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룡
http://www.zoglo.net/blog/jinzhenglong 블로그홈 | 로그인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포럼

나의카테고리 : 칼럼/단상/수필

중국이 왜 자본주의를 만들지 못했나?
2013년 05월 01일 10시 29분  조회:6777  추천:32  작성자: 김정룡



중국이 왜 자본주의를 만들지 못했나?

 

 

중국이 왜 자본주의를 만들어내지 못했나? 이 질문은 100년 전 독일학자 막스 베버가 제기한 것이다. 막스 베버는 이 질문에 대답하기 앞서 서구에서 자본주의가 발생하고 발전된 이유를 저서《프로테스탄트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를 통해 밝혔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특질과 프로테스탄티즘의 관계를 설명한 막스 베버의 대표작이다. 프로테스탄트란 개신교이다. 막스 베버는 개신교의 윤리의식을 청교도의 정신에 초점을 맞추고 서구에서 자본주의가 생겨나고 발달한 것은 청교도의 신에 대한 신앙과 책임의식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하였다.

베버에 따르면, 근대 시민계급은 종교적인 측면에 있어서 프로테스탄티즘이라는 종교 개혁을 수용한 사람들이었다. 프로테스탄티즘은 금전 추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에 윤리적인 통제를 가함으로써 향락, 방탕, 재산을 낭비하는 일을 절제하고 최선을 다해 일하고 금욕하는 것을 윤리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이렇게 얻은 자산의 양은 그의 신앙의 진실성을 나타낸다고 본다. 이는 재산의 획득을 윤리적으로 정당화하여 결과적으로 자본주의의 발전을 돕는다.

이윤추구의 동기에 의해서 작동하는 모험가적 자본주의는 어느 시대에서, 어느 곳에서나 존재했다. 그러나 윤리적 측면에서 영리추구를 긍정한 것은 자명한 일이 결코 아니었으며 어느 일정한 시대 이후 성립된 것으로 그것도 서구에서만 있었던 일이다. 이와 같은 사태가 생겨나기 위해서 서양의 시민계급은 어느 특정한 생활태도의 훈련을 받고 합리적이며 방법적인 노동을 도덕적 의무로서 받아들이는 것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생활태도를 가져온 것이 바로 자본주의 정신이다. 자본주의 정신은 ‘돈벌이를 자신의 물질적 생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삶의 목적 자체’로 여기는 소명의식이나 다름없다. 이러한 자본주의 정신으로 인해 비로소 노동과 이윤추구 행위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이것이 금욕적 생활과 저축 관념을 매개로 근대적 자본축적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베버는 서구 자본주의 발생과 발전 원인을 설명한 동시에 ‘중국은 왜 우리와 같은 자본주의를 만들어내지 못했는가?’ 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나름대로 해답을 제시한다. 베버에 따르면 중국은 과거 찬란한 문화역사가 있었지만 중국인은 신앙이 없는 민족이다. 신앙이 없으니 현실생활에 치중하는 리얼리즘에 빠질 수밖에 없다. 중국인의 리얼리즘은 이 현세 밖에 다른 이상사회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이상사회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미래에 대한 동경과 추구가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중국인은 돈이 생기면 서구처럼 아름다운 미래를 추구하기 위해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주색을 추구하는 것으로 허무한 세월을 보낸다. 번 돈을 미래 자본 확대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주색에 탕진해버린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 푼의 돈이 있으면 2할 정도 가계지출에 쓰고 5할 정도 후대에 유산으로 물려줄 궁리를 하고 나머지 3할은 주색에 써버린다는 것이다. 물론 중국인이 장사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고 전혀 자본 투자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재래식의 장사와 근현대 자본주의는 성격상 본질상 다르다.

중국은 1천 년 전 송나라 초기 ‘자본주의맹아’가 있었다고 말한다. 근거가 있다. 첫째 시장발달이었다. 장택단(張澤端)의 그림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을 보면 당시 날씨가 화창한 청명 날 수천 명이 장터에서 붐비는 모습이 담겨 있다. 둘째 지폐(紙幣)의 출현이었다. 세계역사에서 지폐가 가장 먼저 세상의 빛을 본 것은 중국이다. 즉 송나라 초기에 이미 지폐가 유통되었던 것이다. 지폐가 유통되고 있었다는 것은 물류교환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었다는 증거이다. 만약 중국이 송나라 초기에 출현했던 자본주의맹아가 줄곧 발전해왔다면 역사를 다시 써야 하겠으나 역사는 어디까지나 가설을 허용하지 않는다.

