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고향에서 들었던 소리가 음악을 낳다...
2017년 10월 06일 23시 02분  조회:2147  추천:0  작성자: 죽림
윤이상 100년, 분단을 넘어 그의 음악을 껴안을 때

[오마이뉴스 글:이채훈, 편집:홍현진]

윤이상(尹伊桑, 1917~1995)을 아시는가?

독일에 머물던 1967년 중앙정보부 요원들에게 납치되어 고문 끝에 '동베를린 간첩단'으로 조작된 사람, 조국의 통일과 민주주의를 위해 모든 걸 바쳤지만 끝내 고향 땅을 밟지 못한 채 눈을 감은 비운의 음악가.

올해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했지만 우리는 아직 그를 온전히 알지 못한다. 분단과 냉전의 기득권 체제가 그의 '인간'과 '음악'을 질식시키고 일그러뜨렸기 때문이다.

▲  윤이상, 그는 20세기 세계 5대 작곡가로 꼽힌다
ⓒ 참여사회
그가 20세기의 세계 5대 작곡가로 꼽힌다는 사실은 표면적인 찬사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1958년 다름슈타트(Darmstadt) 음악제에 참가, 음악인지 아닌지 모를 존 케이지의 퍼포먼스를 목격한 윤이상은 "산더미를 준다 해도 이런 짓을 하기는 싫다"고 했다. 그는 슈토크하우젠, 루이지 노노, 피에르 불레즈의 음악에 매료됐지만, "교묘한 형태의 현대식 고층건물" 같은 이런 작품들을 쓸 생각이 없다고 했다.

대신 그는 동양 음악의 '주요음(Hauptton)' 기법을 도입, 노자의 철학과 같은 환상의 세계를 그렸다.

서양음악은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이뤄진 도형이지만,
동양음악은 한
획으로 이뤄져 있으며 굵기가 계속 변한다.

1959년 다름슈타트에서 발표한 <일곱 악기를 위한 음악>과 1966년 도나우에싱엔(Donaueschingen) 음악제에서 선보인 <예악>은 '주요음' 기법을 사용한 걸작이다.

그는 궁지에 몰려 비틀거리던 서양음악에 동양의 혼을 불어넣어 새로운 생명력을 창조했다. 

지난 봄, 햇살 따뜻한 남쪽 통영의 푸른 바다에서 그를 느낀 게 기억난다. 그의 기념관에서 한참 선 채로 <낙양>의 아득한 선율에 마음을 맡겼다. 윤이상은 자신의 음악은 모두 통영에서 출발했다고 말했다.

고향에서 들었던 소리가 그의 음악 모티브였다.

"그 잔잔한 바다,
그 푸른 물색,
가끔 파도가 칠 때도 그 파도소리는 내게 음악으로 들렸고,
그 잔잔한 풀을 스쳐가는 초목의 바람도 내겐 음악으로 들렸습니다."

39세 때 독일로 떠나서 78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국땅에서 통한의 세월을 보내는 동안 아름다운 고향의 소리는 언제나 그의 마음에 사무쳤다. 이 통영 거리에서 그의 이름을 지우고, 생가에 그의 이름을 쓸 수 없게 한 야만의 레드 콤플렉스, 그것이야말로 분단과 냉전이 낳은 가장 깊은 적폐 아니었을까. 

윤이상을 정치적으로 만든 사람은 f..였다. 1964년, f..가 서독을 공식 방문했을 때 환영 행사에서 본(Bonn) 시립교향악단이 윤이상의 <낙양(洛陽)>을 연주했다. 이어진 커피 타임, 뤼프케 서독 대통령이 좌중에게 윤이상을 소개하자 f대통령은 아무 표정도 없이, 한마디 말도 없이 손만 내밀었다.

