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년 08월 17일 02시 42분  조회:1957  추천:0  작성자: 죽림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 고은 



밤늦게 돌아오는 길에 별들을 본다. 그제서야 별들이 먼저 지상의 나를보고 있었다는 것을 안다.
어떤 비관론자와도 무관하다. 이 세상에는 다른 세상을 위한 종말이 있다. 이 세상은 수많은 흥망성쇠의 시간과 장소만이 아니라 마침내 흥망성쇠그 자체인 것이다.
그렇다 해서 종말이 언제냐고 섣불리 따지려 들지 말라. 다만 그런 세상에서 엄연히 살아가는 것이 너와 나이다. 나의 문학은 이런 세상의 일부분이다.

왜 문학을 하는가? 왜 시를 쓰는가?
비 온 뒤의 앞산처럼 확실한 이런 질문으로 나는 문학을 하지 않는다. 그저 시인이 되고 싶었을 뿐이다. 밀물이었다. 그저 시인이 되었을 뿐이다.
썰물이었다.

시인 노릇 45년이 어느덧 되어가는 오늘에도 이 노릇에 대한 어떤 가설도마련되지 않았다. 일의(一義)란 죽어라고 싫다. 굳이 말하자면 불가피성말고는 내 삶의 궁핍한 역정 가운데서 문학의 이유를 찾아낼 다른 여지가없는지 모른다.

풍경이 시작되었다. 1940년대 후반 중학생이 된 나는 4㎞ 거리의 학교와집 사이 황톳길을 걸어 다녔다. 비오는 날은 우산 대신 도롱이를 걸쳤다.
한국전쟁 이전까지 약 4년 동안 이런 길을 오고 갔으므로 길 가녘 우거진여름날의 각시풀과 꿀먹은 벙어리 같은 돌멩이도 한 핏줄인 양 정이 사뭇들었다.

저녁의 향수가 감수성 근원

방과 후 거의 혼자 돌아오는 시간이 누구에게도 발설하기 싫은 행복이었다. 호젓할 때면 나는 내 동무가 되었다. 그러므로 나는 혼자서 복수(復數)였다.
길은 어쩌다 만나는 장꾼이나 소달구지 말고는 비어 있었다. 미술반은자주 늦게 끝났으므로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저녁 무렵이기 십상이었다.
혼자 길을 걷는 동안 나는 학교와 집의 의무로부터 지극히 자유로웠다.
그런 시간으로 너무 일찍부터 낮 동안의 끝인 저녁에 익숙해졌다.
지나는 길의 마을마다 밥 짓는 저녁 냉갈이 저기압의 땅 위를 가득히 깔려 있을 때의 그 형언할 수 없는 경건한 향수는 한 소년에게 감수성의 근원이 되어 주었다.

새벽의 수탉 우는 소리, 아침 거미줄에 매달린 이슬 보석들과 동정(童貞) 같은 햇빛 소나기, 그리고 대낮의 갑작스러운 적막…들도 찬란한 환경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그것들이 어떻게 나의 저녁 무렵만 하겠는가.
하루 내내 들에서 일한 다음 해가 진 뒤의 연장을 물에 씻어 들고 집으로 돌아오는 농부의 일과에 어느덧 나도 속해 있었다. 저녁은 그렇게 숭고하고 슬펐다.
‘돌아오다’, ‘돌아가다’라는 말이 나에게 달라붙던 것도 그 무렵이었다. 한자 ‘귀(歸)’자가 어쩌다 친정 나들이하는 여자의 기쁨을 담고있다면 인간의 본성 안에 그런 귀향의 심상이 바닥져 있는 것 아닌가.

나중에 내가 쓴 시 중에 유난히 저녁이 많이 나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른 시인들에게도 저녁은 하나의 주조(主調)였다.
그런 저녁 무렵 나는 꺼므꺼므한 어슬녘을 걷고 있었다. 집을 1㎞쯤 남겨놓은 길 한복판에서 한 물체를 발견했다. 그 우연이야말로 필연이었다.
그 물체는 마치 오랜 발광체처럼 팍 저물어버린 어둠 속에서 빛나고 있었다. 책이었다. 나는 사방을 두리번거릴 겨를도 없이 그 책을 집어 들었다. 새 책이었다.
시집이었다! 한하운(韓何雲) 시집이었다!
온몸이 전류에 휘감겨졌다. 그 시집 속의 글자 하나하나를 어둠 속에서뿌리째 뽑아내어 읽어갔다. 돌부리에 넘어졌다가 일어났다.
아마도 누군가가 사 가지고 가다가 그만 길에 잘못 떨어뜨린 것이리라.
그 시집의 임자를 찾아 나설 생각 따위가 전혀 없었다. 시집은 오직 나를위해서만 거기 있었던 것이다.
그날 밤 시집을 읽고 또 읽었다. 읽으면서 엉엉 울었다.
가도 가도 황톳길….
이 구절은 곧장 내 심장 속의 주술이 되어 주었다. 밤새 뜬눈이었다. 조영암과 최영해라는 사람의 발문도 몇 번이나 읽었다. 먼동이 텄다.
두 가지를 결심했다. 나도 한하운처럼 문둥병에 걸려야겠다는 것과 나도시인이 되어 이 세상의 모든 길을 걸어가며 떨어져나간 썩은 발가락을 노래하고 이 세상의 길을 노래하겠다는 것이 그것이다.