송나라 초기 출현했던 ‘자본주의맹아’가 어떻게 시들어지고 사라졌을까? 세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경제적으로 잘 나가던 송나라는 군사력이 약했다.

송태조 조광윤(趙匡胤)은 지방할거세력에 의해 무너진 전 왕조 당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고 지방군사 세력을 전부 중앙정부에 귀속시키고 병력을 무력화하는 데 전력을 기울였다. 이런 조치는 모든 권력을 황제 일인에게 집중시키는 전제통치에 도움에 되었으나 역대 왕조 가운데서 군사력이 가장 약한 결과를 빚어냈다. 군사가 약하니 외래침략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하찮게 여겼던 말갈족(靺鞨族) 금나라한테 침략 당했고 패배했다. 전쟁에 패배한 송나라는 금나라에게 금을 바치고, 땅을 떼 주고, 비단을 바치고 미녀를 상납하는 조건으로 겨우 조정을 유지하였으나 금나라도 송나라 더러 남쪽으로 수도를 옮겨가는 조건을 걸었다. 결국 송나라는 북방을 포기하고 수도를 건업(建業 : 지금의 남경)에 옮겨갈 수밖에 없었다. 이로부터 남송의 역사가 개시되었다.

송나라가 남쪽으로 천도하게 되자 그 밑에 유능한 한족관리들이 오랑캐 밑에서 일하기 싫어 따라서 남쪽에 가게 되었고 돈 많은 부자와 유명 문인들이 대거 남쪽으로 이사 갔는데 역사에서는 이들을 ‘객가(客家)’라고 부른다. 싱가폴 이광요(李光耀 : 한국에서는 영어식으로 이콴유라 함) 총리, 등소평 등 인물들이 ‘객가’출신 후예들이다. ‘객가’에 의해 그때부터 중국은 남방에 인재가 많게 되었던 것이다.

그건 그렇고 ‘객가’들이 돈은 많은데 할 일이 없었다. 사내가 돈은 많은데 할 일이 없으면 뭘 생각할까? 송나라 초기 ‘자본주의맹아’를 살려 역사를 바꿔 볼 생각은 아예 없었다. 그렇다면 나머지는 빤한 일이다. 식과 색이 아니겠는가? ‘객가’들이 할 일이 없어 일차적으로 먹는 것에 신경 쓰다 보니 요리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오늘날 중국요리가 세계에서 으뜸으로 꼽히는 데는 남송시기 ‘객가’들의 ‘노력’에 의해 얻어진 결과이다.

한편 ‘객가’들이 사나이의 본능인 색을 추구하다 못해 미련한 짓을 하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세상에서 유일무이한 ‘전족(纏足)’문화이다.

중국역사를 살펴보면 중국인은 확실히 먹는 것에 관심이 컸고 신경을 많이 써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송시인 소동파(蘇東坡)가 어떤 사람과 식도락을 논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섬서성(陝西省) 대여현(大荔縣)에서 생산한 양고기를 푹 삶은 것에 행낙(杏酪)을 부어넣은 요리는 젓가락이 아닌 손가락으로 먹어야 한다. 하남성 남양현(南陽縣)에서 생산한 최고급 보리눈으로 온면을 만든다. 그 조리방법은 먼저 면에 훼나무의 연한 싹을 넣어 삶고 난 뒤 하남성 수현(脽縣)의 말저(抹猪 : 돼지기름)를 넣어 비벼먹는다. 공성(共城)의 특산물인 향기나는 멥쌀로 밥을 짓는데 그것을 다시 새끼 거위의 뱃속에 넣고 쪄서 요리를 만든다. 절강성의 호주(湖州)의 요리사가 송강(松江)에서 잡은 물고기로 회를 쳐서 내놓았다. 나는 이러한 산해진미를 포식하고 난 뒤 다시 여산(廬山) 강왕(康王) 계곡의 염천(廉泉)에서 길러온 물로 복건성의 증갱(曾坑)에서 생산한 명차를 우려내어 마셨다. 이윽고 옷을 벗고 편안히 누워서 사람에게 동파 선생의 <전후적벽부(前後赤壁賦)>를 읊조리게 하였으니 또한 족히 한 번 웃으며 즐길 수 있었다.

