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년 06월 02일 02시 27분  조회:2043  추천:0  작성자: 죽림
 

 

 

 

  

인공지능의 진화

 

알파고 2.0 바둑 알고리즘 강력 / 361개 착점… 모든 계산 어려워 무엇을 버릴 건지 정확한 결정 / ‘정보손실 최소화’ AI 기술 핵심

 

돌아온 알파고 2.0이 바둑 세계 최고수라는 중국의 커제를 완파했다게임의 재미를 더하는 새로운 실험으로 인간과 알파고가 팀을 이루는 복식게임도 등장했고, 5명의 프로기사가 팀을 이루어 알파고와 대국하는 방식도 더해졌다여전히 적응하기 힘들지만 1년 전 이세돌을 연파할 때의 충격만큼은 아니다인공지능(AI)은 공상영화에나 나오는 것으로 알던 장삼이사도 웬만큼 익숙해졌다지난해 다보스포럼에서 등장한 4차 산업혁명이란 표현이 아직 서구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데도 우리나라에서 유달리 수용이 빠른 이유가 우리 국민이 알파고의 충격을 목전에서 겪었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새 알파고는 무엇이 달라진 걸까기존의 기보를 안 보고 알파고끼리 대국을 반복하는 학습만 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구글 딥마인드의 정정 발표가 있었다무작위성 기법 사용을 중단했다는 소문도 있는데 신빙성이 높아 보이진 않는다새 알파고 알고리즘을 실행한 하드웨어는 가벼워졌다지난해에는 1920개의 중앙처리장치(CPU)를 가진 기계와 뇌 하나의 인간이 대결하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기사가 있었다이번에는 새로운 텐서처리장치(TPU) 2개를 사용한 하드웨어 때문에 구글의 TPU가 커제를 눌렀다는 기사가 많았다점입가경이다강력한 슈퍼컴이 없어서 그동안 이세돌과 커제를 못 이겼던 것이라고 믿는 걸까큰 방을 가득 채운 장치는 눈에 딱 들어오지만 그 위에서 돌고 있는 알고리즘은 눈에 보이지 않으니 어쩌랴최신 TPU 두 개의 연산능력은 세계 500위권 슈퍼컴의 반도 안 된다기계학습은 소수점 아래로 길게 가는 계산이 필요 없으므로 이것을 줄여서 계산 효율성을 높인 게 TPU기상예보 같은 수치계산은 잘 못한다.

 

지난해에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때 많은 사람은 1997년 IBM의 슈퍼컴퓨터인 딥블루가 체스 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를 이기던 장면을 떠올렸다딥블루는 체스게임에 특화된 슈퍼컴 하드웨어에 체스두기 알고리즘을 탑재한 일체형이고알파고는 범용 컴퓨터에 돌리는 바둑두기 알고리즘이다이 두 사건은 과연 닮은꼴 사건일까그렇지 않다체스 상대방이 한 수를 두면 내가 둘 수 있는 수가 몇 개로 정해진다그다음에 상대방도 둘 수 있는 수가 제한되고이런 방식으로 가능한 게임시나리오를 다 계산해 보면 평균 2억개쯤 된다모든 경우를 다 두어 보면 내가 둘 수 있는 각 점의 승리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딥블루는 전수계산으로 이걸 해냈다계산자원의 승리즉 하드웨어의 승리다. IBM은 체스게임 전용 슈퍼컴을 개발하는 데 큰돈을 퍼부었지만 광고효과로 슈퍼컴을 많이 판매했으니 아마도 남는 장사였던 것 같다.

 

알파고는 다르다총 361개의 착점이 있는 바둑판에서 가능한 게임시나리오가 우주에 있는 원자의 수보다 많다무한정 하드웨어에 투자해도 이걸 다 두어볼 수 없으니착점별 승리확률을 계산해낼 방법이 없다알파고는 이길 가능성이 작거나 고려할 필요 없는 엄청나게 많은 시나리오를 제거하고 일부만 골랐다. 30초 동안 평균 10만 번 정도만 두어 보고 각 착점의 승리 확률을 계산했다어떤 경우를 배제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딥러닝(심층학습)이나 무작위 검색 등을 조합한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그러니 알파고 사건은 하드웨어가 아니라 알고리즘의 승리다. ‘무엇을 버릴 것인가를 잘 결정한 것이다그래서 AI기술의 핵심은 일부 언론이 그려낸 알파고처럼 1000여개의 두뇌를 가진 계산자원이 아니라 혁신적인 수학 알고리즘으로 계산자원의 필요를 획기적으로 줄였다라는 것이다. ‘큰 데이터를 적은 데이터로 바꾼 것이다이러면 계산 안 되던 문제가 계산이 되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난다거대 문제를 작은 규모 문제로 바꾸면서도 정보손실을 최소화하는 수학적 알고리즘이 미래인공지능기술의 핵심인 셈이다.