내 심장속 주술이 된 구절

‘한하운시초(韓何雲詩抄)’ 이후 나는 다른 학생들과 달랐다. 그들은아무 것도 모르는 철부지이고 나는 남몰래 철이 들어버린 ‘어른’이 되었다. 점점 미술반이 싫어졌다. 교내 미술 전시회에서 받은 일등상의 기쁨은시 앞에서 무색할 수밖에 없었다.
나는 수채화에서 유화로 옮겨가야 했다. 그 뿐 아니라 미대를 갓 나온 교사 안태훈은 나에게 풍경화, 정물화 그리고 인물화까지도 강요했다. 아니자신의 시내 작업실로 나를 데려다가 모델 그림까지 그리게 할 것이라고다그쳤다.

이렇듯이 학교에서는 장래의 화가였다. 하지만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서는 내일의 시인이었다. 시인이기를 얼마나 열망했던가.
그런데 바로 1년 전만 해도 나는 화가가 되기를 꿈꾸고 있었다. 외삼촌의 서가에서 반 고흐 전기를 꺼내 보았을 때 나는 ‘오직 고흐이리라. 그렇지 않으면 무이리라’라고 책상머리에 써 붙이지 않았던가.

그렇다면, 이 다음에 시인에의 열망이 다른 것이 되고 싶은 나머지 한때의 열병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나는 그런 가정 때문에 고통스러웠다.
시 혹은 문학은 반드시 그 시대의 어떤 상흔에서 그 의미를 이끌어낸다. 시인은 그러므로 상처받은 혼신(魂身)이다. 나에게 시는 전쟁 이전의 꿈과 전쟁 이후의 절실성으로 가능한 것이었다. 북위 38도선이 무너졌다. 한국전쟁이 일어났다.

그해 6월 27일 학교는 무기 휴교조치밖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 걸핏하면발생하던 단정 반대의 좌익 동맹휴학도 그 뒤를 이은 이승만 지지의 우익결의대회도 사라져 버린 학교 운동장은 바람이 불면 먼지 구름이 몰려가거나 하루 내내 뻐꾸기 소리만 쌓여 있었다.

더 이상 나에게는 호젓한 저녁길이 없었다.
여름 3개월 동안 내 또래의 인민군 병사와 인민위원회 그리고 민청, 여맹 따위의 붉은 완장에 익숙해졌다. 담배를 배웠다. 엽연초를 잘게 썰어그것을 종이에 말아 피웠다.

좌익·우익 핏빛 학살

전선은 낙동강 중류까지 남하했고 진주 남강도 떨어져 나갔다. 9월의 인천 상륙과 함께 거듭된 후퇴가 역전되어 압록강 강물을 떠오기까지 했다.
다시 1ㆍ4 후퇴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내 고향은 우익의 좌익 학살, 좌익의 우익 학살, 다시 우익의 좌익 학살의 보복으로 살벌한 죽음의 지역이었다. 한국전쟁 인명 희생자 300만 중 1만분의1을 내 고향이 담당한 것이다.
몸에서 썩은 학살 시체 냄새가 15일 이상 없어지지 않은 채 살아 남았다. 나는 여름 나무 그늘에서 읽었던 신석정 시집 ‘촛불’을 아주 덮어버렸다. 시는 그 야만의 계절에 대해서 무능했다.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가 가능한가”라고 외친 아도르노의 말은 한반도에도 적용되고 남았다.

