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중국 청나라 문인 - 원매(袁枚)
2018년 02월 20일 22시 19분  조회:5560  추천:0  작성자: 죽림

원매 (청나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매(袁枚, 1716년~1797년)는 (淸) 중기의 문인이다. 자는 자재(子才), 호는 간재(簡齋), 또는 수원노인(隨園老人).

생애[편집]

저장 성(浙江省) 첸탕(錢塘) 사람으로, 24세로 진사에 합격하여 한림원 서길사(翰林院庶吉士)가 되었으나 만주어 성적이 나빠 지방관으로 율수·장닝(江寧) 등의 지현(知縣)을 역임하였고, 37세에 사직하여 장닝현의 소창산(小倉山)에 수원(隨園)을 영위하여 매문(賣文)에 의해서 취미의 세계에 사는 문인생활로 들어갔다.

시는 고인(古人)의 모방을 배제하고 자연의 성정(性情)을 노래하는 성령설을 제창하였고, 또한 부인에게 시작(詩作)을 권장하여 제자의 작품집 <수원여제자시선(隨園女弟子詩選)>을 편집했다. 문은 변문을 특기로 했으며 고문·변문 공히 뛰어나서 기윤과 함께 '남원북기(南袁北紀)'라고 병칭되었다. 미식(美食)과 승경(勝景)을 찾아 각지를 유람하였고, 음식에 관해 쓴 <수원식단(隨園食單)>과 <유황산기(遊黃山記)> 등이 있다. 또한 귀신의 세계에 흥미를 나타내서 괴담집인 <자불어(子不語)>이 있으며 청년시대부터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다. 시론으로서는 <수원시화(隨園詩話)>가 있다.

평가[편집]

원매는 조용히 은신하는 삶을 산 것이 아니라 ‘마음 가는 대로’ 자신이 좋아했던 것을 펼치고 살았던 이채로움을 가진 인물이었다. 일본의 중국 문학 연구자인 이나미 리쓰코(井波律子)는 ≪중국의 은자들≫[파주(坡州), 한길사, 2002]에서 그에 대해 “깊이 병든 데카당스와 감추어진 가능성에 대한 과감한 도전, 평생 이 양극단을 오간 원매는 중국의 수많은 은자들 중에서도 유난히 스케일이 크고 일종의 요기를 발산하는 괴물 은자”라고 평가한 바 있다. 그의 평을 통해서 우리는 원매라는 인간이 가진 이채로움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 그는 두 가지를 축으로 원매의 인생을 갈무리하고 있다. 우선 깊이 병든 데카당스는 원매가 호화로운 원림, 곧 수원(隨園)에서 거듭 만찬을 열어 강남 명사들과 교류하고 수많은 첩을 거느리며 호사스러운 생활을 했던 것, 그리고 전통 사회에서 서른 명이 넘는 여제자를 두었던 것과 여색뿐만 아니라 남색 또한 즐기며 화려한 애정 행각을 벌였던 그의 인생을 함축하는 것일 테다. 사실 이나미 리쓰코는 양극단의 또 다른 축으로 감추어진 가능성에 대한 과감한 도전을 거론하지만, 깊이 병든 데카당스에는 어느 때건 또 다른 탈주를 감행할 무궁한 가능성이 잠재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원매의 당시 전통에 대한 부정, 사회적 금기에 대한 거부의 정서는 그런 점에서 그의 과감한 도전이면서 동시에 데카당스로 간주될 수 있는, 역시 원매를 구성하는 질료들이다. 18세기 중국 사회에서 원매는 어느 쪽으로건 쉽게 계열화될 수 없는 인물이었다.


  • ≪원매 산문집≫, 백광준 역, 2009년, 지만지, 
  • =============================덤으로 더...
  • 원매(1716~1797)는 중국 청나라 시대의 인물이다. 시인이었던 그를 후대의 사람들은 음식 사학자로도 기억한다. 그가 펴낸 고서적 <수원식단> 때문이다. 서른세살 때 부친이 사망하자 그는 관직을 사임하고 낡은 정원을 사들여 ‘수원’이라 이름 짓고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평소 사람들과 교류하길 즐겼던 그는 초대받은 집의 음식이 맛있으면 반드시 요리사를 보내 배워 오게 했다. 40여년간 지속한 그의 음식 사랑이 360가지가 넘는 조리법을 담은 명저를 탄생시켰다. 그의 음식 철학은 투철했다. ‘요리사가 해서는 안 될 14계명’에는 ‘요리 이름만 번듯하게 지어서는 안 된다’ ‘요리를 미리 만들어 두면 안 된다’ 등이 꼼꼼히 적혀 있다. 무릇 사람의 몸에 들어가는 먹을거리를 만드는 이는 생각이 반듯해야 한다. 맛은 그다음이다. 
     

