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저 모습 뒤편에는 무수한 시침이 꽂혀 있을것이다"...
2017년 08월 21일 23시 52분  조회:1670  추천:0  작성자: 죽림

 

[詩論]

좋은 시란 무엇인가 (상)

이재무

 

 

 

 

     1. 패러다임에 대하여

     생물학자 만하임 쿤은 패러다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패러다임이란 당시대 사회 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 기초된 것이다” 이 말은 무엇을 뜻하는가. 이것은 패러다임이란 절대적 객관적 개념이 아니라 사람들의 요구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상대적 개념이란 뜻을 내포한다. 즉 시대마다 사람들의 합의가 달라져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 패러다임이란 말이다. 이를테면 갈릴레이가 ‘지동설’을 주장하여 그것이 하나의 과학적 패러다임으로 확정되기 이전에는 ‘천동설’이 과학에 있어 하나의 패러다임이었으나 이후 그 패러다임은 지동설에 의해 자신의 과학적 지위를 내놓을 수밖에 없게 되었는데 이는 당시대 사회의 합의, 즉 그 시대의 과학적 보편성에 의해 그리될 수밖에 없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뉴턴으로 대변될 수 있는 근대적 과학주의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의 논리’ 즉 ‘신과학’에 의해 패러다임이 교체된 것도 이와 같은 사정 때문이다.

     객관성과 합리성을 생명으로 하는 과학에서조차 패러다임은 이처럼 시대에 따라 달리 구성될진대 상대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인문학, 그 가운데에서도 예술 문학에서는 말할 나위 없이 얼마든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개념이 달리 구성될 수밖에 없다.

     오랫동안 군림해온 서양의 근대 계몽 이성 담론이 해체되고 그 자리에 새로운 담론들 예컨대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 생태주의, 탈 역사주의 등이 들어서고 있는 것도 패러다임이 시대에 따라 달리 구성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야기가 다소 길어졌는데 왜 시를 논하는 자리에 앞서 패러다임에 대한 개념 규정 및 성격을 먼저 논하는가 하면 시에 있어서의 정의나 성격 나아가 좋은 시에 대한 요건과 평가 역시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말하기 위함이다.

     주지하다시피 지난 연대는 거대 담론 시대였다. 따라서 문학예술에서도 이러한 담론의 영향을 받아 굵직굵직한 주제와 소재를 즐겨 다루었다. 예컨대 ‘계급’이니 ‘민족’이니 ‘민중’이니 하는 문학적 담론이 그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사회주의가 붕괴함에 따라 거대 담론에 대한 회의가 대두되었고 이에 대한 극복과 대안으로 많은 담론이 무성하게 전개되었는바 그러한 담론들의 영향을 받아 쓰여진 많은 문학 작품들 예컨대 시로서 한정시켜 말하면 진난 연대의 주류를 이루었던 노동시, 통일시, 농민시, 실험시 대신 도시시, 생태시 여성시, 내면 성찰시, 선시 등의 등장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 필자가 살펴볼 좋은 시의 요건도 어디까지나 주관적 상대적이지, 절대적 객관적 조건일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제시되지는 않지만 어느 시대이든지 좋은 시에 대한 묵시적 합의는 있게 마련이다. 이것은 그 시대의 패러다임의 영향 때문이다. 그 어떤 작품도 이러한 시대적 패러다임으로부터 자유롭기는 어렵다. 이런 이유로 당시대의 문학인은 그 시대의 주류적 경향이나 흐름, 동향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좋은 시란 무엇인가?

 

     시란 장르만큼 취향과 기호의 스펙트럼이 넓은 장르도 없다. 그러므로 저마다 좋아하는 시편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은 세계와 대상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저마다의 인식 차이는 저마다의 유전적 형질, 계급, 지역, 성별, 세대, 경험의 총체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 차이는 문체를 결정짓기도 한다. 동일한 대상을 다르게 인식했기 때문에 문체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문체의 차이는 동일한 대상을 동일하게 인식했으나 다만, 장식적 수사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대상을 다르게 인식(세계관이나 가치관 혹은 역사관의 차이)했기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문체는 곧 그 사람의 전부라 말할 수 있다.