문인의 식탐이 이 정도였으니 관리들의 식문화는 상상도 할 수 없이 사치스러웠다. 송나라 나대경(羅大經)의 《계림옥로(鷄林玉路)》에 다음과 같은 재미나는 이야기가 있다. 어떤 사대부가 경사(京師)에서 돈을 주고 여자 하인 한 명을 샀다. 그녀는 스스로 자기가 채태사(蔡太師) 댁의 만두만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주방에서 일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하루는 그녀에게 만두를 만들도록 하자 뜻밖에도 만들 수 없다고 사양했다. 그래서 주인이 그녀를 책망하여 말했다. “지난 번 자네가 만두를 만드는 주방에서 일한 사람이라고 말했으면서 어찌 지금 만두를 못 만든단 말인가?” 그녀가 대답했다. “저는 주방에서 만두 속에 넣을 파를 가늘게 써는 일만을 담당했으니 어찌 만두를 제대로 만들 수 있겠어요!”

대지주는 식탐이 심한 것은 더 말할 것 없고 음식기호 또한 기괴했다. 사천 지방의 유명한 지주였던 유문채(劉文彩)는 오리의 물갈퀴로 만든 요리를 좋아했다. 그런데 이 요리를 만들려면 백여 마리의 오리가 필요했다고 한다.

송나라 여몽정(呂蒙正)의 음식기호도 특이했다. 그는 닭의 혀로 만든 탕을 좋아했다. 하루는 후원에서 높이 쌓여 있는 한 무더기를 보고 새로 쌓은 토산이라고 생각하자. 주위에 있던 사람들이 그에게 토산이 아니라 닭털더미라고 알려주었다. 그런데 여몽정은 자기가 닭 요리를 많이 먹지 않았는데 어찌하여 닭털이 산을 이룰 정도로 많이 쌓여 있을까라고 매우 의아하게 생각하자 주위에 있던 사람들이 그에게 물었다. “닭의 혀는 하나뿐인데 공께서는 계설탕 한 그릇을 만드는 데 혀가 얼마나 필요하고 그 요리를 모두 몇 번이나 먹었는지 아십니까?”

막스 베버의 지적처럼 중국인은 확실히 돈이 있으면 소망을 갖고 미래 사업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주색에 탕진한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중국인이 현실에 안주하고 충실하여 오늘 아침 술이 생기면 오늘 취해버리는 ‘하루살이’ 인생관이 자본주의를 만들지 못했던 전부의 이유가 될 수 없다.

둘째 중국역사는 중농억상 사상이 뿌리 깊었다.

송나라 시장이 활성화되었고 그에 따라 유통의 수요에 의해 지폐가 등장하였으나 거기까지가 한계였고 더는 자본주의로 발전할 수 없었던 결정적인 요인이 있었다. 바로 뿌리 깊은 중농억상 사상 때문이었다.

은나라를 상나라라고도 부르는데 역사가들의 고증에 의하면 은나라는 상업이 발달하여 상(商)이라 불렀다고 한다. 후세 사람들이 장사를 상업(商業), 장사에 종사하는 자를 상인(商人)이라 부르는데 이 또한 상왕조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3천 년 전 주나라가 상나라를 전복시킨 것은 인문문화가 무귀(巫鬼)문화에 대한 승리, 농경문화가 경상(經商)문화에 대한 승리였다. 주나라는 초기부터 분봉제와 정전제의 실시로 농업을 발전시켰다. 진대부터 청대까지 2천년 제국시대는 중앙통일집권제를 굳건하게 하고 황제들이 절대적인 권력 장악으로 전제통치를 위해 더욱 농업을 중시하고 상업을 억제하였다.