  • ==================================
  • 백지에 담긴 사연                  곽휘원의 아내

     

    벽사창에 기대서서 봉투를 뜯어보니        碧紗窓下啓緘封(벽사창하계함봉)

    조그만 종이 한 장 텅텅 비어 있습디다     尺紙終頭徹尾空(척지종두철미공)

    옳거니, 낭군님이 이별 한을 품으시고      應是仙郞懷別恨(응시선랑회별한)

    날 그리는 온갖 사연 침묵 속에 담았네요  憶人全在不言中(억인전재불언중)

     

     

    사오 년 전이다. 참 어여쁜 여학생 하나가 겨울 방학 때 제법 두툼한 편지를 보내왔다. 화들짝 뜯어보다가, 그만 어안이 벙벙해서 하마터면 뒤로 넘어갈 뻔했다. 기나긴 편지에 뜨겁고도 진진한 사랑이 구석구석 넘쳐흘렀기 때문이다. 말할 것도 없이 연인에게 보낸 편지였다. 아마 그녀의 연인도 그날쯤 난데없는 편지를 받고 망연자실했을 것이다. 자기에게 보낸 편지가 아니라, 연인이 선생에게 보낸 편지였을 테니까. 얼마 후에 그 여학생이 연구실로 나를 찾아왔다. 연인으로부터 돌려받은 편지를 꺼내면서 가만히 얼굴을 붉혔다. 나도 잘못 받은 편지를 돌려주며, 그냥 슬며시 웃어주었다. 서로 말 없이 마주 앉아서 아주 오래도록 차를 마시다가 헤어졌다.

       

    이 일화가 생각날 때마다 청(淸)나라의 시인 원매(袁枚)의 ‘수원시화(隨園詩話)’에 수록되어 있는 이야기 한 토막이 떠오른다. 곽휘원(郭暉遠)이라는 사람이 고향을 떠나서 벼슬살이를 하다가, 그리운 아내에게 편지를 썼다. 편지를 다 써서 봉투에 넣을 때, 실수로 그만 사연 많은 편지 대신에 백지를 넣어 보내고 말았다. 아내가 남편의 편지를 받고 반가운 마음에 화들짝 뜯어보니, 어이없게도 백지 한 장이 전부였다. 이에 아내는 답장 대신에 위의 시를 써서 남편에게 보냈다. 눈 내린 들판 같이 하얀 편지, 바로 그 순도 100%의 무언(無言) 가운데 오롯이 담겨 있는 온갖 사연들을 잘 읽었다는 뜻이 되겠다. 재치가 넘치는 시이기도 하나, 꿈보다 해몽이 더 기가 막히는 견강부회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심전심의 교감이 오고가는 부부 사이에, 말이 없다 해서 모를 게 도대체 무엇이 있겠는가.

     

    사오년 전 학기말 시험 때다. 시험지를 나눠주자 말자, 조용하던 교실에 한동안 다각다각 말 달리는 소리가 요란하다. 하지만 불과 얼마 후에 여기저기서 한숨 쉬는 소리가 들려오더니, 우르르 답안지를 내고 나간다. 죄다 나갔는데, 텅 빈 교실에서 최후의 일각까지 몸부림을 치며 사투를 벌이는 여학생이 있다. 무슨 경천동지할 답안지를 작성하고 있나 보다 했는데, 정말 놀랍게도 완전 백지를 내고 나간다. 나는 이 눈 내린 들판같이 하얀 종이를 눈에 안 보이는 글씨로 충만한 엄청 사연 많은 백비(白碑: 글씨를 새기지 않은 비석)로 읽는다. 그러나 사연이 아무리 많아도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므로 어쩔 수 없이 에프를 주노니, 용서하시라 백비를 쓴 이여! 하지만 네 마음 내가 다 안다.

     

                                               이종문: 시인, 계명대한문교육과 교수

  • ==================
  •  

    제화題畫 그림에 부쳐 원매袁枚(1716~1797)

    촌락만청천村落晩晴天 시골 저녁 쾌청한 날씨에

    도화영수선桃花映水鮮 복사꽃 물에 비쳐 곱다.

