 
머언

가을 하늘
 
여기서 시인은 맑고 푸른 가을 하늘,투명하고 무형체인 가을 하늘을 바라보면서 감각적인 느낌을 발현한것이 이동시의 성공한 비결로 된다.
 
형체를 가진 유리알같은 하늘을 토옥 튕겨보고 싶고 종이 같은 하늘에 주욱 금을 그어보고 싶고 끝없는 공간을 향하여 와 소리 쳐보고 싶고 푸른 바다같은 하늘에 풍덩 뛰여들고 싶은 그런 느낌을 하나 하나 정리해 가면서 푸른 하늘의 이미지를 창출하여냈다.
 
산새 발자국
 
한국 방원조
 
얼마나 발이 시렸는지
눈밭을 콩콩
밟고갔구나
 
눈덮인
이 세상 어디서
얼음 박힌
그 작은 발을
녹이고 있는지
 
아픔이 아픔을 밟고
작디작은 발자국
산새
발자국
 
 
이 동시에서는 작은 산새에 대한 동정의 마음을 시적화폭으로 그려내면서 맨발로 눈밭을 밟고간 산새의 촉각적인 느낌을 최대한으로 확대조명하고 시적정서를 풍만하게 만들었다다.
 
감각적인 이미지동시는 시적대상에 대한 직서적인 서술이 아니라 형상적인 간추린 묘사를 통하여 감각적인 이미지를 창출한다는것이 그 특징으로 된다 하기에 이런 동시는 시적언어에서 시적 뜻을 직접 감지하는것이 아니라 그런 느낌을 토대로 한 시적형상에서 시적인 뜻을 사색 끝에 감지하게 되는것이다.
 
이런 감각적인 이미지 동시는 동년기와 소년기아이들이 다가서는 동시형태로 된다.
 
7,은유적인 상징동시
 
은유적인 상징동시는 전통적인 동시의 직서적인 표현방식을 반역하고 원관념 a를 보조관념b 로 표현하는 표현기법으로 쓴 동시를 말한다.
 
이때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상사성과 류사성이 있어야만 그 은유가 성립된다는 점에 주의를 돌려야 한다 그런데 그런 상사성과 류사성은 사물의 본질적인 속성에 의한것이 아니라 사물지간의 표상의 류사성에 의존한다는 점을 명기하여야 한다.
 
벚꽃
 
한국 선용
 
가지마다
날개를
파닥이는
 
나비
나비
흰나비
 
놀러 왔다가
돌아가지 않는


하얀 별
 
여기서 시인은 <<벚꽃>>이라는 원관념을 보조관념 <<나비>>와 <<별>>로 병치은유를 시도하여 시적이미지를 창출하였다 흔히 이런 은유적인 상징동시를 쓸 때 원관념이 보조관념으로 번져가면서 깡깡 마른 수학적공식으로 대입되기에 시의 서정성이 결여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를테면 <<가지는 시계추>>라고 은유만 시키고 말면 시의 서정성이 나타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시인은 <<벚꽃>이 <<나비>>와 <<별>>로 전이하는 과정에 예술적이며 형상적인 처리를 하여 시의 생명으로 되는 서정성을 한껏 살려내고 있다.
 
현대시는 시적언어를 비틀어 굴절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을 많이 쓰고 있다.
 
시골학교
 
한국 리상교
 
텅빈 산골 운동장
물소리만 나와 놀고있다
 
삐걱삐걱 새여나오던
풍금소리는 창틈에 녹쓸고 d
 
아이들이 닦아놓은 창에
거미줄 친 하늘이 끼워져있다
 
아이들의 푸르던 지껄임은‘
락엽으로 날려보내고
 
허전한 바람 한점
빈 그네에 앉아 옛생각에 잠긴다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해가
홀로 산골을 서성이고 있다
 
이 동시는 난해동시에 속하는 동시이다 언어를 비탈고 굴절시켜 놓았기에 음미하지 않고서는 직접 그 뜻을 리해하기 어려웁다 그러나 이런 동시도 동시의 일종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게 된다.
 