     문학(시)에 대한 취향과 기호가 다른 것은 곧 세계관이나 인생관 혹은 역사관의 차이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취향과 기호에 대한 억압은 세계나 대상에 대한 인식 즉 그 사람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을 억압하는 것으로 야만적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각기 다른 저마다의 취향과 기호의 실현과 향수도 대개는 시대가 요구하는 패러다임의 자장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이 말은 아무리 스펙트럼이 넓은 시 장르라 하더라도 당시대가 요구하는 묵시적 합의가 있게 마련이고 좋은 시란 이 범주 안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첫째, 좋은 시는 발견의 미학이 들어있어야 한다. 즉 견자의 태도를 지녀야 한다. 발견은 감각이나 현상 너머의 이면적 진실을 포착하는 행위 속에서 이루어진다. 예시를 통해 이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성당의 종소리 끝없이 울려 퍼진다

 

저 소리 뒤편에는

무수한 기도문이 박혀 있을 것이다

 

 

백화점 마네킹 앞모습이 화려하다

저 모습 뒤편에는

무수한 시침이 꽂혀 있을 것이다

 

 

뒤편이 없다면 생의 곡선도 없을 것이다

- 천양희, 시, <뒤편>, 전문

 

 

     종소리 뒤편의 기도문, 화려한 마네킹 뒤편의 시침을 보는 시인의 시선이 날카롭다. 현상 너머의 이면적 진실은 우리를 아프게 한다. 현상 너머의 이면적 진실은 우리를 아프게 한다. 이미지와 실체가 언제나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오랜 침묵 우려낸 종소리가 울려 펴진다. 공중에 파문을 내면서 꽃을 만나면 웃음을, 풀과 나무를 만나면 푸름을, 언덕을 만나면 굴렁쇠가 되는, 환하고 푸르고 둥근 종소리. 그러나 뒤편에는 누군가의 간절한 기구가 있다는 것을 이 시는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 결구의 잠언적 발언은 바로 현상 너머의 이면적 진실을 포착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심야의 고속도로

트럭 행렬을 바라본 적이 있다

그 거친 사내들은 단내 나는 더운 숨

연신 토해내며 살 맞은 짐승처럼 고함

질러대고 있었다 딱딱한 밤공기가

과자부스러기가 되어 부서졌다

하늘에 핀 별꽃들이 경기 들린 아이처럼

놀라 자지러지고 있었다

무법천지가 따로 없었다

우락부락한 다혈질의, 각진 얼굴의 사내들은

힘이 세다 그들이 실어 나르지 못할

물건은 없다 조폭의 무리 같기도 한 그들이

지날 때 함부로 그들을 나무라지는 말자

그저 절로 벌어진 입 당분간 닫지 말고

사고 없이 어서 이 위기의 시간이

지나가기를 소원하면 되는 것이다

아무리 바지런을 떨어도 생의 저속을 사는

그들은 언제든지 분노로 폭발할 수 있는

슬픔 몇 됫박씩 가슴에 지니고 산다 밤의

질주에는 그런 그들만의 사정이 있는 것이다

- 이재무, 시, <트럭>, 전문

 

 

     얼마 전 트럭 운전사들이 물류대란을 일으켜 일시적이나마 산업을 마비시킨 적이 있다. 그런 그들을 사람들은 사회 범죄자 취급하며 비난을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을 무조건 비난하기에 앞서 그들이 왜 그렇게 티브이 화면이나 신문 사회면을 장식하며 원시적인 무력행사를 벌일 수밖에 없는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 시편에서 진술하고 있듯이 그들이 왜 밤의 폭주족이 될 수밖에 없는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들의 과속이 정당하다는 뜻이 아니다. 그들의 벌인 행위에만 주목할 것이 아니라 그 행위 이면을 들여다보자는 뜻이다. 그들의 사보타지와 과속은 오로지 생의 저속을 면키 위함이다. 과속을 해도 저속을 면키 어려운 그들의 속내를 들여다보았을 때 문제에 대한 보다 객관성에 기초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겠기 때문이다.

이처럼 발견이란 현상적인 삶 이면의 숨겨진 진실을 들여다보는 보는 행위를 말한다. 사물과 삶의 이면에는 현상에서 놓치기 쉬운 실체와 핵심 그리고 진실이 숨어있는 것이다.