윤이상, f.., 뤼프케의 순서로 자리가 배치됐는데, 음악에 식견이 있던 뤼프케 대통령은 f..를 가운데 두고 윤이상을 향해 자꾸 <낙양>에 대해 얘기했다. f..는 그 시간 내내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f..는 윤이상과의 첫 만남을 불쾌하게 여긴 게 분명하다. 4·19혁명 때 피에 묻혀 뒹구는 청년 학생들을 생각하며 라디오 앞에서 펑펑 울었던 윤이상, 민주주의를 군화발로 짓밟은 5·16쿠데타의 주역 f... 두 사람은 아무래도 서로 좋아할 수 없었다. 

불길한 첫 만남은 3년 뒤 '동베를린 간첩단 사건'으로 비화됐다. 1967년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를 동시에 치렀는데, 부정선거 시비가 끊이지 않자 f.. 정권은 대규모 간첩단 사건을 조작하여 위기를 모면하려 했다.

고문에 굴복할 수 없었던 윤이상은 아무도 없는 틈을 타서 책상 위의 묵직한 유리 재떨이로 자신의 뒤통수를 여러 차례 강타하여 자살을 기도했다. 철철 흐르는 피를 손가락에 묻혀서 벽에 유언을 썼다. "나의 아이들아, 나는 스파이가 아니다." 인류의 지성과 문화를 부정하는 한국 군부의 폭거에 세계의 음악가들이 팔을 걷어붙였고 f..는 윤이상을 석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은 "납치 사실을 절대 발설하지 말 것" 등을 요구하고, 이를 무시할 경우 "적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고 협박한 뒤 윤이상을 한국에서 추방했다.

윤이상은 훗날 이렇게 회상한다.

"그때까지 나의 예술적 태도는 비정치적이었다. 그러나 1967년의 그 사건 이후 f..와 김형욱은 잠자는 내 얼굴에 찬물을 끼얹은 격으로 나를 정치적으로 각성하게 하였다. 나는 그때 민족의 운명을 멸망의 구렁텅이로 빠뜨리는 악한(惡漢)들이 누구인가를 여실히 목격하였다." 

진정한 예술가는 당대의 문제를 외면하지 않으며, 시대의 아픔을 온몸으로 끌어안아 내적으로 성숙시켜 예술로 꽃피운다. 윤이상은 분단과 독재를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예술을 기꺼이 바쳤다.

5·18의 참상을 듣고 몸부림치며 <광주여, 영원히>를 작곡했고, 1987년에는 남쪽 시인들의 노랫말로 칸타타 <나의 땅, 나의 민족이여>를 작곡, 북쪽 예술가들과 함께 평양에서 초연했다. 그는 고향 땅을 밟고 싶었고, 음악으로 민족을 하나 되게 만들고 싶었지만 q.. 군부정권은 그의 입국을 한 번도 허용하지 않았다. 

j.. 문민정부가 들어선 뒤에도 한국 정부의 인식 수준은 여전히 저열했다. 윤이상은 방한을 허락해 달라고 청원하는 편지를 대통령 앞으로 보냈는데, 총리는 "지난 날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쳐서 미안하다는 것, 앞으로 예술에만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윤이상의 양심의 자유를 침해하는 내용이었다.

국가폭력의 희생자 윤이상에게 국가가 사과하고 용서를 빌기는커녕, 오히려 반성문 제출을 요구하는 꼴이었다. 이리하여 윤이상이 고향땅을 밟을 마지막 기회는 사라졌다. 그는 이듬해, 1995년 11월 3일, 머나먼 이국 땅 베를린에서 78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윤이상의 영혼은 지금도 한반도 어딘가를 떠돌고 있을 것이다.

우리는 그를 너무 몰랐다. 무엇보다, 그를 분단의 감옥에 가뒀기 때문에 제대로 알 수가 없었다. 그를 이념의 잣대로 재단하여 금기시 한 것이야말로 적폐였다. 자기가 태어난 땅에서 유배된 예술가, 분단의 벽에 머리를 짓이기고, 통한의 한반도를 끌어안은 채 음악으로 울부짖은 윤이상….

