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흰 그림자
2018년 07월 06일 04시 41분  조회:3449  추천:0  작성자: 죽림

흰 그림자 

윤동주

 

 

 

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에서

하루 종일 시들은 귀를 가만히 기울이면

땅거미 옮겨지는 발자취 소리,

1연 : 외부 세계의 응시(배경)

 

발자취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나는 총명했던가요.

2연 : 현실에 대한 무지의 자각(반성)

 

이제 어리석게도 모든 것을 깨달은 다음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와하던 수많은 나를

하나 둘, 제 고장으로 돌려 보내면

거리 모퉁이 어둠속으로

소리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

3연 : 자각을 통한 부정적 요소의 정화

 

흰 그림자들

연연히 사라지는 흰 그림자들,

내 모든 것을 돌려 보낸 뒤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

황혼처럼 물드는 내 방으로 돌아오면

4연 : 내면 정리를 통한 긍정적 자아의 회복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나 뜯자.

5연 : 순수한 삶의 실천 다짐(의지)

 

 

 

 

 

 

■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고백(독백)적, 의지적, 상징적

•어조 : 내적 성찰의 차분한 의지적 어조

•구성 : 1연 : 외부 세계의 응시(배경)

2연 : 현실에 대한 무지의 자각(반성)

3연 : 자각을 통한 부정적 요소의 정화

4연 : 내면 정리를 통한 긍정적 자아의 회복

5연 : 순수한 삶의 실천 다짐(의지)

•주제 : 순수한 자아의 회복을 통한 순교자적 삶의 실천 의지

 

 

■ 시구 연구

▫ 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에서 : 자아 성찰의 시간 / 배경 - 압박하여 오는 현실(밤)

▫ 하루 종일 시들은 귀를 가만히 기울이면 : 절망적인 현실에 지친 화자의 모습 비유

▫ 땅거미 옮겨지는 발자취소리,: 시간의 청각적 형상화(어둠 - 부정적 현실의 도래)

▫ 발자취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 시대 현실을 예민하게 파악하지/듣지 못 했던

▫ 나는 총명했던가요.: 현재 자신의 무지에 대한 부끄러운 자성

▫ 이제 어리석게도 모든 것을 깨달은 다음 : 어리석음 → 깨달음(성찰과 확인/총명)

▫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 내적 갈등과 번민의 시간 (과거 → 현재)

▫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 : 부끄러운 과거를 정리하는 자기 정화 행위

▫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 : 어둠(무거움)→정화→흰(가벼움) : 부정적 자아의 소멸

  * 참회록 :(거울을 닦으면)‘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 슬픈 사람의 뒷모양’과 유사 이미지

 

▫ 흰 그림자들 :‘연(행간) 걸침’을 통해 애착, 미련을 보여 줌

▫ 연연히 사랑하던 흰 그림자들,: 사랑했던 모든 것(별 헤는 밤의 그리운 대상과 유사함으로 이해 가능)

▫ 내 모든 것을 돌려보낸 뒤 : 마음의 정리(정화 의식)

▫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 : 약간의 미련/갈등이 남아 있음(허전히)/뒷골목-어두운 현실의 통로

▫ 황혼처럼 물드는 내 방으로 돌아오면 : 외부와 차단된 내적, 안정적 공간

▫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 순수이미지 / 속죄양 이미지(희생의 각오)

▫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나 뜯자. 신념을 지키고 실천하며 순수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

→종교적 신앙으로 안정을 찾으며, 다가올 부정적 미래(체포, 죽음 등)를 담담히 기다리겠다는 순교자적 삶의 자세

 

 

 

■이해와 감상

 

▱시간의 이미지

이 시는 ‘황혼’이라는 저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일반적으로 ‘저녁’은 낮과 밤의 사이에 놓인 시간으로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상징한다. 동경 유학 시절의 끝자락에서 화자는 점점 조여 오는 일경의 감시와 구금의 눈초리를 피하고 있던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황혼의 시간’은 자신의 불안한 운명과 함께 행복했던 과거와 부정적 현실 사이에 놓인 자신을 냉철하게 뒤돌아보게 하는 성찰의 시간으로서 작동한다.