 

 

     둘째, 좋은 시란 ‘낯설게 하기’가 들어있어야 한다. 이것은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이 주창한 것으로서 ‘비록 낯익고 진부한 대상이나 세계라 할지라도 그것에 대하여 내 나름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행위’를 말한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먼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서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에 무서리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 서정주, 시, <국화 옆에서>, 전문

 

 

     주지하다시피 ‘국화’는 사군자의 하나로 서정주 시인 이전에는 우리 시에서 주로 ‘절조’의 표상으로 쓰여 왔다. 하지만 서정주 시인은 국화에 대한 기왕의 오랜 통념을 버리고 여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이를 낯설게 만들었다. 이 시에서 ‘국화’는 더 이상 절조를 표상하지 않고 이제는 시인이 부여한 새로운 의미 즉 ‘원숙한 생명감’을 뜻하게 된 것이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에서 ‘진달래꽃’이라는 시어의 의미는 ‘이별의 정한’이지만 신동엽 시인의 시 <진달래 산천>에서 ‘진달래꽃’의 의미는 ‘혁명’을 뜻한다. 후세대 시인 신동엽은 전 시대 시인 김소월과 다르게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다르게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에 ‘낯설게 하기’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낯설게 하기’는 대상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뜻하는 것으로서 시 창작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시작 행위에 속한다.

 

 

     셋째, 시언어에 대한 자의식을 가져야 한다.

     글쓰기란 한 마디로 줄여 말하면 언어의 선택과 배열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대체 불가능한 최상급의 언어 선택으로 최선의 배열을 기하는 것이 글쓰기의 요체인 것이다. 시의 언어는 일상어와는 그 쓰임새가 다르다. 일상어는 의미 전달이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시언어는 그 자체가 목적성을 띠기 때문에 다른 것으로의 교체가 불가능하다. 가령 일상어에서는 ‘연인’이라는 말 대신 ‘애인’이나 ‘님’ 혹은 ‘자기’라는 말을 쓸 수 있지만 시언어에서는 기표마다 환기되는 정서가 다르기 때문에 교체해서 쓸 수가 없다. 서정주 시인의 시 <자화상>에 나오는 시 구절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이었다”에서 ‘팔 할’ 대신 ‘80 %’를 쓸 수는 없는 일이다. 평론가 유종호는 그의 저서 <<시란 무엇인가>>에서 이러한 시 언어의 특성을 극도의 긴장감을 지닌 ‘글자 넣기 놀음’에 비유하고 있다.

     놀이에는 특유한 긴장이 따르는 법이다. 이것이 제대로 풀릴까 하는 불확정성에서 오는 긴장은 시 쓰는 과정의 시인의 고심과 비슷하다. 한 집의 실수나 악수가 불계패를 자초할 수 있듯이 잘못 놓인 글자는 글자 넣기 놀음을 파국으로 이끌 수 있다. 시를 향수하는 독자의 입장에서도 놀이의 규칙을 알아야 제대로 즐길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다. 글자 넣기 놀음의 재미는 한 글자라도 잘못 적어 넣으면 파토가 생겨 놀이가 완성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시에서도 마찬가지다. 한 글자라도 악수가 있으면 완벽성과 완결성을 기대할 수 없다. 전후좌우에 그것 아니고서는 채울 수 없는 유일의 적정어가 놓여야 한다.

 

 

물 먹는 소 목덜미에

할머니 손이 얹혀졌다

이 하루도

함께 지났다고,

서로 발잔등이 부었다고,

서로 적막하다고,

- 김종삼, 시, <묵화> 전문

 

 

     위 시편에서 마지막 행의 ‘적막하다’라는 시어를 대신할 시어는 없다. 가령 ‘고요하다’ ‘고독하다’ ‘쓸쓸하다’ ‘안타깝다’ ‘외롭다’ 등등의 그 어떤 말로도 ‘적막하다’가 갖는 울림을 대신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것은 플로베르가 주장한 ‘일물일어설’에 해당된다. “한 사물의 특성 혹은 한 가지 생각을 표현하는 데는 한 가지 말밖에는 없다”는 ‘일물일어설’이 뜻하는 것은 글쓰기에 있어 최상의 언어, 최적의 언어, 즉 적정한 유일어를 찾으라는 것을 말한다.

     시 장르는 무엇보다 기표 위의의 장르라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언어에는 형식과 기호를 뜻하는 ‘기표’와 내용과 의미를 뜻하는 ‘기의’가 있는데 이 가운데 시는 기표를 더 중시하는 장르이다. 기왕이면 정서적 밀도가 강한 기표를 쓰는 것이 시 쓰기에서는 필요하고 유리하다.

     정서적 밀도가 강한 언어에는 무엇이 있는가? ‘꽃’ ‘곡식’ ‘강’ ‘산’ 같은 일반어보다는 ‘국화꽃’ ‘‘소양강’ ‘부소산, 같은 특수어가 더 정서적 환기력이 강하다. 또한 관념어나 추상어보다는 구체적 감각어가 정서의 밀도에 강하다. 눈으로 익힌 개념어보다는 귀로 듣는 구체적 현장언어가, 표준어보다는 부족 방언이 더욱 실감을 줄 수 있다.