이런 은유적인 상징동시는 소년기 아이들이 즐기는 동시형태로 된다.
 
상술한 다양화된 동시형태들을 유년기 동년기 소년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동시창작에서 적당히 리용할 수가 있는것이다.
 
난해동시를 극복하는 방도
 
동시는 이렇게 다양화 되고 있다 그런 동시는 전통동시와 현대동시로 나누어 고찰할 수가 있다 감각적인 이미지 동시와 은유적인 상징동시,그리고 사색적인 철리동시는 이른바 현대동시라고 할 수가 있다.
 
그렇다고 하여 전통동시를 배격하면 아니된다 그것은 그런 전통동시는 아직도 유년기 동년기 아이들이 즐기는 동시들로 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동시의 깜직하고 재미나고 예쁜 매력은 현대동시로써는 대체할 수가 없는 특징으로 되고 있다.
 
이런 점도 고려가 없이 동시대상의 특수성을 도외시 하고 무턱대고 소년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은유적인 상징동시만을 동시라 하면서 전통동시를 묵살하는것은 동시창작을 오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사실상 중국 조선족 동시단에서 불어친 동시단일화 경향은 한국 동시단에서 1980년대에 나타났던 난해동시경향의 번안으로 된다 그런 한국의 난해시경향이 2000년대에 들어와서 중국조선족 동시단에 뒤늦게 나타난데 불과한것이다.
 
한국 동시인들은 난해동시는 동시의 독자대상을 외면하고 현대동시표현기법을 아무렇게나 동시창작에 받아들인 후과였다는것을 벌써 알게 되였다 하여 그들은 그런 현대동시표현기법을 동심에 려과시켜 동시창작에 받아들이고 동시다양화를 주장하면서 동시를 개혁하고있다.
 
그런데 우리중국 조선족동시단에서는 그것도 모르고 이른바 동시를 혁신한답시고 한국동시의 지난날의 <<교훈>>을 <<경험>>으로 받아들이고 있는것이다 정말 놀라운 일이 아닐수가 없다.
 
우리의 동시가 굽은 길을 따라 가지 말고 자기의 독자적인 길로 전진하자면 동시가 난해시로 번져가는것을 막아야 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3가지가 있다고 본다.
 
첫째,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표상의 상사성과 류사성에 주의를 돌려야한다 그런 류사성과 상사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제나름대로 <<태양은 국수틀>>이라고 하여서는 안된다.
 
<<태양>>과 <<국수틀>>사이에서 표상의 류상성과 상사성이 전혀 없다 이 동시를 쓴 작자는 국수틀에서 나오는 <<국수오리>>와 태양에서 뿜어나오는 <<해살>>에서 이른바 <<선(线)>>이라는 상사성을 찾고 이런 엉뚱한 은유관계를 설정한것이다 이것은 은유의 본질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하여야 하겠다.
 
사실 <<국수오리>>와 <<해살>>은 은유관계가 성립된다고 할 수는 있어도 <<해살>>을 뿜는 <<태양>>과 <<국수오리>>를 뽑는 <<국수틀>>은 은유관계로 절대 설정할 수가 없는것이다.
 
이런 엉터리 은유관계를 설정하고도 작자는 <<동시는 내가 보기위 하여 쓴다>>면서 독자대상을 전혀 념두에 두지 않았었다 그 결과 이런 억지 은유관계설정은 우리의 동시를 난해동시로 전락되게 하고 말았던것이다.
 
둘째,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관계를 좀만 뜅겨주면 아이들이 련상할수있는 그런 관계로 설정하여야 동시는 난해성을 기피할수 있다는 점도 절대 잊지 말아야 할것이다 아이들의 인식정도를 떠나 아이들이 아무리 련상하여도 모르는 그런 은유관계는 우리의 동시를 난해시로 만드는 후과를 빚어내게 되는것이다.
 