 

 

▱공간의 이미지

‘뒷골목’으로 길게 이어진 통로를 통하여 화자는 ‘내 방’으로 돌아온다. ‘뒷골목’은 ‘가난’의 의미도 있겠지만, 유학생이던 시인에게는 쉽게 동화되지 못하는 일본 동경의 낯선 곳이며(타향, 타국의 속성) 어둡고 냉혹한 부정적 현실, 감시를 피해야하는 불안한 공간의 의미로 다가왔을 것이다. 거기에다가 황혼의 발자취 소리(시간의 청각화)가 겹치면서 ‘쫓기는 자’의 불안과 초조의 심리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와 현실에서 단절되면서 오롯이 자아에 침잠할 수 있는 공간이 ‘방’으로 제시되어 있다. 윤동주의 대부분의 작품이 ‘부끄러움’과 ‘내적 성찰’, ‘반성’을 기조로 하고 있다고 말 하듯이, 이 작품에서도 ‘방’은 그러한 기능을 하는 곳으로 형상화 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에서 ‘방’은 단순한 ‘성찰의 공간’을 넘어서서 ‘부활’의 공간으로 격상되는 의미를 첨가해야 한다. 새로운 ‘나’로 태어나는, 거룩한 순교자적 의지로 ‘부활’하는 종교적 공간이기 때문이다.

 

 

▱‘버림’을 통한 ‘거듭 남’의 종교적 세계 / 정화 의식

이 작품은 ‘황혼’의 ‘땅거미의 발자취’가 들리는 시간에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서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를 바라보며 전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검은 그림자’가 ‘흰 그림자’로 변화하는 과정에는 ‘버림’이라는 자기 정화 의식이 개재되어 있다. 수많은 외적, 내적 갈등을 관조를 통하여 성찰하고, 심지어 사랑하는 것들까지 이를 정리하고 버림으로서 내적, 정서적 안정을 성취하는 내용을 통해 ‘(무겁고 어두운) 그림자 →(가볍고 밝은) 흰 그림자 →(순수, 종교적)양’으로 승화, 발전되는 단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부정적 현실 속의 자아(검은 그림자) →각성된 긍정적 자아(흰 그림자)→세속과의 단절을 통한 종교적 승화(풀포기 뜯는 순수한 자아= 양)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윤동주 시인이 현실의 고통을 종교적 신념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기독교적 신앙을 통해 ‘미성숙(무지’)에서 ‘성숙(총명)’으로, 더 나아가 ‘종교적 실천(순교자)’으로까지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흰 그림자 

                                                                           윤동주

 

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에서    자아 성찰의 시간 / 배경 - 압박하여 오는 현실(밤)

하루 종일 시들은 귀를 가만히 기울이면  절망적인 현실에 지친 화자의 모습 비유

땅거미 옮겨지는 발자취소리, 시간의 청각적 형상화(어둠 - 부정적 현실의 도래)

 

 

 

발자취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시대 현실을 예민하게 파악하지/듣지 못 했던

나는 총명했던가요.   현재 자신의 무지에 대한 부끄러운 자성

 

 

 

이제 어리석게도 모든 것을 깨달은 다음  어리석음 → 깨달음(성찰과 확인/총명)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내적 갈등과 번민의 시간 (과거 → 현재)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  부끄러운 과거를 정리하는 자기 정화 행위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 어둠(무거움)→정화→흰(가벼움) : 부정적 자아의 소멸

  * 참회록 :(거울을 닦으면)‘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 슬픈 사람의 뒷모양’과 유사 이미지

 

 

 