 

 

내 귓속에는 막다른 골목이 있고,

사람 사는 세상에서 밀려난 작은 소리들이

따각따각 걸어 들어와

어둡고 찬 바닥에 몸을 누이는 슬픈 골목이 있고,

 

 

얼어터진 배추를 녹이기 위해

제 한 몸 기꺼이 태우는

새벽 농수산물시장의 장작불 소리가 있고,

리어카 바퀴를 붙들고 늘어지는

첫눈의 신음소리가 있고,

좌판대 널빤지 위에서

푸른 수의를 껴입은 고등어가 토해놓은

비릿한 파도소리가 있고,

갈라진 손가락 끝에

잔멸치 떼를 키우는 어머니의

짜디짠 한숨소리가 있고,

 

 

내 귓속 막다른 골목에는

소리들을 보호해주는 작고 아름다운

달팽이집이 있고,

아주 가끔

따뜻한 기도소리가 들어와 묵기도 하는

작지만 큰 세상이 있고,

- 고영, 시, <달팽이집이 있는 골목>, 전문

 

 

     위 시편 속 시적 주체의 공간에는 체험을 우려낸 다양하고도 생생한 소리들이 살고 있다. 그런데 그 소리들은 아주 구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모두 세상에서 밀려난 작은 소리들이다. 눈으로 익힌 언어들의 대개가 개념어들인데 반해 귀에 친근한 언어군은 체험현장과 밀접한 감각 혹은 구체어들이다. 이 감각, 구체어들이야말로 시의 보고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에서의 표현은 언어학자 야콥슨이 주장한 “일상 언어에 대한 조직적 폭력으로서의 언어”이어야 한다. 즉 일상 어법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일상 어법에서 벗어난 일탈적이면서도 창조적인 언어의 사용이 필요한 것이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 간 창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 기형도, 시, <엄마 걱정>, 전문

 

 

     위 시편에서 셋째 행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는 시든 지 오래”라는 시 구절은 일상 어법이 아니다. 일상 어법에서는 “날이 저물었다”라고 말하는 것이 보통이다.

 

 

날이 저물고

먼 곳에서 빈들이 넘어진다

무한천공 바람 겹겹이

사람은 저 혼자 펄럭이고

파도치는 거리의 집들

어딜까 어딜까

마지막 남은 햇빛 하나가

도시를 끌고 간다

- 강은교, 시, <자전 . 2> 중에서

 

 

     위 시편에서 “빈 들이 넘어진다” “사람은 저 혼자 펄럭이고” “파도치는 거리의 집들” “마지막 남은 햇빛 하나가 도시를 끌고 간다”라는 구절들은 모두 일상 어법과는 다른 창조적 표현으로서의 시적 진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시적 표현은 의미가 곧바로 전달되는 일상어법이 아니라 의미가 간접적, 우회적으로 전달되는 반투명성으로서의 어법인 것이다.

 

 

     넷째, 좋은 시는 구조적 차원의 비유가 적용될 때 실현된다.

     구조적 차원의 비유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비유의 개념부터 알아보기로 하자. 비유는 시의 구성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시의 구성 요소는 시의 주요한 배경 지식으로서 시 쓰기에 있어 언제든 창조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운동 경기를 재미있고 실속 있게 관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 경기에 대한 ‘룰rule'을 잘 알아야 한다. 이 룰에 대한 숙지와 인식 여하에 따라 관전의 쾌감이 다르고, 태도 또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중의 태도가 이러할진대 경기의 주체인 선수가 룰을 모르고 경기장에 들어설 수는 없는 일이다. 글쓰기와 글에 대한 감상과 이해 역시 이와 다르지 않다. 운동 경기의 주체인 선수가 룰을 모르고 운동에 참여할 수 없듯이 글쓰기 주체인 창작자가 글에 대한 기본적인 체계와 그 구성 원리를 제대로 모르다면 제대로 된 글이 나올 수 없다.