    목동하처거牧童何處去 목동은 어디로 갔는고

    우배일구면牛背一鷗眠 소등에 갈매기 한 마리 졸고 있다.

     

    원매袁枚(1716~1797) 淸 중기의 문인자는 자재子才호는 간재簡齋또는 수원노인隨園老人.

     

    저장성浙江省 첸탕錢塘 사람으로, 24세로 진사에 합격하여 한림원서길사翰林院庶吉士가 되었으나 만주어 성적이 나빠 지방관으로 율수·장닝江寧 등의 지현知縣을 역임하였고, 37세에 사직하여 장닝현의 소창산小倉山에 수원隨園을 영위하며 매문賣文에 의해서 취미의 세계에 사는 문인생활로 들어갔다.

     

    시는 고인古人의 모방을 배제하고 자연의 성정性情을 노래하는 성령설을 제창하였고또한 부인에게 시작詩作을 권장하여 제자의 작품집 <수원여제자시선隨園女弟子詩選>을 편집했다문은 변문을 특기로 했으며 고문·변문 공히 뛰어나서 기윤과 함께 '남원북기南袁北紀'라고 병칭되었다미식美食과 승경勝景을 찾아 각지를 유람하였고음식에 관해 쓴 <수원식단隨園食單>과 <유황산기遊黃山記등이 있다또한 귀신의 세계에 흥미를 나타내서 괴담집인 <자불어子不語>가 있으며 청년시대부터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다시론으로서는 <수원시화隨園詩話>가 있다.

     

    원매는 조용히 은신하는 삶을 산 것이 아니라 마음 가는 대로’ 자신이 좋아했던 것을 펼치고 살았던 이채로움을 가진 인물이었다.일본의 중국 문학 연구자인 이나미리쓰코井波律子는 중국의 은자들[파주坡州한길사, 2002]에서 그에 대해 깊이 병든 데카당스와 감추어진 가능성에 대한 과감한 도전평생 이 양극단을 오간 원매는 중국의 수많은 은자들 중에서도 유난히 스케일이 크고 일종의 요기를 발산하는 괴물 은자라고 평가한 바 있다그의 평을 통해서 우리는 원매라는 인간이 가진 이채로움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그는 두 가지를 축으로 원매의 인생을 갈무리하고 있다우선 깊이 병든 데카당스는 원매가 호화로운 원림곧 수원隨園에서 거듭 만찬을 열어 강남 명사들과 교류하고 수많은 첩을 거느리며 호사스러운 생활을 했던 것그리고 전통 사회에서 서른 명이 넘는 여제자를 두었던 것과 여색뿐만 아니라 남색 또한 즐기며 화려한 애정 행각을 벌였던 그의 인생을 함축하는 것일 테다사실 이나미리쓰코는 양극단의 또 다른 축으로 감추어진 가능성에 대한 과감한 도전을 거론하지만깊이 병든 데카당스에는 어느 때건 또 다른 탈주를 감행할 무궁한 가능성이 잠재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그렇다면 원매의 당시 전통에 대한 부정사회적 금기에 대한 거부의 정서는 그런 점에서 그의 과감한 도전이면서 동시에 데카당스로 간주될 수 있는역시 원매를 구성하는 질료들이다. 18세기 중국 사회에서 원매는 어느 쪽으로건 쉽게 계열화될 수 없는 인물이었다.

     
  • =======================================
  • 확대
    江到興安水最淸(강도흥안수최청):麗江을 거슬러 흥안에 이르니 물이 아주 맑구나, 
    靑山簇簇水中生(청산족족수중생):푸른 산은 무리지어 물 가운데 솟아 있네. 
    分明看見靑山頂(분명간견청산정):분명 푸른 산의 정상을 보았는데,
    船在靑山頂上行(선재청산정상행):배가 푸른 산 봉우리를 지나가네.

    ----游桂林諸山記 / 袁枚(淸,1716 - 1797)
    새글 


     

    銷夏詩(소하시)
    - 원매(袁枚 1716~1797, 청나라 시인) 

    不著衣冠近半年(불착의관근반년) : 반 년 남짓 거추장스런 의관을 벗어 버리고
    水雲深處抱花眠(수운심처포화면) : 물 안개 깊은 곳에서 꽃을 안고 잠잔다
    平生自想無冠樂(평생자상무관락) : 벼슬 없는 즐거움을 평생 꿈꿔 왔거늘
    第一驕人六月天(제일교인유월천) : 무더운 유월 더위에 내가 제일 낫구나. 새글

     