그의 탄생 100년을 맞아 이제 온전한 마음으로, 자랑스런 마음으로 그의 음악을 받아들이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10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 - 소쉬르 2017-10-30 0 3464
809 시는 낱말의 조합으로 초자연적인 길을 열어야... 2017-10-30 0 2239
808 [타산지석] - 100年 = 100人 2017-10-30 0 2870
807 시인은 예언적 신앙심으로 모든것에 사랑을 심어야... 2017-10-30 0 3061
80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예부흥운동을 주도한 "상원의원"시인 2017-10-30 0 4005
805 [노벨문학상과 시인]생전 수상 거부, 죽은후 수상자가 된 시인 2017-10-29 0 3375
804 [노벨문학상과 시인]지도자 계급의 어용문인으로 전락된 시인 2017-10-29 0 3103
803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학과 언어학의 부흥을 주도한 시인 2017-10-29 0 3519
80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제1회 노벨문학상 주인공으로 된 시인 2017-10-29 0 4168
801 [노벨문학상과 시인]비평가들로부터 절대적 인정을 받은 시인 2017-10-29 0 3539
800 [노벨문학상과 시인] - "새로운 시"의 동의어를 만들어낸 시인 2017-10-29 0 3619
799 시작에서도 싱싱한 화면으로 시정짙은 공간을 펼쳐보여야... 2017-10-28 0 3358
798 시작에서도 조각적 회화공간의 미를 창조해야... 2017-10-28 0 5794
797 시작에서도 선과 리듬으로 독자들을 끌어야... 2017-10-28 0 3062
79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알을 깨고 새세계를 연 시인 2017-10-25 0 7389
795 [노벨문학상과 시인] - 남아메리카 칠레 녀류시인 2017-10-25 0 3622
794 "마지막 잎새에도" 그는 "빛"이였다... 2017-10-25 0 2598
793 단 한번도 반복되는 하루는 두번 다시 없다... 2017-10-22 0 2750
792 "삶은 짧지만 하나의 강렬한 축제" 2017-10-21 0 2627
791 20세기 최고의 독일 시인 중 한 사람 - 라이너 마리아 릴케 2017-10-21 0 4267
790 "나는 내가 가진 모든것들을 당신에게 빚졌습니다"... 2017-10-21 0 2334
789 " 머리가 어질어질 뗑하게 만드는" 러시아 시인들 이름... 2017-10-21 0 2361
788 러시아 투사시인 - 표드르 이바노비치 츄체프 2017-10-21 0 3190
787 독학으로 배운 언어로 시를 쓴 노르웨이 과수원 농부시인... 2017-10-20 0 2514
786 시인 김용제는 "그림자", 시인 윤동주는 "빛"... 2017-10-20 0 2493
785 시작에서도 정적인것을 동적인것으로 출구를 찾아 표현해야... 2017-10-17 0 2124
784 [그것이 알고싶다] - 어린이들은 "어린이"를 알고 있는지요?... 2017-10-17 0 4219
783 "어린이"와 방정환 그리고 "강도" 2017-10-17 0 5003
782 "내 쓸개를 잡아 떼어 길거리에 팽개치랴"... 2017-10-17 0 2156
781 시비(詩碑)에 또 시비(是非)를 걸어보다... 2017-10-17 0 2742
780 "반달할아버지"가 "반달"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다?!... 2017-10-17 0 2025
779 "반달할아버지"와 룡정 2017-10-17 0 2076
778 "반달" = "하얀 쪽배(小白船)" 2017-10-16 0 3500
777 시인이라고 해서 다 시인이다?... 아닌 이도 있다!... 2017-10-14 0 1843
776 시인은 용기를 내여 치렬하게 작품을 쓰라... 2017-10-14 0 2322
775 [쟁명] - "꾸준히 실험시를 써보라"... 2017-10-14 0 2152
774 "반달"과 "반달 할아버지" 2017-10-14 1 3103
773 한줄기의 빛이었던 시인 - 윤동주 2017-10-13 0 2297
77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 아이디어, 한 이미지를 갖고 써라... 2017-10-10 0 2138
771 "현대시는 암소, 하이퍼시는 암퇘지"... 2017-10-10 0 2487
‹처음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