셋째, 현대동시표현수법을 동심에 려과시켜 대상의 정도를 가늠하면서 창조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그러면 우리의 동시가 보다 참신하여지고 우리의 동시가 한차원 높은 질적향상을 가져올수 있는것이다 특히 시적언어를 독자대상에 알맞게 비탈고 굴절시키는것은 새로운 동시로 도약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하게 될 수가 있다
 
라이라크
 
중국 림금산
 
향기에 언제
발이 생겼지
향기가 막 걸어다닌다
 
향기가 언제
팔이 생겼지
향기가 막 팔을 젓는다
 
향기가 언제
곡이 붙었지
향기가 노래 포올폴
메아리쳐 간다
 
시인은 아이들의 환상능력을 고려하면서 후각적인 향기를 시적대상으로 삼고 눈에 보이지 않는 향기를 <<발>>,<<팔>>이 있는 가시적인 동적인 형상으로 둔갑시키였다 그리고 나중에는 그 향기에 <<곡>>이 붙었다고 하면서 메아리쳐 가는 청각적인 형상으로 바꾸어 놓았다.
 
시인은 여기서 재래의 우리 동시와 다른 색다른 동시를 써보려고 시적언어를 비탈고 굴절시키면서 시적형상을 창조하고있다 이 동시가 성공한 비결은 바로 아이들의 사유능력을 충분히 고려한 거기에 있다 하여 그같이 어려운 시적형상을 아이들의 사유를 뚱겨주면서 표현하였기에 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아이들은 받아 들일수가 있게 된것이다.
 
최근에 중국조선족 동시단에 나타난 은유적인 상징동시들은 상술한 세가지 현상을 극복하고 나왔기에 은유적상징동시의 존재가능성을 충분히 과시하여주고 있다.
 
첫눈
 
중국 김철호
 
아기바람에
날려온
서너 송이
 
팔랑팔랑
춤추며
어깨에 앉는다
 
옳지,그래!
손에 하나 꼭 잡았다
 
살짝 펴보니
눈물 한 방울
아차, 몹시 아프게
쥐였나 보다
 
여기서 작자는 시적대상 <<눈>>을 제시하고 그 <<눈>>을 손에 잡아쥐고 그다음 펴보니 <<눈물 한방울>>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시인은 원관념 <<눈송이>>를 보조관념 <<눈물방울>>로 은유적인 표현을 하였다 이런 은유과정에 시인은 <<눈>>을<<몹시 아프게 쥐였기>>에 그 눈이 <<눈물방울>>로 되었다고 정서적인 처리를 하면서 마무리한 여기에 동심이 깔려있고 여기에 동시의 서정성이 슴배여 있다
이런 동시 출현은 실로 동시다양화의 실천적인 노력으로 창작된 동시들로 마땅히 찬양할바라고 본다.
 
나가는 말
 
우리의 동시는 나어린 유년기 동년기 소년기 아이들을 자기의 독자대상으로 하는 문학의 형태이다 독자대상의 다양성은 동시의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다.
하기에 그 어떤 하나의 동시형태로 전반 동시를 대체하자는것은 비과학적인 주장이라고 할수 있다 다시말하면 은유적인 상징동시만 동시라고 하는것은 동시창작의 단일화를 초래하며 우리동시창작을 오도하는 그릇된 처사라고하여야 할것이다.
 
은유적인 상징동시는 동시의 일종일뿐 절대 동시 전반을 대체할 수가 없는것이다 이런 동시의 난해성을 극복하기만 하면 은유적인 상징동시는 동시의 일종으로 존재하면서 자기의 존재가치를 충분히 과시할 수가 있을것이다.
 