 

출처세계일보 박형주(국가수리과학연구소장아주대 석좌교수) / 2017-05-28 

 

 

 

 

 

2015-09-12_094342

 

  

인공지능 AI도 결국 인간이 만든 것

 

인간-정보 상호작용(Human-Information Interaction)’이라는 신생 연구 분야가 있다인간이 정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하는 분야를 말한다알파고라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가 세계 최고의 기사(棋士)들을 연이어 격파했다는 정보에 우리는 두 가지로 반응하고 있다인공지능이 우리의 일자리를 빼앗을지 모른다는 위기감과 어쩌면 인간이 정복하지 못한 문제에 대한 아주 새로운 해결책을 던져줄지 모른다는 기대감.

 

인간이 AI에 대해 느끼는 양가적 감정은 인류가 처음 청동검(靑銅劍)을 만들어 짐승을 사냥해 그 고기를 다듬던 날이 새로운 도구를 누군가가 자신을 상해하거나 죽이는 데 사용할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갖게 된 순간과 다를 바 없지 않을까.

 

그러나 인간을 격파하는 알파고도 결국 인간이 만든 인공’ 지능이라는 사실을 잊지는 말자인공지능 기술은 지난 수십 년간 눈부시게 발전해왔다예를 들어 구글은 이미 ‘AI를 만드는 AI’를 활용해이미지와 음성인식 기술을 진보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 똑똑한 AI 역시 결국 인간이 디자인한 피조물일 뿐인데도그 위세에 눌려 내 일자리 뺏길까만 고민한다면 우리는 AI를 제대로 다루는 데 실패할 게 분명하다.

 

이번에 중국에서 있었던 바둑 대결은 커제와 알파고가 격돌했을 뿐만 아니라 인간과 AI가 팀을 이뤄 또 다른 인간AI 팀과 대결하고프로 기사들이 팀을 이뤄 AI와 대결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졌다이것은 예전의 바둑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게임의 형태이며 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있다. AI가 사람을 이겼다고 해서 꼭 그것이 바둑의 쇠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바둑이 우리를 더 즐겁게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우리가 AI의 사회적 파장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일자리를 뺏는 악마나 만능 문제해결사로 생각할 필요도 없다오히려 AI의 특성을 살려 농업의료미디어금융교통을 아예 새롭게 혁신할 방안을 궁리하는 게 훨씬 더 적극적인 태도다일론 머스크가 선박기차자동차항공기로 이어져온 교통수단을 넘어서 아진공 튜브를 이용한 하이퍼 루프를 통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30분 만에 갈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을 실행 중이다그의 계획은 더 빠른 바퀴와 엔진을 만들려는 노력을 아예 새로운 방식으로 대체해버리는 초월적 발상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발상을 AI 기술을 의료에 활용하는 데 적용해 보자환자의 유전자 특성과 처방 가능한 약의 목록을 학습한 AI가 의사를 도와 특정한 유전자를 가진 환자에게 처방해선 안 될 약들을 미리 선별하고 최적의 투약 계획을 제안한다면 약의 부작용도 줄이고 치료 효과도 극대화하게 될 것이다이미 국내 의료진이 시도하고 있는 방향이다.

 

AI시대 정부의 역할 역시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새롭게 정의되어야 한다정부는 기획자에서 조력자로추진자에서 촉진자로 역할을 명확히 해야 한다가수 박진영은 왜 케이팝스타의 우승자들은 한결같이 한국의 교육시스템 바깥의 사람들이냐고 지적했다. AI는 그러한 한계를 새로운 교육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깨보려는 실험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정부가 직접 만들겠다는 공공부문 일자리 역시 AI를 이용한 혁신의 영역에서 많이 나와야 한다.

 

인간과 AI가 대체관계가 아닌 협력과 공조의 관계로 나아가는 방향에 새로운 일자리도경제도 있다.