구체적인 이유가 있었다. 진이 굴기하고 천하를 통일하는 과정에서 당시 여불위를 비롯한 재부가 나라에 필적할 만한 거상들의 도움이 컸다. 상인의 세력이 막강해져 나라와 임금을 세우고 조정을 좌우지 할 지경에 이르렀다. 이는 결과적으로 전제통치 권력에 도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싹이 자라기 전에 미연에 잘라버려 우환을 제거해야 한다. 《사기》<진시황본기>에 의하면 진시황은 천하를 통일하고 나서 천하의 부자 12만호를 함양으로 이주시켰다. 명분은 수도를 튼튼하게 하기 위함이라 하지만 실질은 감시하고 감독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또 상인들에게 장성을 건설하게 했으며 오령(五嶺)을 지키게 하였다.

한나라는 초기부터 억상정책을 펼쳤다. 장사꾼은 비단옷을 입을 수 없고 수레를 사용할 수 없으며 조세를 무겁게 매겨 그들을 곤혹스럽게 굴었다. 시정(市井)의 자손들은 관리가 될 수 없다는 규정까지 반포하였다.

아무리 이런저런 억상정책을 펼치고 조치를 취해도 때론 상인들의 반란이 일어나 황제를 곤혹스럽게 만들었다. 기원전 154년 오왕(吳王) 유비(劉濞)가 무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오국은 장강 하류에 위치하여 염전도 많고 광산도 적지 않아 풍부한 재력을 갖추고 있었다. 물론 그것이 반란의 자금줄이어서 한 무제는 강온 양면책을 동시에 시행하여 법적으로 염철의 사영(私營)을 엄금하는 한편 폐업한 염철 상인들을 염관(鹽官), 철관(鐵官)으로 임명하였다. 이로부터 공업이나 상업의 관영화가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민간에서 운영하는 상공업은 지속적인 제국의 약탈과 수탈 속에서 간신히 생존의 길을 걸어야만 했다.

이렇게 한나라 초기부터 억상정책을 기본국책사업으로 추진해온 결과 역대제국은 민간자본 발전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였기 때문에 자본주의가 생겨날 토양이 없었던 것이다. 털은 가죽이 있어야 붙는 법이다. 가죽이 없는 털이 생겨나는 법도 없다. 이 속담이 중국이 왜 자본주의를 만들지 못했는가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충분할 것이다.

셋째 옛것을 숭상하고 지난 것에 집착하는 ‘인순수구(因循守舊)’의 전통 때문이다.

요순이후 청나라 말기까지 중국인은 요순시대를 그리며 살아왔다. “그때는 자물쇠가 없어도 도둑이 드는 법이 없었고 물건을 줍으면 주인이 찾아올 때까지 기다렸고 마을 사람끼리 다투는 일이 없었지. 태평성세요, 실로 태평성세였지.” 늘 이와 같이 되풀이를 반복하며 살아왔던 것이다. 그래서 중국인은 다음과 같은 격언을 좋아한다. “세상의 기풍이 날로 못해가고 인심이 옛날 같지 않으니 오늘이 과거보다 못하구나(世風日下, 人心不古, 今不如昔).”

절강성의 어느 어촌마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원래 너무 가난하여 장가를 가지 못한 노총각이 수두룩했다. 심지어는 장가를 간 사람도 신부의 몸무게를 저울에 달아 근수에 따라 처가에 돈을 지불하여 데리고 오는 낡은 풍속이 있었다. 그런데 오늘날 그 지역은 크게 발전하여 많은 지역민들이 부자가 되었다. 돈을 빌려주거나 빌린 돈을 갚을 때 아직까지도 돈을 세지 않고 저울에 달아 주거니 받거니 한다. 예를 들어 백 위안을 몇 근, 몇 냥 빌렸고 오십 위안 몇 근 몇 냥 빌렸다는 식이다. 하지만 오늘날 이처럼 부유한 곳에서 상급학교에 진학할 생각은 안하고 방탕한 생활에 빠져서 풍기가 크게 문란하였다. 그래서 스무 살이 넘은 청년 중에서 ‘임칙서(林則徐)’가 누구이고 무슨 일을 한 사람인지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한 명도 없다고 한다.

