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한알의 모래속에서 천국을 본다"...
2018년 03월 29일 00시 28분  조회:3572  추천:0  작성자: 죽림
 
prev
봄기운 찾아온 중국, 봄에 펼쳐진 그림 같은 풍경
3월 22일 장쑤(江蘇, 강소) 우시(無錫, 무석) 타이후(太湖)호에서
촬영한 ‘수양버들’ 풍경 [촬영: 판정광(潘正光)]




<모래에 관한 시 모음> 

+ 모래 왕국 

난 지금 
모래 나라의 임금님입니다. 

산도, 골짜기도, 들판도, 강도 
마음대로 바꾸어 갑니다. 

옛날얘기 속 임금님이라도 
자기 나라 산과 강을 
이렇게 바꿀 수는 없겠지요. 

난 지금 
정말로 위대한 임금님입니다. 
(가네코 미스즈·일본의 천재 동요시인, 1903-1930) 


+ 모래알의 크기 

티끌 하나는 
그 크기가 얼마일까요? 

눈에 들어가면 
모래알보다 더 크지요. 

모래알 하나는 
그 크기가 얼마일까요? 

밥 속에 있으면 
바윗돌보다 더 크지요. 
(민현숙·아동문학가) 
  

+ 모래밥  

날마다 쉴 틈 없이 
모래를 일어 대는 파도 

바다는 누구를 위해 
밥을 지으려는 걸까요 

모래알 말갛게 씻어 
바다가 지어 놓은 모래밥 

갈매기가 콕콕콕 쪼아 보고 
달랑게가 쓰윽쓰윽 헤쳐 보고 
(민현숙·아동문학가) 


+ 모래 한 알 

모래 한 알이 작다고 하지 마 
눈에 한 번  들어가 봐 
울고불고 할 거야. 

모래 한 알이 작다고 하지 마 
밥숟갈에 한 번 들어가면 
딱! 아이구 아파! 할 거야. 

모래알들이 작다고 하지 마 
레미콘 시멘트에 섞이면 
아파트 빌딩으로 변할 거야. 
(정용원·아동문학가) 


+ 모래 

모래가 되어본 자만이 
낙타가 될 수 있다 
낙타가 되어본 자만이 
사막이 될 수 있다 
사막이 되어본 자만이 
인간이 될 수 있다 
인간이 되어본 자만이 
모래가 될 수 있다 
(정호승·시인, 1950-) 


+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모래알 하나를 보고도 
너를 생각했지 
풀잎 하나를 보고도 
너를 생각했지 
너를 생각하게 하지 않는 것은 
이 세상에 없어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 
(정채봉·아동문학가, 1946-2001) 


+ 무구의 노래 

한 알의 모래 속에 세계를 보며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본다. 
그대 손바닥 위에 무한을 쥐고 
한순간 속에 영원을 보라. 
(윌리엄 브레이크·영국 시인, 1757-1827) 


+ 모래알 

너무나 작은 우리는 
모여 있어도 
하나가 될 수 없는 
하나 하나 각각이다 

아무리 단단하게 뭉치려 해도 
뭉칠 수는 없지만 
함께 모여 있다 

우리는 서로 그리워할 수밖에 없다 
하나 하나 마음대로 흩어져 버리면 
우리의 존재가 
사라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용혜원·목사 시인, 1952-) 


+ 바닷가에서 

오늘은 흰 모래의 마음으로 
바닷가를 나왔습니다. 
밀려오는 파도가 내게 말을 건넵니다 

'엄마 보고 싶은 마음 
내가 대신 울어 줄까?' 
'응, 고마워' 

하얀 갈매기 한 마리 
순한 눈길로 
나를 바라봅니다 
(이해인·수녀 시인, 1945-) 


+ 명사십리 

우네, 
천리 길 달려온 파도 
가슴 시퍼렇게 멍들어서 우네 
눈앞에 청산靑山 두고 
청산에 가 닿지 못하는 세월 
울모래등 기어서 기어서 넘으면 
부서지고 부서진 마음 
그 푸르름에 가슴 적실까 
우네, 
십리 가득 펼쳐진 은빛 모래밭 
만파로 달려와 부서지는 파도들 
가슴 시퍼렇게 멍들어 우네 
(김신용·시인, 1945-) 


