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변화하는 詩
2015년 02월 18일 00시 01분  조회:4494  추천:0  작성자: 죽림

변화하는 시의 현실과 하이퍼시

 

                                                                                    심  상  운

 

 

21세기 한국현대시의 현장에서 젊은 시들의 변화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인식된다. 기성세대가 관념시, 낭만적이고 독백적인 서정시, 사회적 이념의 시를 고수하려고 해도 젊은 시인들은 과거의 인습적인 사유나 관념에 대한 거부와 함께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것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김남조 시인이 지적한 “실험적인 젊은 시인들이 해부칼로 인체를 갈라 보여주는 것 같은 충격적인 장면을 보여주는 것”(2010,1, 18<중앙일보>)과도 연관된다. 이 ‘보여주기(showing)’는 과학적인 관찰을 통해서 사물성의 세계에 접근하여 시를 관념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방법이다.

추상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서 구체적인 장면을 보여주는 혁신적 표현의 중심에는 대상을 실제의 상태로 인식하고자 하는 사물시의 객관적 시각과 디지털적 감성(영상성, 현재성, 정밀성)이 들어 있다. 디지털적인 감성(感性)은 가상현실의 세계로 시의 영역을 확장한다. 가상현실은 컴퓨터의 사이버 공간같이 현실과 비현실을 통합하는 제 2의 공간이다. 그래서 그 공간은 이미지들이 관계를 맺는 순간의 상황에 따라 의미가 바꾸어지는 공간이 된다.

그 이미지들이 지향하는 사고의 공간은 20세기 프랑스의 사회 인류학자이며 구조주의 철학자 레비스트로스 (Claude Lévi-Strauss)가 말한 ‘야생적 사고의 세계’와도 연결된다. 그 연결의 접점은 야생의 사고가 경험을 중심으로 한 감성적 표현으로 세계를 조직화하는 ‘구체성의 논리적 사고’이면서도 미리 정해진 목표가 없는 미지(未知)를 지향하는 기호적(記號的) 사고라는 것에 있다. 따라서 문명적이고 과학적 사고가 추상적(抽象的)인 논리적 틀 속에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길들여진’ 사고라고 한다면, 야생적이고 신화적인 사고는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길들여지지 않은’ 사고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새로움을 추구하는 젊은 시인들의 이미 길들여지고 정해진 관념에 기대지 않고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길들여지지 않은 고도의 암시성(暗示性)의 이미지를 창출하려는 시적 경향은 하이퍼시가 지향하는 이미지의 세계와 동반적(同伴的) 관계(關係)가 된다.

 

이런 변화의 양상은 2015년 신춘문예 당선시의 심사평에서 드러난 현대시의 난해성(難解性)에 대한 이해에서 발견된다. 일부 심사위원들은 시의 완성도(完成度)를 중요시하면서도 신인들의 시가 개척하고자하는 새로운 시의 공간과 미개지(未開地)의 언어가 만들어내는 암시(暗示)의 매력에 대한 평가도 인색하지 않게 하고 있다. 그들은 시의 서정성과 대등한 위치에서 난해성을 인정하고 젊은 시인들의 상상력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것은 어두운 사회현상에서 받은 정신적 상처를 상상의 언어로 암시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의미보다는 자유로운 상상 쪽으로 시를 유인(誘引)하는 언어감각의 시편들에 대한 인정이다. 이런 경향의 시편들은 언어의 유희성(遊戱性)을 발판으로 언어의 연상(聯想)이 펼쳐내는 신선하고 새로운 감각과 의미를 담은 이미지의 창출(創出)을 보여준다. 이런 관점에서 “시에서 발견과 발명은 구분된다. 발견이 낯익은 대상에서 낯선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이라면, 발명은 대상과 무관하게 낯선 의미를 빚어내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발견은 소통 가능성(서정시), 발명은 소통 불가능성(비서정시)과 직결되고, 다시 발견은 언어의 투명성(우리), 발명은 언어의 불투명성(나)과 연관된다. 우리 현대시는 발견과 발명 사이에 서식한다.”는 황지우, 이문재, 남진우의 <한국일보> 심사평과 시라는 이름의 관행적 작문방식에 갇혀 오히려 생과 세계의 피 흐르는 실상으로부터 시 자체가 유리되는 자가당착을 돌파하는 패기의 글쓰기, 한국어의 갱신과 재구성이 그로부터 시발될 글쓰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그러면 새로운 것은 무조건 정당한가. 바로 이 오래된 물음을 또한 고통스럽게 치르는 가운데 일종의 시적 윤리성을 확보한 글쓰기이기를 바란다. 우리가 기다리는 것은 진정한 희망의 새로움이지 ‘새것 흉내’가 아니기 때문이다.”라는 문정희, 김사인의 <세계일보> 심사평은 한국현대시의 방향을 제시하는 시대의 흐름에 어울리는 평문(評文)으로 주목되었다.

