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의 목표는 언어의 순수성과 일관성이다...
2017년 05월 13일 01시 26분  조회:2955  추천:0  작성자: 죽림




36명 대담기록 '작가란 무엇인가'
작가들, 대부분 오전에 글 쓰고 쉼 없이 수정하는 공통점 지녀
폴 오스터 '글쓰기를…' 출간도

세계 문학의 육성을 들려주는 책들이 잇달아 나왔다. 미국 문예지 '파리 리뷰'가 세계적 작가 36명을 인터뷰한 기록을 모은 '작가란 무엇인가'(전 3권·권승혁 외 옮김·다른 출판사)다. 미국의 뉴욕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폴 오스터의 대담 모음집 '글쓰기를 말하다'(심혜경 옮김·인간사랑)도 출간됐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원조(元祖)로 꼽히는 아르헨티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와의 가상 대화를 담은 연구서 '보르헤스의 지팡이'(양운덕 지음·재남)도 눈길을 끈다.

'작가란 무엇인가'는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를 비롯해 지구촌 곳곳에서 널리 읽히는 작가들을 엄선해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 수록 작가들은 대부분 오전에 글을 쓰고, 원고 수정을 쉼 없이 하며, 책을 늘 곁에 두고 산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첫 권엔 노벨상 수상 작가 헤밍웨이, 포크너, 마르케스, 파무크가 실렸다. 늘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쿤데라, 로스, 에코, 하루키도 실렸다.
 

(왼쪽부터)헤밍웨이, 에코, 오스터, 보르헤스.
(왼쪽부터)헤밍웨이, 에코, 오스터, 보르헤스.

헤밍웨이는 자신이 아는 모든 것을 다 작품에 쓰진 않는다고 했다. "빙산은 전체의 8분의 7이 물속에 잠겨 있다"는 것이다. 작가가 쓰지 않은 부분이 눈에 보이진 않지만 작품을 더 단단하게 만든다. 퇴고하면서 압축과 생략에 힘들게 공을 들인 소설이 바로 '노인과 바다'라는 것.

48세에 '장미의 이름'을 써서 세계적 작가가 된 에코는 "갑자기 소설을 쓴 게 아니다"고 했다. 기호학자로서 논문을 쓰며 이론 속에 '내러티브'를 넣으면서 소설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설을 썼다는 것이다.

쿤데라는 출세작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비결이 소설의 다성성(多聲性)이라고 일러줬다. 꿈, 서사, 성찰이 서로 분리되지 않은 채 완전한 흐름이 되길 바랐다는 것. 그의 소설은 '키치(싸구려 예술)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여러 사건이 뒤섞인다는 얘기다.

 

'작가란 무엇인가' 2권엔 노벨상을 받은 겐자부로, 사라마구, 요사, 그라스, 모리슨을 실었다. 20세기 문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보르헤스, 미국 대중소설의 스타 작가 킹의 인터뷰도 실었다. 겐자부로는 "저는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무정부주의자"라고 했다. 그는 주로 오전 7~11시에 물만 마시며 글을 쓴다. '양철북'의 작가 그라스도 "밤에는 절대 안 쓴다"고 했다. "밤에 쓴 글은 너무 쉽게 씌어 믿기 힘들다"는 것. 3권엔 SF 작가 르 귄, 일본인이지만 영어로 소설을 쓰는 이시구로, 소설 '슬픔이여 안녕'의 프랑스 작가 사강의 목소리를 담았다.

폴 오스터와의 대화만 담은 '글쓰기를 말하다'에서 오스터는 "글쓰기가 내게 대단한 즐거움을 주진 않지만, 글을 쓰지 않으면 상태가 더 나빠진다"고 밝혔다.
원래 시인이었던 그는
"시의 목표는 언어의 순수성과 일관성이지만
산문은 갈등과 모순을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라며
소설가로의 변신을 설명했다. 그는 한때 추리소설 기법을 차용해 유명해졌다.
그러나 그는 "탐정소설엔 늘 해답이 있지만, 제 소설엔 질문만 있다"고 했다.


철학자 양운덕은 "보르헤스의 단편들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담은 흥미로운 우주"라며 연구서 '보르헤스의 지팡이'를 썼다. 그는 보르헤스 혹은 그의 소설 속 인물이 마치 한국 독자들과 대화를 나누는 듯한 이야기를 꾸몄다. 이 책은 보르헤스의 문학 속으로 마치 꿈을 꾸듯이, 꿈 속에서 또 다른 꿈으로 계속 빠지는 상상의 미로(迷路)를 펼쳐놓는다.

 

/ⓒ 조선일보 박해현 문학전문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70 수선화야, 나와 놀자... 2017-06-24 0 2147
569 시의 제목이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 한다... 2017-06-24 0 2314
568 작가들의 책 증정은 타인의 존중이자 자아관리이다... 2017-06-24 0 3116
567 흑토변 시인 한영남, 두만강역 시인 윤청남 시집 "꽃" 피우다... 2017-06-24 0 3018
566 "6월"의 시모음 2017-06-24 0 2409
565 시는 어휘의 빈곤, 경박한 멋부리기, 산만한 이미지 등은 금물... 2017-06-24 0 2179
564 "손에 쥐고 있는것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날이 있다"... 2017-06-24 0 2110
563 시를 읽을 때, 일단 그 시를 읽고 그림을 미리속에 그려라... 2017-06-24 0 2492
562 시인은 지성과 감성, 사고와 감정이 늘 융합통일이 되여야... 2017-06-24 0 2171
56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6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567
56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강원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058
55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황해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31
5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경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596
55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연변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13
55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북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794
55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야생화 이름의 유래... 2017-06-19 0 2366
5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재미있는 식물, 나무이름의 유래... 2017-06-19 0 2540
553 중국 "양주팔괴"의 한사람 - 정판교 2017-06-19 0 4683
552 민들레야, 나와 놀자... 2017-06-19 0 2392
551 시작은 시에 생명이 없는것에 새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2017-06-19 0 2260
550 망초꽃아, 나와 놀자... 2017-06-18 0 2232
549 시창작에서 고독은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2017-06-18 0 2019
548 시는 언어로 만들어진 그림... 2017-06-18 0 2263
547 [작문써클선생님들께]-프랑스 비행사 작가 생텍쥐페리 명언... 2017-06-16 0 6039
546 제비꽃아, 나와 놀자... 2017-06-16 0 2094
545 인류 최초의 시인은 원시사회에서 신체적 불구자???... 2017-06-16 0 2438
544 세계적 글쟁이들이 글쓰기 조언 41 2017-06-16 0 2331
543 장미꽃아, 나와 놀자... 2017-06-15 0 2298
542 시인은 자기자신의 원고를 "퇴고"할줄 알아야... 2017-06-15 0 2440
541 "오월의 짧은 그림자"야, 섭섭하다... 다시 놀자... 2017-06-14 0 3609
540 철쭉아, 나와 놀자... 2017-06-14 0 2315
539 시적 탐구의 과정은 곧 삶의 잉여적 표현이다... 2017-06-14 0 2236
538 시인의 눈물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렌즈"이다... 2017-06-14 0 2640
537 진달래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189
536 개나리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703
535 시작은 내적인 노예상태를 까부수어 나아가는 과정이다... 2017-06-12 0 1989
534 시인은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또 하나의 열쇠가 있어야... 2017-06-12 0 2314
533 시인의 눈은 저 쪽의 세계를 명징하는 고감도의 눈이여야... 2017-06-09 0 2500
532 음악 전통속에서 새로운 시적인 표현을 만들어내다... 2017-06-09 0 2081
531 벗꽃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364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