현대화 중국에 아직도 이렇듯 황당한 일(물론 극단적인 사례이지만 말이다.)이 있는데 전통사회 중국인은 더 어떠했을까? 불 보듯 빤한 일이다. 전통을 목숨처럼 여기고 변혁을 거부하고 혁명을 거부해왔다. 서구의 자본주의는 봉건 영주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정치와 경제 시스템을 구축한 거대한 혁명이었다. 중국인은 1898년 개량을 요구하는 ‘무술변법(戊戌變法)’조차 실패하였는데 어찌 자체적으로 자본주의를 만들어낸단 말인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18 ]

18   작성자 : 중국의 미래
날자:2013-05-06 01:36:11
15층님에께
3.님의 2번글에 답하자면, 중국이 G2라고 불리는 것은 정치적 수사이다. G1인 미국이 압도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사실은 G1의 시대이다. 거기다 중국의 GDP 발표는 거품이 끼어있어 20% 정도는 디스카운트해서 통계를 받아들여야 한다. 중국의 국방력은 현재 미국의 칠분의 일 수준으로 중국이 지역에서라도 패권을 얘기할 수준이 아니다. 중국의 국방력은 전체적 전력의 열세의 보충을 북한과 마찮가지로 미사일을 이용한 비대칭 전력에 의존하고 있는데 미국의 방어 미사일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 중국의 미사일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17   작성자 : 중국의 미래
날자:2013-05-06 01:16:51
15층님에게
2.님의 1번글에 답하자면, 중국의 국가시스템이 중국이 인류보편적인 가치를 받아들일 수 없게 만든다. 이는 북한이 개혁개방을 해야 경제가 살길임을 알지만 체제가 무너질까바 개혁개방을 못하는 것과 똑같은 것이다. 중국의 땅 덩어리에 정상적으로는 하나의 국가로는 존재할 수 없다.
16   작성자 : 중국의 미래
날자:2013-05-05 12:25:27
15층님에게
1. 지난 30년은 "중국의 성장의 시대"였고 앞으로 30년은 미국의 신에너지 개발로 "미국 에너지 붐의 시대"라고 한다. 시대의 화두였던 중국의 성장 시대라는 끝났다. 중국은 미국에 맞서는 용솟음치는 드래곤(용)이 될 수 없으니 미국에 사랑스러운 팬더가 되어야 된다. 등소평은 중국은 앞으로 30년간 미국에 맞서지말라고 했으나 너무 빨리 미국에 맞서면서 발전의 기회를 상실하게 되었다.
15   작성자 : 중국의 미래는 어떨가요?
날자:2013-05-05 08:10:54
중국의 미래는 어떨가요?
아래 3요소에 달렸다:
(1)인류의 보편적 진리 문명과 가치관:등소평은 개혁초기에 자본주의기술과 관리를 포함한 인류의 모든 문명을 허심히 배워야한다고 말씀하셨다.이왕의 이데올러기와 전통문화를 인류의 보편적 진리와 문명에 잘 맟추는가에서 모든 합법성 공정성 공신력 신뢰성 응집력 창조력이 창출할수있다.서로 삐걱거리며 복구주의 민족주의 교조주의에만 매달리다간 실패한다.
(2)강자와 패자의 구별 :생존하며 발전하자면 반드시 지역의 강자로 굴기되어야하지만 패권주의로 되지말아야한다.미국처럼 강자가 되면 세계각국의 존경을 받지만 2차대전시의 독일이나 일본처럼 패권자가 되면 꼭 망한다.(1)을 기초로 강자가 되어 세계의 문명그룹에 들어서야 한다.(3)동맹국:(1)과(2)도 중요하지만 강자가 아니라도 세계문명그룹과 동맹에 가입해야한다.이라크 리비아 시리아 이란같은 나라는 전세계에서 고립된 비문명나라이므로 꼭 언제가면 스스로 망하고만다.몇년도 버티기도 힘들것이다.국가사회제도나 이데올러기가 달라도 베트남처럼 세계선진문명그룹에 적극 참가하고 국제문명질서에 보조를 맞추면 살아남고 세계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환영을 받는다.
14   작성자 : 잘 분석된 글
날자:2013-05-04 23:41:02
중국분석에 관한 조선족 언론에서는 극히 드믄 글이라고 보고있다.왜 그러냐 하면 이른바 역사연구요 이른바 문학연구요 하는 인간들이 먹거리에 조아리다보니 언제 이런 글을 발표할 염두도 못낸 것이다.이런 와중에 김정룡이라는 사람은 그 어떤 보수도 없고 그 어떤 원고료도 없는 차원에서 중국을 연구하고 글을 발표했다는 것은 경하할 일이다.