 

출처동아일보 김장현(성균관대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 / 2017-05-29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국가든 기업이든 흥할 때가 가장 위험

자만해 현실에 안주하면 쇠락의 길뿐

최근의 조직 비대화가 그래서 더 무섭다

 

파킨슨 법칙은 영국의 역사경제정치학자인 시릴 파킨슨이 제시한 사회생태학 법칙이다파킨슨은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에 공무원 수는 업무량에 관계없이 증가한다는 파킨슨 법칙을 발표해 유명해졌다공무원의 조직과 운영이 비합리적인 관행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는 경험적 사실을 분석한 것이다. 1957년 책으로 출간돼 공산권에서도외환위기로 기업이 위기에 내몰리던 한국에서도 읽혔다인사나 경영 혁신을 담당하는 관리자들 사이에서는 필독서로 권해지는 책이다.

 

그 후 그는 지출은 수입만큼 증가한다는 두 번째 파킨슨 법칙을 발표했다이 법칙은 세금을 올릴 수 있는 한 공무원 숫자는 무한정 늘어날 것이라는 내용이다파킨슨은 이들 법칙 외에도 사회 생태계에 관한 10여 개 법칙을 주창했다특히 역사경제사회생태학 분야에 60여 권의 저서를 남긴 그의 관료제에 대한 예리한 분석은 2차 세계대전 동안 영국 해군의 사무원으로 근무한 경험이 바탕이 됐다.

 

영국 해군 및 식민지성에 대한 그의 관찰은 지금도 회자될 정도다.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 영국 해군의 주력함은 62척이었으나전쟁이 끝난 14년 뒤 군함 수는 3분의 1로 줄었고 해군 수도 10만 명에서 30%가량 줄었다그런데도 해군성 공무원 수는 3600명으로 80%가량 늘어났다. 2차 세계대전 직전인 1935년 8100명이던 영국 해군성 공무원 수는 전쟁이 끝난 약 20년 후인 1954년에는 33800명으로 4.2배 늘어났다.

 

순수 행정기관인 식민지성에 대한 파킨슨의 조사는 더 눈길을 끈다. 2차 세계대전 중인 1943년께에는 전성기에 비해 식민지를 많이 잃었고 그 후 잇따른 독립으로 식민지 수는 계속 감소했다그러나 식민지성 공무원 수는 1935년 370, 1943년 820, 1947년 1140, 1954년 1660명으로 약 20년 동안 4.5배 증가했다.

 

파킨슨은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공무원들의 승진하려는 심리적 욕구를 들었다승진하기 위해서는 부하 직원 수를 늘리고 조직을 확대시켜야 한다는 것이다그렇게 조직원이 늘면 이에 따른 일들이 늘어나고 조직 규모도 점점 더 커져 관리자 자리는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다.

 

에드워드 기번은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로마가 최전성기였던 180년부터 쇠망의 길로 들어섰다고 말한 바 있다세계 최초로 산업혁명을 일으키고 1800년대 초반부터 100년에 걸쳐 팍스 브리태니커(Pax Britannica)’를 구가하던 대영제국조차 최전성기에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쇠퇴해 가는 현상을 보면서 놀라지 않을 수 없다역사상 가장 강력한 국가로 꼽히는 로마와 영국도 흥망성쇠라는 역사의 흐름을 비켜 가진 못했다.

 

여기서 우리는 국가든 기업이든 흥망성쇠를 반복한다는 교훈을 얻는다흥망성쇠의 역사적 흐름과 법칙은 국가기업뿐만 아니라 가문(家門)에도 적용되는 것으로이는 권력과 부에 대한 지나친 탐욕 때문일 것이다또 하나 명심해야 할 역사적 교훈은 쇠퇴가 외부의 적이 아닌 내부에서 생성된 망국의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난다는 사실이다기업도 잘될 때가 가장 위험하다지 않은가자만은 현실에 안주하게 해 위기감을 잃으면서 미래 대비를 못하게 하는 요인이다잘될 때 위기감을 갖고 관리혁신하지 못해 전성기 이후 나락으로 떨어진 세계적 기업은 수도 없이 많다조직의 비대화와 그로 인한 관료제 폐해는 그래서 더 무섭다.