우리는 동시의 다양한 대상을 념두에 두고 그런 대상에 다가들면서 그들의 심미적욕구와 그들의 흥취애호로부터 출발하여 동시의 다양화를 주장하면서 재미나고 깜찍하고 예쁜 전통동시도 쓰고 사색과 음미를 요구하는 현대동시도 함께 쓰면서 우리의 동시단을 백화가 만발하게 만들어야 할것이다.
2015.1.9.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42 실존주자의 인생에 종지부를 찍다... 2016-11-14 0 3082
1841 윤동주의 시 속에 마력이 없다?... 있다!... 2016-11-14 0 2621
1840 윤동주는 "북간도"가 낳은 시인이다... 2016-11-14 0 4154
1839 생태문학이 세계문학의 최고봉이다?... 아니다!... 2016-11-14 0 3229
1838 창작이냐?... 모방이냐?... 이것이 문제면 문제로다... 2016-11-14 0 3324
1837 중국 조선족 동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1-14 0 2910
1836 동시의 다양화에 관하여 2016-11-14 0 3169
1835 윤동주와 동시 2016-11-14 0 2906
1834 "우화시"와 허두남 2016-11-14 0 3156
1833 동시때벗기기 = 동시도 시로 되여야... 2016-11-14 0 3203
1832 채택룡 / 김만석... 랑송동시도 창작해야/ 김만석... 2016-11-14 0 2990
1831 박영옥 / 김선파 2016-11-14 0 2944
1830 김득만 / 김만석 2016-11-14 0 3159
1829 詩란 고독한 사람의 고독한 작업속에 생산되는 미적량심 2016-11-14 0 3201
1828 시 한수로 평생 명인대가로 인정되는 사람 없다?...있다?!... 2016-11-12 0 3331
1827 김영건 / 고 한춘 2016-11-12 0 3196
1826 심련수 / 한춘 2016-11-12 0 3369
1825 적어도 진정으로 문학을 사랑한다면,ㅡ 2016-11-12 0 2896
1824 "동시엄마" - 한석윤 2016-11-12 0 2907
1823 최룡관 / 최삼룡 2016-11-12 0 3479
1822 김동진 / 최삼룡 2016-11-12 0 3633
1821 詩人은 뽕잎 먹고 비단실 토하는 누에와 같다... 2016-11-12 0 3363
1820 [자료] - 중국 조선족 문학 30년을 알아보다... 2016-11-12 0 3566
1819 조선족 문학작품을 중문번역 전파하는 한족번역가 - 진설홍 2016-11-12 0 3783
1818 베이징 "등대지기" 녀류시인 - 전춘매 2016-11-12 0 3411
1817 화장터 굴뚝연기, 그리고 그 연장선의 값하려는 문사-정호원 2016-11-11 0 3288
1816 고 최문섭 / 전성호 2016-11-11 0 3519
1815 녕안의 파수꾼 시인 - 최화길 2016-11-11 0 3553
1814 한국 최초의 모더니스트 시인 - 정지용 2016-11-11 0 3178
1813 "등불을 밝혀" 시대의 어둠을 몰아내려는 지성인 2016-11-11 0 3477
1812 詩人은 태작을 줄이고 수작을 많이 만들기 위해 정진해야... 2016-11-11 0 3452
1811 늘 "어처구니"를 만드는 시인 - 한영남 2016-11-11 0 3900
1810 늘 "서탑"을 쌓고 쌓는 시인 - 김창영 2016-11-11 0 3282
1809 장르적인 경계를 깨는 문사 - 조광명 2016-11-11 0 3312
1808 김철 / 장춘식 2016-11-11 0 3620
1807 "조양천"과 김조규 2016-11-11 0 3169
1806 "국어 교과서 편찬"과 김조규시인 2016-11-11 0 3319
1805 "만주"와 유치환 2016-11-11 0 3171
1804 {자료} - "두루미 시인" - 리상각 2016-11-11 0 3507
1803 중국 조선족 문단 "문화독립군"들 2016-11-11 0 2921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