이와반면 주청룡이라는 사람은 뭘 중앙방송국에 부스러기 원고료라도 받으며 조선족을 훈계하면서 쓴 글 보다는 굉장히 대조적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한마디로 김정룡에 비하면 주청룡같은 사람은 어용문인이다.
그래서 김정룡 씨의 글은 질타할 글도 있지만 또 세상분석에 동감같는 글들도 많으니 말이다
13   작성자 : 저자에 대한 유감
날자:2013-05-04 22:12:07
저자가 더 깊은 토론과 검증을거쳐 본문에 대한 재정검과 수정 세련을 거쳐 보다 높은 수준으로 업그레이트가 이루어지게됩니다만 유감스럽게도 저자는 별로 개의치않고 토론 참여에도 관심을 보이지않는다는 것은 편집자일방으로 전재한 문장인지 잘모르겠습니다.
중국의 미래느 우리가사는 나라이므로 매우 자호감과 불안감이 뒤 섞여있겠지요.
한국 간 동포들도 마찬가지입니다.중국과 한국의 미래르 더 진지하게 심도있게 분석하며 토른을 해야합니다.
우리자신을 위해서라도 책임감 있게.
12   작성자 : 123
날자:2013-05-04 12:44:12
김송죽 김정룡
이두분의 글은 언제봐두 시원한 감이든다.
존 글 잘 읽엇습다.
항상 건강하세요
11   작성자 : 가장 어려운문제
날자:2013-05-04 09:42:59
현재 중국의 가장 어려운 문제로서 (1)환경오염:북경 등 화북 대중도시오염은 PM2.5수준으로 미국 유럽 일본의 10-15배이다.그중 하북성에만 중국의 7대 오염도시가 북경주위에 에워싸고 있다.외국기업과 주재인 및 가속들은 매우 초조해지고 있다.이 대가로 경제가 내리막길로 갈 수 있다.(2)인구노령화;(3 )인구감소:금세기말 미국인구가 16억 중국은 지금인구의 절반으로 내려간다는 예고이다.(4)투자와 생산과잉:개인소비가 위축되고 투자과잉 생산과잉이 계속되면 경제가 더 어려울 수 있다.(5)정부부패와 관료주의 형식주의 향낙주의 사치풍으로 사회의 근간인 성실성 공정성 신뢰감을 잃어버리고 있다.;(6)사회도덕수준저하 붕괴로 인한 식품오염 대기오염 지하수오염 짝퉁 범죄가 기승을 부린다.(7)봉건 및 극좌적 사조;(8)극단민족주의로 인한 국제관계 악화 등이다.
10   작성자 : 중농억상의 페단
날자:2013-05-03 08:58:26
두번째 중농억상이 지당하우다.
지금도 중국에서 나라르 위협하는 끔찍한 사건들은 죄다 농업에서 터쳐나오지만 먹을것이 모자란다는 말에 질겁먹고 근원을 캐지못하고 질질 끌며 해결책이 잘나오지 않고 있소.
우유에다 화학품 단백가루를 섞었던 "싼쥐칭안" 사건,된살코기가 많이 나온다며 사료에 섞었던 "써우러우징"사건 배수구기름을 재가공해서 식당주방에서 사용하는 "띠꺼우유",최근에 공공위생으로 터지는 "친류간"(조류독감)은 닭 오리를 운반해 도축 가공 판배장인 농산물시장이 전염원 발원지란 말이 굳어지고있다.산닭을 잡아 신선한 고기맛과 국을 먹는 습관 국가에서 엄금한 야생동물을 잡아먹는 습성 아이낳으면 백조고기를 먹는다는 습관 매우나쁜습관이 나라의 고질로 계속번지고있다.
식품오염에 농지 지하수 농약 화학비료 오염이 심각하다한다.
9   작성자 :
날자:2013-05-03 00:02:41
8번 이 멍청하기를 짝이 없는 늠아 이 글 가공하던 만들던 얼마나 깊이있는 논문인가?이 똥깨는 뭘 도둑이요?역사를 평이하게 그리고 서민들이 알아쉽게 평이하게 글을 얼마나 깊이있게 피력했느냐를 이 돌대가리 아무소리나 하는구나
사실 김정룡 씨의 허다한 글들은 별로인데 이번 글만 베스트엘러구만 김정룡 씨 이렇게 글을 쓰면 누가 뭐라 하겠습니깧ㅎㅎㅎㅎ
8   작성자 : 123
날자:2013-05-02 14:04:51
당신이 이렇게 중국학자가 쓴 글을 슬쩍 가공해 자기글로 만들어 되는가? 한국인들이 보면 당신이 학문이 대단할걸로 알겠소 도둑도 이런 도둑이 있다니 나 참
7   작성자 : 운좋은나라
날자:2013-05-02 12:22:01
자본주의국제도도 운이 좋은 나라와 민족이 되는법이라니깐 .
어느나라 그누구도 다 선진형 자본주의국가로 되는법이 아니랍데!
되려고 아무리 발버둥쳐보아도 안된답데.
6   작성자 : 군주론
날자:2013-05-02 05:09:36
"군주론"을 쓴 마키아벨리는 독재 군주가 백성을 가장 잘 다스리려면 백성의 배를 80%만 채우라고 하였다. 그러면 딴 생각 없이 백성들은 부족한 배를 채우기 위해 일만 한다고 한다. 중국 정부도 이를 잘 알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중국적 현상인 사회주의를 표방하면서도 빈부격차가 자본주의 국가들 보다 더 큰 기현상이 생겨난 것이다. 이는 중국 경제발전의 과도기적 현상이 아니고 정책목표가 이루어진 것이다.