+ 모래알 유희 

네가 벗어던진 물결이 
오늘 내 발목에 와 찰랑거린다 

선생님, 저예요, 
저는요, 배를, 너무, 타고 싶었어요, 
항해사가 되어, 먼, 아주 먼, 바다에 나가, 
영영, 돌아오고 싶지, 않았어요, 
그런데, 이, 오그라든, 왼손 때문에, 
항해사가 될 수, 없다는 거예요, 그렇다고, 
손이, 다시 펴질 수도, 없잖아요, 
기억나세요, 제가 늘, 왼손을, 주머니에 넣고 다녔던 거, 
그래도 사람들은, 한눈에, 알아차렸죠, 
제 손이, 다시 펴질 수, 없다는 걸, 선생님은, 
주머니에서, 제 손을, 가만히, 꺼내어 잡아주셨지요, 
선생님, 죄송해요, 인사도 못, 드리고 와서, 
그때, 복도에서, 만났을 때, 
먼, 길, 떠난다는, 말이라도 전할 걸, 
그래도, 바다에 오길, 잘, 했어요, 
붉은 흙 대신, 푸른, 물이불을 덮으니까, 
꼭, 요람 속 같아요, 그러니 제 걱정, 마세요, 
잡으려 해도, 잡히지, 않던, 세상이, 
여기서는 그냥, 출렁거려요, 잡을 필요도, 없어요, 
선생님, 제가, 보이세요, 
유리도, 깨질 때는, 푸른, 빛을, 띤다잖아요, 
부서지고, 부서져서, 나중엔, 
저, 모래알들처럼, 작고, 투명해질, 거예요, 
    
흰 물거품을 두 손으로 길어 올렸지만 
손 안에 남은 것은 
한 줌의 모래 

아, 이 모래알이 저 모래알에게 갈 수 없다니! 
(나희덕·시인, 1966-)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70 수선화야, 나와 놀자... 2017-06-24 0 2149
569 시의 제목이 때때로 주제를 요약하거나 암시하게 한다... 2017-06-24 0 2316
568 작가들의 책 증정은 타인의 존중이자 자아관리이다... 2017-06-24 0 3121
567 흑토변 시인 한영남, 두만강역 시인 윤청남 시집 "꽃" 피우다... 2017-06-24 0 3026
566 "6월"의 시모음 2017-06-24 0 2415
565 시는 어휘의 빈곤, 경박한 멋부리기, 산만한 이미지 등은 금물... 2017-06-24 0 2181
564 "손에 쥐고 있는것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날이 있다"... 2017-06-24 0 2113
563 시를 읽을 때, 일단 그 시를 읽고 그림을 미리속에 그려라... 2017-06-24 0 2519
562 시인은 지성과 감성, 사고와 감정이 늘 융합통일이 되여야... 2017-06-24 0 2175
56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6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568
560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강원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059
55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황해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36
55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함경도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598
55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연변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2690
55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동북방언" 알아보다... 2017-06-20 0 3801
55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야생화 이름의 유래... 2017-06-19 0 2370
554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재미있는 식물, 나무이름의 유래... 2017-06-19 0 2543
553 중국 "양주팔괴"의 한사람 - 정판교 2017-06-19 0 4712
552 민들레야, 나와 놀자... 2017-06-19 0 2428
551 시작은 시에 생명이 없는것에 새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2017-06-19 0 2261
550 망초꽃아, 나와 놀자... 2017-06-18 0 2234
549 시창작에서 고독은 최고의 창작환경이다... 2017-06-18 0 2020
548 시는 언어로 만들어진 그림... 2017-06-18 0 2266
547 [작문써클선생님들께]-프랑스 비행사 작가 생텍쥐페리 명언... 2017-06-16 0 6055
546 제비꽃아, 나와 놀자... 2017-06-16 0 2096
545 인류 최초의 시인은 원시사회에서 신체적 불구자???... 2017-06-16 0 2446
544 세계적 글쟁이들이 글쓰기 조언 41 2017-06-16 0 2335
543 장미꽃아, 나와 놀자... 2017-06-15 0 2300
542 시인은 자기자신의 원고를 "퇴고"할줄 알아야... 2017-06-15 0 2441
541 "오월의 짧은 그림자"야, 섭섭하다... 다시 놀자... 2017-06-14 0 3612
540 철쭉아, 나와 놀자... 2017-06-14 0 2345
539 시적 탐구의 과정은 곧 삶의 잉여적 표현이다... 2017-06-14 0 2237
538 시인의 눈물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렌즈"이다... 2017-06-14 0 2663
537 진달래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191
536 개나리야, 나와 놀자... 2017-06-13 0 2706
535 시작은 내적인 노예상태를 까부수어 나아가는 과정이다... 2017-06-12 0 1992
534 시인은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또 하나의 열쇠가 있어야... 2017-06-12 0 2321
533 시인의 눈은 저 쪽의 세계를 명징하는 고감도의 눈이여야... 2017-06-09 0 2504
532 음악 전통속에서 새로운 시적인 표현을 만들어내다... 2017-06-09 0 2085
531 벗꽃아, 나와 놀자... 2017-06-09 0 2364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