 

나는 쌈을 즐깁니다

재료에 대한 나만의 식견도 있죠

동굴 속의 어둠은 눅눅한 김 같아서 등불에 살짝 구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낱장으로 싸먹는 것들은 싱겁죠

강된장, 과카몰리* 등 다양한 <쌈장 개발의 기원>

 

봄철, 입맛이 풀릴 때

나는 구멍이 송송, 뚫린 배춧잎을 새로운 쌈장에 찍어먹습니다

달콤한 진딧물 감로를 섞어 만든 장

어떤 배설물은 때로 훌륭한 식재료가 되죠

 

두꺼운 것들은 싸먹기 곤란합니다

스치면 베이는 얇은 종잇장에도 누명과 모함은 숨겨 있죠

적에게 붙잡히면 품속의 기밀을 구겨 한입에 삼켜요

무덤까지 싸들고 가는 비밀도 있습니다

 

어둠의 봉지에 싸인 이 밤

구멍 난 방충망은 경계가 소홀합니다

누군가 달의 뒷장에 몰래 싸놓은 알들

나는 긴 혀로 나방을 돌돌 말아먹는 두꺼비를 증인으로 세웁니다

사각사각, 저 달을 갉아먹는 애벌레들

 

수줍은 달을 보쌈해간 개기월식

삼킬 수 없는 과욕은 역류되기도 하죠

보름달을 훔쳤다는 나의 누명이 시간의 부분식으로 벗겨지고 있습니다

 

*아보카도를 으깬 것에 양파, 토마토, 고추 등을 섞어 만든 멕시코 식 쌈장

--- 조창규「쌈」전문

 

<동아일보>의 당선작 조창규의「쌈」에는 ‘쌈’ ⟶ ‘동굴 속의 어둠’⟶ ‘스치면 베이는 얇은 종잇장’ ⟶‘어둠의 봉지에 싸인 이 밤’⟶‘구멍난 방충망’⟶‘달의 뒷장’,⟶‘긴 혀’⟶‘보쌈’으로 이어지면서 쌈장 속에 사물과 자연 현상을 포괄하는 다양한 상상의 다선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떤 의미에도 구속되지 않는 시적 화자의 유머가 일상적인 관념을 깨뜨리고 있다.

 

죽은 우물을 건져냈다

우물을 뒤집어 살을 바르는 동안 부식되지 않은 갈까마귀떼가 땅으로 내려왔다

두레박으로 소문을 나눠마신 자들이 전염병에 걸린 거목의 마을

레드우드 꼭대기로 안개가 핀다, 안개는 흰개미가 밤새 그린 지하의 지도

아이를 안은 채 굳은 여자의 왼발이 길의 끝이었다

끊긴 길마다 우물이 피어났다, 여자의 눈물을 성수라 믿는 사람들이 물통을 든 채 말라가고 있었다

잎 떨어진 계절마다 배설을 끝낸 평면들이 지하를 채워 나갔다

부풀지 못한 뼈들을 눕혀 물길을 만들면 사람들의 발목에도 실뿌리가 자랄까

안개가 사라진다 흰개미가 우물 입구를 닫을 시간이다

우물은 떠나지 못한 자의 피부다

                                                        ---- 최은묵 「키워드」전문

 

