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 정보광장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뜻뜨미지근", "뜨뜻미지근"
2016년 12월 30일 21시 15분  조회:2734  추천:0  작성자: 죽림
 
요즘처럼 추운 날씨에는 절절 끓는 방바닥에서 몸을 지지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하지만 난방시설의 현대화로 좀처럼 이런 온돌 바닥을 찾아보기 힘들다. 대부분 뜨뜻미지근한 온기를 느낄 수 있을 정도다.

 온도가 아주 뜨겁지도 않고 차지도 않을 때 “방바닥이 그럭저럭 뜻뜨미지근하다” “보온통이 고장 났는지 뜨뜨미지근할 뿐이다”에서와 같이 ‘뜻뜨미지근하다’ 또는 ‘뜨뜨미지근하다’고 쓰기 쉽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으로 “욕조에 받아 놓은 목욕물이 뜨뜻미지근해졌다” 에서처럼 ‘뜨뜻미지근하다’고 써야 한다.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에 ‘뜻뜨미지근하다’ ‘뜨뜨미지근하다’와 같이 잘못된 표현을 쓰는 것으로 보인다. ‘뜨뜻미지근하다’가 ‘뜨뜻하다’와 ‘미지근하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라는 사실을 기억하면 헷갈릴 염려가 없다.

 ‘뜨뜻미지근하다’는 뜨겁지도 않고 차지도 않다는 의미 외에 “불타오르던 사랑이 뜨뜻미지근해졌다” “뜨뜻미지근한 태도에 애가 달았다”에서와같이 ‘하는 일이나 성격이 분명하지 못하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한국 중앙일보 "우리말 바루기" 김현정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70 수선화야, 나와 놀자... 2017-06-24 0 2149
569 시의 제목이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 한다... 2017-06-24 0 2315
568 작가들의 책 증정은 타인의 존중이자 자아관리이다... 2017-06-24 0 3121
567 흑토변 시인 한영남, 두만강역 시인 윤청남 시집 "꽃" 피우다... 2017-06-24 0 3025
566 "6월"의 시모음 2017-06-24 0 2415
565 시는 어휘의 빈곤, 경박한 멋부리기, 산만한 이미지 등은 금물... 2017-06-24 0 2181
564 "손에 쥐고 있는것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날이 있다"... 2017-06-24 0 2113
563 시를 읽을 때, 일단 그 시를 읽고 그림을 미리속에 그려라... 2017-06-24 0 2519
562 시인은 지성과 감성, 사고와 감정이 늘 융합통일이 되여야... 2017-06-24 0 2175
56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6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568
56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강원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059
55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황해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36
5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경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597
55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연변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90
55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북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799
55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야생화 이름의 유래... 2017-06-19 0 2370
5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재미있는 식물, 나무이름의 유래... 2017-06-19 0 2543
553 중국 "양주팔괴"의 한사람 - 정판교 2017-06-19 0 4710
552 민들레야, 나와 놀자... 2017-06-19 0 2428
551 시작은 시에 생명이 없는것에 새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2017-06-19 0 2261
550 망초꽃아, 나와 놀자... 2017-06-18 0 2234
549 시창작에서 고독은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2017-06-18 0 2020
548 시는 언어로 만들어진 그림... 2017-06-18 0 2266
547 [작문써클선생님들께]-프랑스 비행사 작가 생텍쥐페리 명언... 2017-06-16 0 6051
546 제비꽃아, 나와 놀자... 2017-06-16 0 2096
545 인류 최초의 시인은 원시사회에서 신체적 불구자???... 2017-06-16 0 2446
544 세계적 글쟁이들이 글쓰기 조언 41 2017-06-16 0 2335
543 장미꽃아, 나와 놀자... 2017-06-15 0 2300
542 시인은 자기자신의 원고를 "퇴고"할줄 알아야... 2017-06-15 0 2441
541 "오월의 짧은 그림자"야, 섭섭하다... 다시 놀자... 2017-06-14 0 3612
540 철쭉아, 나와 놀자... 2017-06-14 0 2345
539 시적 탐구의 과정은 곧 삶의 잉여적 표현이다... 2017-06-14 0 2237
538 시인의 눈물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렌즈"이다... 2017-06-14 0 2663
537 진달래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189
536 개나리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705
535 시작은 내적인 노예상태를 까부수어 나아가는 과정이다... 2017-06-12 0 1991
534 시인은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또 하나의 열쇠가 있어야... 2017-06-12 0 2321
533 시인의 눈은 저 쪽의 세계를 명징하는 고감도의 눈이여야... 2017-06-09 0 2504
532 음악 전통속에서 새로운 시적인 표현을 만들어내다... 2017-06-09 0 2084
531 벗꽃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364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