흰 그림자들  ‘연(행간) 걸침’을 통해 애착, 미련을 보여 줌

연연히 사랑하던 흰 그림자들, 사랑했던 모든 것(별 헤는 밤의 그리운 대상과 유사함으로 이해 가능)

내 모든 것을 돌려보낸 뒤  마음의 정리(정화 의식)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  약간의 미련/갈등이 남아 있음(허전히)/뒷골목-어두운 현실의 통로

황혼처럼 물드는 내 방으로 돌아오면 외부와 차단된 내적, 안정적 공간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순수이미지 / 속죄양 이미지(희생의 각오)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나 뜯자. 신념을 지키고 실천하며 순수하게 살아갈 것을 다짐

                   (1942.4.14)        →종교적 신앙으로 안정을 찾으며, 다가올 부정적 미래(체포, 죽음 등)를

                                                         담담히 기다리겠다는 순교자적 삶의 자세

 

 

 

 

◈<감상과 이해>◈

 

 

* 시간의 이미지

 

이 시는 ‘황혼’이라는 저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일반적으로 ‘저녁’은 낮과 밤의 사이에 놓인 시간으로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상징한다. 동경 유학 시절의 끝자락에서 화자는 점점 조여 오는 일경의 감시와 구금의 눈초리를 피하고 있던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황혼의 시간’은 자신의 불안한 운명과 함께 행복했던 과거와 부정적 현실 사이에 놓인 자신을 냉철하게 뒤돌아보게 하는 성찰의 시간으로서 작동한다.

 

 

* 공간의 이미지

 

‘뒷골목’으로 길게 이어진 통로를 통하여 화자는 ‘내 방’으로 돌아온다. ‘뒷골목’은 ‘가난’의 의미도 있겠지만, 유학생이던 시인에게는 쉽게 동화되지 못하는 일본 동경의 낯선 곳이며(타향, 타국의 속성) 어둡고 냉혹한 부정적 현실, 감시를 피해야하는 불안한 공간의 의미로 다가왔을 것이다. 거기에다가 황혼의 발자취 소리(시간의 청각화)가 겹치면서 ‘쫓기는 자’의 불안과 초조의 심리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와 현실에서 단절되면서 오롯이 자아에 침잠할 수 있는 공간이 ‘방’으로 제시되어 있다. 윤동주의 대부분의 작품이 ‘부끄러움’과 ‘내적 성찰’, ‘반성’을 기조로 하고 있다고 말 하듯이, 이 작품에서도 ‘방’은 그러한 기능을 하는 곳으로 형상화 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에서 ‘방’은 단순한 ‘성찰의 공간’을 넘어서서 ‘부활’의 공간으로 격상되는 의미를 첨가해야 한다. 새로운 ‘나’로 태어나는, 거룩한 순교자적 의지로 ‘부활’하는 종교적 공간이기 때문이다.

 

 

* ‘버림’을 통한 ‘거듭 남’의 종교적 세계 / 정화 의식

 

이 작품은 ‘황혼’의 ‘땅거미의 발자취’가 들리는 시간에 ‘오래 마음 깊은 속에 /괴로워하던 수많은 나를 /하나, 둘 제 고향으로 돌려보내면’서 ‘거리 모퉁이 어둠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지는 흰 그림자,’를 바라보며 전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검은 그림자’가 ‘흰 그림자’로 변화하는 과정에는 ‘버림’이라는 자기 정화 의식이 개재되어 있다. 수많은 외적, 내적 갈등을 관조를 통하여 성찰하고, 심지어 사랑하는 것들까지 이를 정리하고 버림으로서 내적, 정서적 안정을 성취하는 내용을 통해 ‘(무겁고 어두운) 그림자 →(가볍고 밝은) 흰 그림자 →(순수, 종교적)양’으로 승화, 발전되는 단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부정적 현실 속의 자아(검은 그림자) →각성된 긍정적 자아(흰 그림자)→세속과의 단절을 통한 종교적 승화(풀포기 뜯는 순수한 자아= 양)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윤동주 시인이 현실의 고통을 종교적 신념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기독교적 신앙을 통해 ‘미성숙(무지’)에서 ‘성숙(총명)’으로, 더 나아가 ‘종교적 실천(순교자)’으로까지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사족(蛇足)