<서울신문>의 당선작 최은묵의 「키워드」는 우물을 상상의 키워드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죽은 우물을 건져냈다//우물을 뒤집어 살을 바르는 동안 부식되지 않은 갈까마귀떼가 땅으로 내려왔다” 는 1,2연만 읽어보아도 이 시의 우물은 실제의 우물과는 전혀 다른 감성과 상상의 우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것을 단순한 비유譬喩라고 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재료를 사용해 매번 새로운 의미나 관계를 만들며 어떤 질서를 창조해내는 브리콜라주(Bricolage)의 예술적인 사고의 산물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래서 “ ‘죽은 우물’을 중심으로 우리 시대의 음화(陰畵)를 그려내고 있다. 이미지가 지나치게 모호해서 소통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고도의 암시성은 시에 있어서 결함보다는 장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는 나희덕, 정호승의 심사평이 신선하게 감지된다.

 

연속사방무늬 물이 부서져 날리고

구름은 재난을 다시 배운다

가스검침원이 밸브에 비누거품을 묻힌다

바닥을 밟는 게 너무 싫습니다

구름이 토한 것 같습니다

낮이

맨발로 흰색 슬리퍼를 끌면서 지나가고

뱀이 정수리부터 허물을 벗는다

구름은 발가락을 다 잘라냈을 겁니다

전쟁은 전쟁인거죠

그는 무너진 방설림 근처에 하숙하고

우리 집의 겨울을 측량하고 다른 집으로 간다

우리 고개를 수그려 인사를 나누었던가

폭발음이 들렸던가

팔꿈치로 배로 기어가 빙하를 밀고 가는 정수리

허물이 차갑게 빛난다 눈 밑에서 포복하던 생물들이 문을 찧는다

인질들이 일어선다

-------김복희「백지의 척후병」전문

 

<한국일보> 당선작 김복희의「백지의 척후병」도 소통불가능의 언어가 시적 상상의 공간을 확대하고 있다. “연속사방무늬 물이 부서져 날리고/구름은 재난을 다시 배운다/가스검침원이 밸브에 비누거품을 묻힌다/바닥을 밟는 게 너무 싫습니다/구름이 토한 것 같습니다”라는 이 시의 첫 연에서 ‘가스검침원이 밸브에 비누거품을 묻힌다’는 구체적 행위가 시의 키워드가 되어 ‘구름’⟶‘흰색 슬리퍼’⟶‘뱀’⟶‘전쟁’⟶‘방설림’⟶‘겨울을 측량’⟶‘폭발음’⟶‘인질’ 등의 언어로 연결되는 데, 이 시에도 의미의 생산보다 상상의 확대에 따른 새로운 시적 공간의 형성이 인지된다.

 

전성기를 지난 저녁이 엘피판처럼 튄다

도착해보면 인저리타임

목공소를 지나 동사무소, 골목은 늘 복사된다

어둑해지는 판화 속에서 옆집이라는 이름을 골라낸다

옆집 하고 발음하면 창문을 연기하는 배우 같다

보험 하는 옛애인이 전화한 날의 저녁은

폭설과 허공 사이에서 방황하고

과외 하는 친구의 문자를 받은 날 아침은

접시 위의 두부처럼 무심해진다

만약이라는 말에 집중한다

만약은 수비수 두세 명은 쉽게 제쳤으며

늘 성적증명서보다 힘이 셌다

얇은 사전을 골라 가장 극적인 단어를 찾는다

아름다운 지진이란

지구의 맨 끝으로 달려가 구두를 잃어버리는 것

멀리 있는 산이 침을 삼킨다

하늘에선 땅을 잃은 문장들이 장작 대신 타고

원을 그리며 날던 새들의 깃털이 영하로 떨어진다

원점은 어딘가 빙점과 닮았다

양철 테두리를 한 깡통처럼

전력을 다해 서 있는 트랙처럼

잠시라도 폼을 잃어선 안 된다

전광판이 꺼지더라도

경기가 끝나면 유니폼을 바꿔 입어야 한다

----김관용 「선수들」전문

 