     시에 대한 일반의 생각이 있다. ‘시는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는 고정관념에 지나지 않는다. 흔히들 고등수학이나 물리학 추상 미술이나 고전 음악이 어려운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의제기를 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유독 시가 어렵다는 것에 대해서는 불평과 불만이 많다. 이는 분명 잘못된 태도이다. 고등수학이나 추상 미술이 그러하듯이 문학의 성취도 치열한 지적 투자 없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의 요소 즉, 주제의 구현과 제목 붙이기, 시의 구성, 어조의 역할과 어조 구성의 유의점, 역설과 아이러니, 상징, 비유, 인유와 패러디, 시점과 거리, 화자와 청자의 관계, 알레고리, 서술, 묘사 등의 배경지식은 시 창작에 있어 반드시 숙지해야 할 첫 번째 항목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무엇하나 소홀할 수 없지만 이 가운데 여기에서는 지면상 비유에 대하여만 설명하고자 한다.

     비유는 서로 다른 사물들이나 관념들 간의 유사성에 대한 지각 행위를 말한다. 이것이 ‘차이성’에 주목하는 아이러니와 다른 점이다.

     그런데 이러한 비유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형태나 모양의 유사성과 내용이나 성질의 유사성이 바로 그것이다. 먼저 좀 우스운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를 설명해보자. 평생을 아이의 천진무구한 마음과 새처럼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다 가신 천상병 시인의 프로필 사진을 두고 일찍이 고은 시인은 “천상병 시인의 얼굴은 잘못 말린 해산물 같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것은 천상병 시인의 얼굴이 말린 해산물같이 많이 구겨져 보인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해산물과 시인의 얼굴 사이에서 ‘구겨졌다’는 형태의 유사성을 찾았기에 위와 같은 비유적 표현이 가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생활은 촛불이다” “내 마음은 호수다” 같은 시 구절들은 형태나 모양이 유사해서 나온 비유가 아니다. 그것은 내용이 유사하기 때문에 나온 비유이다. 생활과 촛불은 ‘언제 꺼질지 모른다’ 는 점에서 마음과 호수는 ‘맑고 깨끗하다’는 점에서 서로 간 유사성을 찾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같은 비유의 개념을 이해했을 때 구조적 차원의 비유를 시 쓰기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구조적 차원의 비유는 위에서 든 예처럼 시편 속에는 구체적 비유가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구체적 비유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전체 차원에서 보면 비유가 적용되는 것이 구조적 차원의 비유다.

 

 

술병은 잔에다

자기를 계속 따라주면서

속을 비워간다

 

 

빈 병은 아무렇게나 버려져

길거리나

쓰레기장에서 굴러다닌다

 

 

바람이 세게 불던 밤 나는

문 밖에서

아버지가 흐느끼는 소리를 들었다

 

 

나가보니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빈 소주병이었다.

- 공광규, 시, <소주병>, 전문

 

 

     불을 품은 푸른 몸의 사내(소주병)가 있다. 그를 마시고 사람들은 피가 뜨거워지는 경험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불을 누군가가 다 소비했을 때 그는 비참하게 버려졌다. 바람이 세게불던 밤 시인은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빈 소주병에서 아버지의 흐느낌을 듣는다. 그도 어느새 잔(자식)에다 자기를 따라주면서 속을 비워가는 아버지가 된 것이다.

     위 시편은 구체적으로 시행을 통해 비유가 진술되지는 않았지만 전체적 차원에서 비유가 적용되고 있다. 즉, 아버지와 빈소주병 사이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시인은 그것을 화두로 혹은 그것에서 직관 혹은 영감을 얻어 한 편의 시를 지을 수 있었던 것이다.

     한 편 더 인용해 보기로 하자.

 

 

소는 죽어서도 매를 맞는다

살아서 맞던 채찍 대신 북채를 맞는다

살가죽만 남아 북이 된 소의

울음소리, 맞으면 맞을수록 신명을 더한다

 

 

노름꾼 아버지의 발길질 아래

피할 생각도 없이 주저앉아 울던

어머니가 그랬다

병든 사내를 버리지 못하고

버드나무처럼 쥐여 뜯긴

머리를 풀어헤치고 흐느끼던 울음에는

저런 청승맞은 가락이 실려 있었다

 

 

채식주의의 질기디 질긴 습성대로

죽어서도 여물여물

살가죽에 와 닿은 아픔을 되새기며

둥 둥 둥 둥 지친 북채를 끌어당긴다

끌어당겨 연신 제 몸을 친다

- 손택수, 시, <소가죽북> , 전문

 

 

     소처럼 가련한 존재도 없을 것이다. 살아서는 인간을 위해 자신의 전 노동력을 바치고 죽어서는 부위별로 팔려나가고, 북이 된 가죽은 매까지 맞으며 운다. 우리들의 이전 시대 어머니들도 그랬다. 소까지는 아니지만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권력 이데올르기 속에서 일방적 희생을 강요당하고도 아무런 보상을 받을 수 없었던 존재가 우리들의 보통 어머니였던 것이다.