     

    春日偶吟(춘일우음)
    - 袁枚(원매) 


    봄날에

    白髮蕭蕭霜滿肩(백발소소상만견 ) : 어깨 위에 백발을 서리처럼 드리우고
    送春未免意留連(송춘미면의유련 ) : 이 봄 보내는 쓸쓸한 마음
    牡丹看到三更盡(모단간도삼경진 ) : 밤이 늦도록 모란꽃 지켜보는 것은
    半爲憐花半自憐(반위련화반자련 ) : 반은 꽃 서러워 반은 나 서러워서라네. 새글

     

     

  • =====================================

  • 산꼭대기를 가는 배 (興安)
  • / 원매(袁枚)

    江到興安水最淸 (강도흥안수최청)
    강은 흥안에 이르러 물이 가장 맑은데

    靑山簇簇水中生 (청산촉촉수중생)
    푸른산이 뽀죽뽀죽 물속에서 솟아나네

    分明看見靑山頂 (분명간견청산정)
    분명 내 눈으로 푸른 산꼭대기를 보았는데

    船在靑山頂上行 (선재청산정상행)
    배가 푸른산 꼭대기 그 위를 가고 있네

    (興安)
  • / 원매(袁枚) 청나라

    계림에서 이강에 배를 띄우고 흥안까지 오는 동안
    주변 산수경관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시인데, 강물에
    비친 산 그림자와 강 위를 떠가는 배의 이미지가 중첩되어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興安(흥안): 광서 계림 동북쪽 60킬로미터 지점
    簇簇(촉촉): 죽순이 여기저기 뾰죽뾰죽 솟아나는 모양 
  • 봄을 모르는 아이~


    반쯤 핀 매화가 반가워

    대지팡이 짚고 한가로이 바라보네.

    아이는 봄을 알지 못해

    풀이 어째서 푸르냐고 묻네.


                               청, 원매


    偶作絕句   一首
      우작절구     일수

    偶尋半開梅  우심반개매
    閑倚一竿竹  한기일간죽
    兒童不知春  아동부지춘
    問草何故綠  문초하고록


    *이른 봄, 반쯤 핀 매화를 반기는 시인의 마음과 
    봄이 되면 풀이 왜 파랗게 자라는지 모르는
    아이의 순진함이 짝을 이루어 청순함이 느껴집니다~^^*

     
  • =================================
  • 連宵風雨惡(연소풍우악)  

    매일 밤 비바람이 거세게 몰아쳐

     

     

    蓬戶不輕開(봉호불경개)

    쑥대로 엮은 문조차 마음대로 열지 못하네

     

     

    山似相思久(산사상사구)

    산은 오랫동안 나를 보고 싶었는 지

     

     

    推窗撲面來(추창박면래)

    창문을 밀자 세차게 밀고 들어오네

    ///

==============================================

連宵風雨惡(연소풍우악)

蓬戶不輕開(봉호불경개) 
山似相思久(산사상사구)

推窓撲面來(퇴창박면래)

 

매일밤 비바람이 세차게 불어

쑥대로 엮은 문조차 마음대로 열지 못했네

산은 오랫동안 나를 생각한 듯

창문을 열자마자 세차게 밀고 들어오네

 

 

청 (淸)의 시인 원매(袁枚)의 시 '推窓(퇴창)' 입니다. 에코님의 그림에 얽힌 이야기를 읽고

문득 이 시를 생각했지요. 원매는 항저우 출신으로 잠깐 관직에 나가기도 했으나 평생

산 속에 파묻혀 야인 생활을 하면서 시를 짓고 산문을 썼던 사람입니다.

시작을 하는데 있어서도 형식보다는 자신의 감정과 눈 앞의 풍광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자유로운 영혼이었다고 하더군요.

 

그의 시 '퇴창'은 산 속의 오두막에서 산을 벗삼아 살아가는
가난한 선비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날마다 마주보던 산인데 오랜 장마비로 며칠을 문조차 못 열다가
참지 못하고 문을 열었더니 산 또한 그를 그리고 있었던 것처럼
그의 시야 안으로 왈칵 들어온다는 겁니다.참으로 절묘한 표현이지요?
고라니골에서 늘 앞 뒤의 산을 바라보며 살다가 그것을 보지 못하게 된
지금의 제게 그리움을 상기시켜 주는 절창이군요. 상사병처럼 산이 그리워집니다.