부익부의 현상으로 중국의 빈부격차는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중국 정부의 목표는 이를 막으려는 것이지만 이는 더 이상의 빈부격차 악화를 막으려는 것이지 궁극적으로 부가 소수에게 몰린 것을 시정하려는 의도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배고픈 다수(경제적 여유가 없는 다수)가 있어야 통치가 쉽기 때문이다.

북한은 마키아벨리의 독재통치이론을 더 강화해서 인민의 배를 80%만 채운게 아니라 70%만 채우는 극단적 정책을 지난 40년 이상 취하다 보니 인간의 신체가 적은 양의 음식에 적응이 되면서 신체의 왜소화라는 비극을 가져왔다.
5   작성자 : 좋은글이로다
날자:2013-05-01 19:45:48
상당히 높은 수준의 문장을 읽어 보았수.
참으로 잘된 글이 올시다.
특히 현대 근대 미래 중국을 완전히 다른 시각과 방법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주청룡의 글은 독자를 바보로 만들지만 김정룡선생의 글은 현대인과 인자 현자 지자를 육성시킵니다.
이러한 식으로 중국을 읽어보며 해독하면 좋은 저서로도 될 수 있겠군요.
중국동포저자들 가운데 보기드문 문장 대작이이 올시다.
학문도 루적이라 합디다.
항상 건강하시고 더 좋은 글을 발표해주십소.감사합니다.
4   작성자 : 역사는 거울
날자:2013-05-01 19:32:19
1920년대 손중산이 "군정 훈정 헌정"이란 국가 건설 일정표를 발표했다.처음엔 군사력으로 두번째로는 정부행정과 지방자치로 성숙된후엔 헌법을 기초로 나라를 건설한다는 좋은 구상이었지만 실현하지못하고 일찍히 서거했다.
장개석의 국민당은 자본주의제도를 기본근간으로 나라를 건설하려했지만 한 학자가 지적한것처럼 "아시아적 봉건 독재 권력 독점"체제로 사회양극화와 정부부패로 망했다.대만에 간후 그의 아들 장경국총통이 개혁을 해서 어느정도 성공을 했다는 평가이다.
모택동은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려했지만 그의 잘못된 인식 판단과 과오로 평균주의와 정치운동 계급투쟁으로 국가경제가 파탄나고 인민들의 생활은 개선되지 못햇다.
등소평의 개방개혁으로 사회주의시장경제와 중국특색의 사회주의노선을 채택했다.경제개혁이 앞서고 사회복지와 정치체제개혁이 따라간다는 순서이다.
하지만 "아시아적 봉건 독재 권력 독점"체제로 탈락되면 또한 비극이다.
러시아나 일본도 마찬가지이고 건전한자본주의라고 말하기 어렵다.한국은 어떠한가 부단히 개진되고 끊임없는 혁신으로만 바른길에 들어설 수 있을것이다.
3   작성자 : 정직하자
날자:2013-05-01 16:02:07
과거는 과거이고..
중이 고기맛을 알면 벼룩도 남아나지 않는다고 하는데..
겉으로는 자본주의 형식을 뛰고있지만 공산당에서 줄기차게 주장하는 중국식 사회주의
특색이 틀림없다..
비공식 인구가 15억이라는 나라에서 서구 처럼 민주주의 정치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극소수 조직이 대를이어 권력과 부를 세습하는 독재와 봉건제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나라의 특징은 일당제로서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민들에게 적당한 사탕은
줄지언정 배부르게는 주지 않는다..