<경향신문> 당선작 김관용의「선수들」도 언어의 연상으로 펼쳐내는 이미지의 전개가 의미의 구속에 갇혀 있는 시와 구별된다. ‘전성기’⟶‘인저리타임’⟶‘옆집’⟶‘옛 애인’⟶‘폭설’⟶‘만약이라는 말’⟶‘수비수 두 명’⟶‘성적증명서’⟶‘아름다운 지진’⟶‘지구의 맨 끝’ ⟶‘땅을 잃은 문장들’⟶‘원을 그리며 날던 새들’⟶‘원점⟶전광판⟶유니폼 등 부분 부분 단절된 서사敍事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상상의 다양성이 한 편의 시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선수들」은 언어와 언어가 충돌하며 파열하는 섬광 같은 것을 뿜어내면서 자기 시를 ’전력을 다해 서 있는‘ 삶의 트랙으로 밀어붙인다. 그리하여 이 시는 시적인 것으로부터의 일탈을 통해 ‘다른 시’를 창출하는 데 성공했다. 한 치의 오차도 허락지 않는 이 주밀한 자본의 세계에서 시가 필요한 것은 바로 이 균열과 의외성이다. 트랙 끝에 무엇이 기다리고 있는지 우리는 모른다. 결말을 짐작할 수 없는 것으로의 이 과감한 투신의 성과를 당선작으로 미는 데 우리는 주저하지 않았다.“는 이시영 황인숙의 심사평에 공감하게 된다. 이는 현대시가  의미의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독자들에게 초현실적인 상상의 즐거움도 제공하는 언어의 유희라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시인의 문학관 2015-02-19 0 4118
82 김수영 론, 박치원 론 2015-02-19 0 4455
81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754
80 포스트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334
79 현대시의 리해 2015-02-19 1 4258
78 하이퍼시에 관한 고견 2015-02-19 0 4392
77 하이퍼시의 리해 2015-02-19 0 4063
76 의식, 무의식의 징검다리 2015-02-19 0 4296
75 김기림 시론 ( - 한국 현대시의 최초 시론) 2015-02-19 0 4147
74 조향 시론 2015-02-19 0 4233
73 김춘수 시론 2015-02-19 0 4306
72 시와 아이러니 2015-02-19 0 4225
71 디지털시대 시 전망 2015-02-19 0 4128
70 하이퍼와 잡종(?) 2015-02-19 0 3970
69 하이퍼시에서 내면세계 미학 2015-02-19 0 4209
68 하이퍼시에서 사물적, 상상적 가능성 2015-02-19 0 4517
67 하이퍼시의 구조 2015-02-19 0 4357
66 시에서 인식의 혁명 2015-02-19 0 4431
65 언어와 사물, 그리고 시 2015-02-19 0 4545
64 시와 독자와 난해성 문제 2015-02-19 0 4372
63 3.0 2015-02-19 0 3787
62 퍼포먼스 시집 평설 2015-02-18 0 4477
61 하이퍼시와 퍼포먼스시 2015-02-18 0 4026
60 하이퍼시 도무미 4 2015-02-18 0 4495
59 하이퍼모더니즘의 시대는 오는가 2015-02-18 0 4692
58 하이퍼시 도우미 3 2015-02-18 0 4319
57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02-18 0 4095
56 탈관념의 꿈꾸기 2015-02-18 0 4287
55 현대시의 길 열기 2015-02-18 0 4622
54 하이퍼시의 도우미 2015-02-18 0 4196
53 하이퍼시의 전환기법 관찰 2015-02-18 0 4490
52 하이퍼시의 리해와 창작 2015-02-18 0 4364
51 하이퍼시와 디카시 2015-02-18 0 4233
50 ...계속 6 2015-02-18 0 3882
49 ...계속 5 2015-02-18 0 4368
48 ...계속 4 2015-02-18 0 4253
47 ...계속 3 2015-02-18 0 4072
46 ...계속 2 2015-02-18 0 4114
45 李箱시의 디지털적 해석 2015-02-18 0 4280
44 탈관념 시의 리해 2015-02-18 0 4139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