 

새 정부가 들어선 지금 파킨슨의 책 서문 대목이 귓전을 맴돈다. “학생교사 또는 역사정치시사 관련 교재 편집자 같은 이들에게 세상이란 만사가 합리적으로 이뤄지는 곳 같을 것이다국민은 자유 의사에 의해 국회의원을 선출하고가장 유능하고 총명한 인물이 장관이 된다든가또 주주가 중역을 선출하고그 중역은 유능한 사람에게만 부장과장 자리를 준다는 그런 생각 말이다그러나 험한 세파에 시달리며 살아 온 사람들에게 이 같은 생각은 한낱 웃음거리일 뿐이다.”

 

 / 출처한국경제신문 윤종용(전 삼성전자 부회장) / 2017-05-29 

 

 

꽃사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0 목련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757
529 시는 메모에서 완성하기까지 고심에 련마를 걸쳐야... 2017-06-09 0 2361
528 동시인은 "스스로 어린이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2017-06-09 0 2118
527 시인은 관습적으로 길들여진 자동화된 인식을 버려야... 2017-06-09 0 2221
526 시인은 시제목을 정할 때 신경을 써야... 2017-06-09 0 2460
525 문학성과 창조성이 없는 글은 수필도 아니며 죽은 글이다... 2017-06-09 0 2039
524 인공지능시대 미래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의 자세는?... 2017-06-02 0 2787
523 인간 글쓰기 지위 일락천장 추락되다... 2017-06-02 0 2676
522 인공지능 번역은 어처구니없는 번역... 2017-06-02 0 2757
521 세상은 교과서처럼 흘러가지 않는다... 2017-06-02 0 2043
520 인공지능 왈; "이 장기를 수술해 잘라내라".../수술의사: ???... 2017-06-02 0 2349
519 시인들이여, 정신 차리라! 로봇트 세계 최초 시집 발간했다!!! 2017-06-02 0 2595
51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우리 말 공부, 난제를 풀며 공부해야... 2017-06-01 0 2895
517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3) 2017-06-01 0 3482
516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2) 2017-06-01 0 3621
515 시계가 걸어온 길을 알고싶다...(1) 2017-06-01 0 3644
514 삶이란 련습없이 태여나서 실습없이 사라진다... 2017-05-31 0 2518
513 미래를 념려하다가 결국 현재와 미래를 다 놓쳐버리다... 2017-05-31 0 2283
512 수필은 원칙적으로 산문으로 쓰여져야... 2017-05-31 0 2552
511 [고향문학인소식]-원로시인 최룡관 고향 문학계 소식 전하다... 2017-05-31 0 2358
510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2) 2017-05-31 0 2945
509 "수필쟁이"들이여, 수필이라는걸 알고나 씁니껴?!... 2017-05-31 0 2497
508 시의 본질적인 문제를 인공지능이 파악할수 없다... 2017-05-28 0 2331
507 시인이라면 초고를 쓰는 고통을 감내할줄을 알아야... 2017-05-28 0 2457
506 시도 예술도 모르는 사회는 배부른 돼지의 세계이다... 2017-05-28 0 2810
505 시인은 인공지능이 시를 쓰든 말든 신경쓰지 말고 시를 쓰라... 2017-05-28 0 2582
504 수필쓰기는 자신의 삶을 가치롭게 꽃피우는 자각행위이다... 2017-05-28 1 2544
503 시간의 그 끝머리는 상처를 치유해주는 하나의 과정과 방식... 2017-05-28 1 2736
502 소금은 죽음에서 피여나는 생명의 꽃이다... 2017-05-28 0 2533
5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우리 말(어원)의 유래?... 2017-05-24 0 2795
500 시문학을 일상의 생활속에서 이어가는 삶은 아름답다... 2017-05-24 0 2515
499 생명은 타지 않으면 썩는다 / 박문희 2017-05-24 0 2641
498 시는 신비한 언어로 시행사이에 사색적인 공간을 엮어줘야... 2017-05-24 0 2639
497 시의 제목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2017-05-23 0 2942
496 시인은 쓰고자 하는것을 마음속으로 먼저 그려보아라... 2017-05-23 0 3294
495 시를 랑송할때는 시인의 느낌과 청중의 공감을 터득해야... 2017-05-23 0 3782
494 "소리없는 아우성"으로 시와 씨름한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7-05-23 0 2948
493 허두남 우화시 고찰 / 최룡관 2017-05-23 0 2480
492 동시인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랑송시 창작에 몰두해야... 2017-05-22 0 2028
491 시는 이미저리의 원형과 수사학적 기법을 잘 활용해야... 2017-05-22 0 2526
‹처음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