     이 시는 이질적인 두 사물 즉, ‘소가죽’과 ‘어머니’를 연결하는 유사성의 시작으로부터 시작되고 있다.

<계속>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10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 - 소쉬르 2017-10-30 0 3387
809 시는 낱말의 조합으로 초자연적인 길을 열어야... 2017-10-30 0 2150
808 [타산지석] - 100年 = 100人 2017-10-30 0 2789
807 시인은 예언적 신앙심으로 모든것에 사랑을 심어야... 2017-10-30 0 2956
80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예부흥운동을 주도한 "상원의원"시인 2017-10-30 0 3923
805 [노벨문학상과 시인]생전 수상 거부, 죽은후 수상자가 된 시인 2017-10-29 0 3307
804 [노벨문학상과 시인]지도자 계급의 어용문인으로 전락된 시인 2017-10-29 0 2981
803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학과 언어학의 부흥을 주도한 시인 2017-10-29 0 3445
80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제1회 노벨문학상 주인공으로 된 시인 2017-10-29 0 4070
801 [노벨문학상과 시인]비평가들로부터 절대적 인정을 받은 시인 2017-10-29 0 3469
800 [노벨문학상과 시인] - "새로운 시"의 동의어를 만들어낸 시인 2017-10-29 0 3503
799 시작에서도 싱싱한 화면으로 시정짙은 공간을 펼쳐보여야... 2017-10-28 0 3251
798 시작에서도 조각적 회화공간의 미를 창조해야... 2017-10-28 0 5662
797 시작에서도 선과 리듬으로 독자들을 끌어야... 2017-10-28 0 2976
79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알을 깨고 새세계를 연 시인 2017-10-25 0 7233
795 [노벨문학상과 시인] - 남아메리카 칠레 녀류시인 2017-10-25 0 3526
794 "마지막 잎새에도" 그는 "빛"이였다... 2017-10-25 0 2554
793 단 한번도 반복되는 하루는 두번 다시 없다... 2017-10-22 0 2702
792 "삶은 짧지만 하나의 강렬한 축제" 2017-10-21 0 2522
791 20세기 최고의 독일 시인 중 한 사람 - 라이너 마리아 릴케 2017-10-21 0 4131
790 "나는 내가 가진 모든것들을 당신에게 빚졌습니다"... 2017-10-21 0 2254
789 " 머리가 어질어질 뗑하게 만드는" 러시아 시인들 이름... 2017-10-21 0 2268
788 러시아 투사시인 - 표드르 이바노비치 츄체프 2017-10-21 0 3099
787 독학으로 배운 언어로 시를 쓴 노르웨이 과수원 농부시인... 2017-10-20 0 2456
786 시인 김용제는 "그림자", 시인 윤동주는 "빛"... 2017-10-20 0 2429
785 시작에서도 정적인것을 동적인것으로 출구를 찾아 표현해야... 2017-10-17 0 2084
784 [그것이 알고싶다] - 어린이들은 "어린이"를 알고 있는지요?... 2017-10-17 0 4008
783 "어린이"와 방정환 그리고 "강도" 2017-10-17 0 4866
782 "내 쓸개를 잡아 떼어 길거리에 팽개치랴"... 2017-10-17 0 2103
781 시비(詩碑)에 또 시비(是非)를 걸어보다... 2017-10-17 0 2664
780 "반달할아버지"가 "반달"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다?!... 2017-10-17 0 1951
779 "반달할아버지"와 룡정 2017-10-17 0 1996
778 "반달" = "하얀 쪽배(小白船)" 2017-10-16 0 3429
777 시인이라고 해서 다 시인이다?... 아닌 이도 있다!... 2017-10-14 0 1795
776 시인은 용기를 내여 치렬하게 작품을 쓰라... 2017-10-14 0 2282
775 [쟁명] - "꾸준히 실험시를 써보라"... 2017-10-14 0 2033
774 "반달"과 "반달 할아버지" 2017-10-14 1 3003
773 한줄기의 빛이었던 시인 - 윤동주 2017-10-13 0 2246
77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 아이디어, 한 이미지를 갖고 써라... 2017-10-10 0 2069
771 "현대시는 암소, 하이퍼시는 암퇘지"... 2017-10-10 0 2440
‹처음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