한국시 50년대 후반 또는 60년대 전반의 모더니즘은 그것이 서구 모더니즘의 뒤늦은 모방을 모면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한국전쟁이라는 거대한 상황을 통한 전통 단절과도 깊이 관련된다. 요컨대 전쟁은 시를 묻어버렸고 역설적으로 다시 시를 불러들였다.
나는 널브러진 시체더미 앞에서 인간의 정체를 다 알아버린 듯한 허무에사로잡혔으며 고향을 떠난 뒤 내내 떠돌았던 모든 산야와 도시는 폐허에다름 아니었다.
내 문학은 그런 폐허를 떠도는 자의 비가(悲歌)이기를 자처했다. 그래서시의 본적지는 폐허이고 시의 현주소는 폐허의 기억을 가진 미완의 역사현장인 것이다.
세 살 무렵의 아이는 “왜?”로부터 세상을 시작한다. “왜 아빠의 젖은젖이 안 나와?” “왜 엄마 구두하고 아빠 구두하고 달라?”
이런 의문이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별짓는 것인지 모른다. 그러나 문학에서, ‘왜 문학을 하는가’라는 질문은 세 살 무렵으로 돌아갈 수 없다.
그것은 문학의 오늘에 있어야 할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열한 질문에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10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 - 소쉬르 2017-10-30 0 3372
809 시는 낱말의 조합으로 초자연적인 길을 열어야... 2017-10-30 0 2133
808 [타산지석] - 100年 = 100人 2017-10-30 0 2779
807 시인은 예언적 신앙심으로 모든것에 사랑을 심어야... 2017-10-30 0 2953
80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예부흥운동을 주도한 "상원의원"시인 2017-10-30 0 3913
805 [노벨문학상과 시인]생전 수상 거부, 죽은후 수상자가 된 시인 2017-10-29 0 3307
804 [노벨문학상과 시인]지도자 계급의 어용문인으로 전락된 시인 2017-10-29 0 2974
803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학과 언어학의 부흥을 주도한 시인 2017-10-29 0 3439
80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제1회 노벨문학상 주인공으로 된 시인 2017-10-29 0 4068
801 [노벨문학상과 시인]비평가들로부터 절대적 인정을 받은 시인 2017-10-29 0 3469
800 [노벨문학상과 시인] - "새로운 시"의 동의어를 만들어낸 시인 2017-10-29 0 3502
799 시작에서도 싱싱한 화면으로 시정짙은 공간을 펼쳐보여야... 2017-10-28 0 3249
798 시작에서도 조각적 회화공간의 미를 창조해야... 2017-10-28 0 5658
797 시작에서도 선과 리듬으로 독자들을 끌어야... 2017-10-28 0 2976
79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알을 깨고 새세계를 연 시인 2017-10-25 0 7232
795 [노벨문학상과 시인] - 남아메리카 칠레 녀류시인 2017-10-25 0 3524
794 "마지막 잎새에도" 그는 "빛"이였다... 2017-10-25 0 2545
793 단 한번도 반복되는 하루는 두번 다시 없다... 2017-10-22 0 2702
792 "삶은 짧지만 하나의 강렬한 축제" 2017-10-21 0 2521
791 20세기 최고의 독일 시인 중 한 사람 - 라이너 마리아 릴케 2017-10-21 0 4125
790 "나는 내가 가진 모든것들을 당신에게 빚졌습니다"... 2017-10-21 0 2244
789 " 머리가 어질어질 뗑하게 만드는" 러시아 시인들 이름... 2017-10-21 0 2268
788 러시아 투사시인 - 표드르 이바노비치 츄체프 2017-10-21 0 3085
787 독학으로 배운 언어로 시를 쓴 노르웨이 과수원 농부시인... 2017-10-20 0 2444
786 시인 김용제는 "그림자", 시인 윤동주는 "빛"... 2017-10-20 0 2429
785 시작에서도 정적인것을 동적인것으로 출구를 찾아 표현해야... 2017-10-17 0 2084
784 [그것이 알고싶다] - 어린이들은 "어린이"를 알고 있는지요?... 2017-10-17 0 4006
783 "어린이"와 방정환 그리고 "강도" 2017-10-17 0 4849
782 "내 쓸개를 잡아 떼어 길거리에 팽개치랴"... 2017-10-17 0 2102
781 시비(詩碑)에 또 시비(是非)를 걸어보다... 2017-10-17 0 2660
780 "반달할아버지"가 "반달"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다?!... 2017-10-17 0 1947
779 "반달할아버지"와 룡정 2017-10-17 0 1994
778 "반달" = "하얀 쪽배(小白船)" 2017-10-16 0 3422
777 시인이라고 해서 다 시인이다?... 아닌 이도 있다!... 2017-10-14 0 1777
776 시인은 용기를 내여 치렬하게 작품을 쓰라... 2017-10-14 0 2282
775 [쟁명] - "꾸준히 실험시를 써보라"... 2017-10-14 0 2023
774 "반달"과 "반달 할아버지" 2017-10-14 1 3003
773 한줄기의 빛이었던 시인 - 윤동주 2017-10-13 0 2246
77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 아이디어, 한 이미지를 갖고 써라... 2017-10-10 0 2066
771 "현대시는 암소, 하이퍼시는 암퇘지"... 2017-10-10 0 2433
‹처음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