 

‘내 모든 것을 돌려보낸 뒤 /허전히 뒷골목을 돌아’와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 뜯자.’에 대하여

 

 

앞에서 모든 것을 버림으로써 정신적 성숙과 순수한 긍정적 자아를 획득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흐름으로 볼 때 ‘허전히’는 완전한 버림을 성취하지 못했음을 드러내고 있다. 약간의 미련이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마지막 연의 조사 ‘-나’의 쓰임도 어색하다. 차라리 ‘-를’을 사용했다면, 시의 흐름에 맞게 의지를 강조하면서 더욱 자연스러워졌을 것이다. ‘-나’는 의지보다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거나 ‘체념’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사의 선택 때문에 바로 앞 행의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은 가장(假裝)의 거짓 자세처럼 읽힐 수도 있다. 그래서 체포, 투옥되기 직전에 쓰인 ‘초 한 대’와 함께 이 작품은 자신의 운명을 예감한 ‘불안한 심리’를 내면에 감추고 있으면서도 ‘순교자의 삶’을 살겠다고 마무리하지만, ‘체념, 포기’의 심정이 배면에 깔려 있다는 독법도 가능한 것이다.

 

물론 ‘-나’를 ‘마음 놓고 자유롭게, 평화롭게’의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나는 후자에 방점을 찍고 싶다. 그러나 시는 가능하면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중의성을 띠면서 시어의 함축적 의미가 다양하게 확산되는 것은 시의 특성상 이해할 수 있지만, 이 작품의 조사처럼 정 반대의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여 독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것은 시인의 잘못된 글쓰기 점검의 결과 나타나는 결점이기 때문이다.

 

 

◈ 작품 개관 ◈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고백(독백)적, 의지적, 상징적

* 어조 : 내적 성찰의 차분한 의지적 어조

 

* 구성 : 1연 : 외부 세계의 응시(배경)

            2연 : 현실에 대한 무지의 자각(반성)

            3연 : 자각을 통한 부정적 요소의 정화

            4연 : 내면 정리를 통한 긍정적 자아의 회복

            5연 : 순수한 삶의 실천 다짐(의지)

 

* 주제 : 순수한 자아의 회복을 통한 순교자적 삶의 실천 의지

 