자연과의 일체감이 시인의 뛰어난 상상력을 통한 절묘한 표현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桃花吹落杳難尋 도화취락묘난심

복숭아꽃 떨어져 찾기 어려우니

 

 

人爲來遲惜不禁 인위래지석불금

늦게 온 사람들 애석해하네

 

 

我道此來遲更好 아도차래지갱호

나는 늦게 오는 게 낫다고 말하네

 

想花心此見花深 상화심차견화심

꽃 그리는 마음이 꽃보는 마음보다 깊다고

 

[출처] 한 시 / 청나라 원매|작성자 땅콩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97 [록색평화주의자]- 곤충식용 시대가 오다... 우리는 언제?... 2016-04-05 0 6382
396 [록색평화주의자]- 한반도에서 소나무가 사라진다면?... 2016-04-05 0 5007
395 가난한 詩人들이여 술로 詩를 쓰라... 2016-04-04 0 5773
394 땡!~ 꽃말 모음 2016-04-04 0 7183
393 잠시 쉬염쉬염ㅡ 꿈얘기... 2016-04-03 0 6122
392 [록색평화주의 者]- 땡!~달,화성에서 농사짓는다면... 2016-03-25 0 5179
391 [록색평화주의 者] 땡!~논이 사라지면 매가 멸종한다 2016-03-25 0 6130
390 땡!~ 인공지능이 쓴 단편소설 문학상 예심까지 가다... 2016-03-24 0 6017
389 땡!~ 버렸다, 비웠다 그리고 삶이 밟아졌다... 2016-03-24 0 5597
388 땡!~ 우리는 언제면 이렇게 될는지???... 2016-03-23 0 5485
387 땡!~ 무거운 엉덩이를 훔쳐라... 2016-03-23 0 4644
386 [록색평화이야기]- 자그마한 새, 천리 날아가다... 2016-03-23 0 4723
385 [록색평화이야기]- 바닷물를 담수로... 2016-03-23 0 5197
384 {쉼터}- 우표에서 공부하기 2016-03-22 0 7171
383 땡!~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아주 적절히... 2016-03-22 0 5805
382 문학과 의학 2016-03-19 0 4604
381 시쓰는 "알파고", 소설쓰는 "알파고" 등장할수도 있다?... 2016-03-19 0 4573
380 땡!~ 셰익스피어 원작자가 따로 있다?... 2016-03-19 0 5216
379 [록색평화이야기]- 명소관광지 락서 력사의 일부가 되다 2016-03-18 0 4825
378 [록색평화이야기]- 흥미로운 독수리 려행 2016-03-18 0 5559
377 일본인 학자 - 오무라 마스오 교수 윤동주 묘 찾기까지... 2016-03-17 0 5801
376 땡!~ 한글 + 한자 = 고유 漢子 2016-03-17 0 5023
375 땡!~ 포기란 있다? 없다!... 2016-03-17 0 5930
374 땡!~ 커피를 알아보기 2016-03-17 0 5380
373 땡!~ 세상에서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사라진다?!... 2016-03-17 0 6351
372 땡!~ 재미가 쏠라당- 언제면 수수께끼 풀리나... 2016-03-17 0 6233
371 땡!~ 재미가 쏠쏠... 불이냐? 석기이냐? 2016-03-17 0 5815
370 [록색평화한마디]- 물고기들도 길을 찾아야 하는데... 2016-03-15 0 4857
369 땡!~우리 모두 다 함께 살아봅시다ㅠ... 2016-03-15 0 4561
368 땡!~ 나는 누구일까ㅠ?... 2016-03-15 0 4739
367 소설 "시인 동주" 로 청년 윤동주의 삶과 문학 재조명 2016-03-14 0 6532
366 이름을 소중히 여기는 삶의 자세가 바르다 2016-03-12 0 5162
365 "20세기의 신화"는 신화에 신화를 낳다... 2016-03-12 0 5046
364 땡!!- "다나까체"...?와 "해요체"...? 2016-03-11 0 5339
363 땡!- 모두가 피할 때 아빠는 막아줬다... 2016-03-11 0 6295
362 <<@이메일>> 고안한 톰린슨 별세 2016-03-08 0 4770
361 [록색평화를 말하다]- 지구를 아낀다면 절전하라... 2016-03-08 0 5404
360 침묵할 때는 침묵하라... 2016-03-07 0 4745
359 땡!!!,- 이건 정말 아니다... 야생동물 "고막" 터질라... 2016-03-04 0 5408
358 영화 "귀향"에서 나오는 노래 2016-02-27 0 7293
‹처음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