즉,경제발전의 과실을 공평하게 분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이 배부르면 엉뚱한 생각을 하는것은 당연..
중국은 절대 선진국인 서구와 같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채택하지 않을것이다..
왜??
그결과는 소수 집단들의 권력을 내어 놔야 하기 때문이다..
북한이 좋은 예라고 할것이다..
2   작성자 : 민족성이 근원
날자:2013-05-01 15:30:21
중국사회는 인구가 많고 자원이 결핍하며 지역차이 민족차이 종족차이가 심해 공평성이 부족하고 시비관념과 도덕성이 없고 골고루 살기가 매우어려운 나라이다.
지금도 이념상으론 사회주의 근본인 공동부유를 부르짖지만 좀처럼 아니 점점 진척되기 어렵다. 그러니 극소수사람들만이 저만 권력과 재부를 독점해서 잘살어보려하고있다.
중앙정부가 지금 캠펜을 흔드는 관료주의 향락주의 형식주의 사치풍청산도 이문제에 귀결된다.
장개석이 주장한 민주법치제도도 이러한 국민성 민족성에 의해 부패하다못해 끝내 망했다.
가난한 사람이 많고 극소수 부자를 청산하고 공평하게 잘살아보자고 사회주의중국이 건립되었지만 잘 안나가고있다.
이러한 국정과 민족성이 족쇄처럼 건전한 중국사회 발전의 발목을 꼭 잡아둔것이다.













1   작성자 : 한마디
날자:2013-05-01 10:46:37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최종목표로 했기 때문에 자본주의를 하지 않았지.
지랄같은 눔이 헛소리나 치구 자빠졌네
Total : 85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5 백의민족과 개고기 단상 2021-10-11 0 1746
84 '악이란 시스템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2019-11-22 5 2913
83 대한민국에서 가장 솔직한 사람, 가수 조영남 2019-10-18 7 3939
82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1) 2019-10-08 2 2978
81 조선 소설『벗』을 읽고서 2018-06-06 0 3743
80 '뽀뽀 원조', 향토작가 김유정 2017-11-12 5 4388
79 조선족을 추악하게 만드는 추악한 한국영화들 2017-09-14 3 4827
78 일부 한국 언론이 재한조선족사회 망쳐놓는다 2017-08-31 3 4350
77 야단법석과 원효대사 2017-05-05 1 4220
76 영화 단평 <죽여주는 여자>를 보고서 2016-11-07 1 4534
75 재산이 얼마만큼 있으면 행복할까? 2016-08-17 1 4711
74 윤동주의 정체성은 2015-09-01 5 6049
73 "재기 재기 옵소" 2014-11-18 2 5744
72 영화 소리굽쇠 주인공 왜 죽였을까? 2014-10-28 0 6005
71 재한동포의 生日 ‘중국동포의 날’ 탄생에 부쳐 2014-05-06 5 6351
70 동포사회 이해 키워드 찾아야 2014-02-03 2 6886
69 재한조선족 왜 주눅 드나? 2013-10-22 48 9041
68 월세, 전세에 우는 재한조선족들 2013-10-17 0 6682
67 연변지명유래 해석 오류 2013-10-11 1 6756
66 조선족 將棋실력 어디까지 2013-10-08 2 6854
‹처음  이전 1 2 3 4 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