======================


여태까지 읽어본 윤동주의 모든 시에서는 과거에 대한 그리움현재의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과 미래를 대하는 자신의 태도를 발견했었습니다이번에 읽은 [흰 그림자에서도 현실에서의 적막한 느낌과 함께 아름답고 행복했던 과거를 회상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황혼이 짙어지는 길모금하루 종일 시들은 귀발자취소리는 읽는 저로 하여금 이미 현실에 피곤하고 지친 화자를 떠오르게 했습니다자신이 총명했었는지 스스로에게 물으며 모든 것을 깨닫는 화자의 모습은 무척이나 괴롭고 힘들어 보였습니다그렇다면 수많은 화자 자신을 고장으로 돌려보내고 나서야 어둠 속으로 사라지는 흰 그림자는 과연 무엇일까 생각해봤습니다화자의 주변에는 어둠이 다가오기 전 찾아오는 황혼발자취소리와 같이 어두운 것 밖에 없는데화자가 사랑하던 흰 그림자들이라 하니 그것들은 과거에 화자가 사랑해왔던 모든 것들일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그 후 화자가 모든 것을 돌려보내도 화자의 방에는 여전히 황혼이 물듭니다어두움은 쉽게 가시지 않기 때문입니다황혼이 물든 방에서 화자는 신념이 깊은 의젓한 양처럼 하루 종일 시름없이 풀포기를 뜯자고 자신에게 되뇌입니다이것은 아마 화자가 스스로에게 말하는 미래에 대한 다짐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비록 황혼이 차오르고 어둠이 잠식한 현재일지라도화자는 어둠 속으로 사라진 흰 그림자를 떠올리며 흔들리지 않는 초연한 마음으로 미래를 맞이하겠다고 다짐하는 것 같았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50 한국 시인 김지하 장편 풍자 담시 - 오적 2020-01-23 0 3735
1449 [타산지석] - 리상, -"순간이지만 영원한 문화유전자 남기다"... 2019-12-22 0 2653
1448 한국 최초 녀성신문... 2019-12-16 0 2947
1447 한국 최초 문학비... 2019-12-16 0 3306
1446 한국 최초 시 전문지 2019-12-16 0 3092
1445 한국 최초 출판사... 2019-12-16 0 3066
1444 [문단소식] - 두만강 역 화룡 로과 호곡령에서 리욱시인 오다... 2019-12-10 0 2586
1443 "하늘나라 천사가 눈 뜨는 별" 2019-12-04 0 2451
1442 글쟁이들과 조선말규범... 2019-12-04 0 2651
1441 "새의 지저귐 소리를 알아 들을수 있어야?!..." 2019-11-30 0 2164
1440 반삭발을 한 윤동주... 2019-11-24 0 2800
1439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철학가 - 고자 2019-11-20 0 2967
1438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법가학파 - 한비자 2019-11-20 0 3272
143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백가묵가 - 묵자 2019-11-20 0 3537
1436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유가 성악설 - 순자 2019-11-20 0 3338
1435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道學 - 정자 2019-11-20 0 2582
1434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고대 성선설 - 맹자 2019-11-20 0 3758
1433 [그것이 알고싶다] - 고대 중국 儒敎의 시조 - 공자 2019-11-20 0 3961
1432 [그것이 알고싶다] - 고대 중국 道家의 시조 - 로자 2019-11-19 0 3058
1431 [그때 그 노래] - "손에 손잡고"... 2019-11-19 0 2567
1430 "그까짓 1000억, 그 사람 '시' 한줄만 못해"... 2019-11-18 0 2946
1429 최소한 윤동주에게 욕을 보이는 일이 없도록... 2019-11-14 0 3150
1428 뇌성마비 시인 김준엽 20년전에 펜을 입에 물고 쓴 시가 아직도 "떠돌이" 하다니... 2019-11-14 0 2862
1427 [바로잡습니다] - 시 "내 인생에 가을이 오면"은 윤동주 시가 아닙니다... 2019-11-14 0 2495
1426 한용운 시모음 2019-11-14 0 2696
1425 "님의 침묵" - 한용운 2019-11-14 0 4066
1424 독립운동가, 시인 - 한용운 2019-11-14 0 3379
1423 "배 곯게 하는 문학은 절대 안 된다"... 2019-11-14 0 3177
1422 민족저항 3대시인... 2019-11-14 0 2562
1421 264, 저항 시인 이육사... 2019-11-13 0 4632
1420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2019-11-13 0 3199
1419 활무대는 서로 다르지만 불멸은 같다... 2019-11-04 0 2714
1418 [그것이 알고싶다] - 나운규와 아리랑을 부른 가수... 2019-11-01 0 3627
1417 [그것이 알고싶다] - 나(라)운규와 영화 "아리랑" 2019-11-01 0 3398
1416 [그것이 알고싶다] - "아리랑"... 2019-11-01 0 3902
1415 [시학소사전] - "서사시"란?... 2019-10-30 0 3405
1414 한국의 최초의 서사시 ㅡ "국경의 밤"... 2019-10-30 0 2329
1413 [문학용어] - "리좀(根莖)" 2019-10-07 0 3264
1412 시와 시인과 독자와 그리고... 2019-09-18 0 3368
1411 일본 특유의 短詩 ㅡ 하이쿠 2019-09-18 0 481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