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쓰기는 처음이자 마지막
2015년 05월 13일 22시 19분  조회:4876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창작강의]

시쓰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 안도현 
(시인·우석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나는 음식점을 고를 때 간판을 유심히 보는 편이다.

간판에 적힌 상호, 간판의 크기, 글자체, 디자인에 따라 그 음식점의 역사와 음식의 맛을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원조’라는 말이 붙어 있으면 일단 의심한다.

역사성의 과잉이거나 후발주자의 과장 광고일 수도 있다.

또 무슨 텔레비전에 출연했다고 요란하게 써 붙인 곳이 있으면 경계한다.

그게 설혹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내게는 별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맛없으면 돈을 받지 않는다는 문장도 아주 싫어하며, 할인가격을 보란 듯이 써 붙여 놓은 음식점도 꽝이다.

또 있다. 터미널 앞 식당가처럼 한 집에서 조리하는 음식의 수가 많아도 기피 대상이다.

최근엔 ‘웰빙’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간판을 달고 있는 보리밥집에는 아예 들어가지 않는다.

웃기고 있네, 비웃어주고 만다. 

백석 시엔 멧새 깃털도 없어 
후대 독자들 궁금할 수밖에
 

한 끼의 밥을 위해서도 이모저모 간판부터 살피는데, 하물며 시에서 간판이라고 할 제목을 어찌 소홀히 다룰 수 있으랴.

시의 제목을 이승하는 ‘첫인상’이라 했고, 강연호는 ‘이름’이라 하였다.

연암 박지원은 글을 병법에 비유하면서 “글의 뜻은 장수와 같고,

제목은 맞서 싸우는 나라와 같다”(<연암집>)는 문장을 남겼다. 

그만큼 제목은 중요하다.

“한 편의 시작품은 여러 부분이나 요소들이 모여 전체의 구조를 이루는데,

이때 제목은 전체 구조를 한 곳으로 응집하는 역할을 하면서 한편으로는 구조의 확장에 기여하기도 한다.

”(강연호, <주제의 구현과 제목 붙이기>) 

처마 끝에 명태를 말린다 
명태는 꽁꽁 얼었다 
명태는 길다랗고 파리한 물고긴데 
꼬리에 길다란 고드름이 달렸다 
해는 저물고 날은 다 가고 볕은 서러웁게 차갑다 
나도 길다랗고 파리한 명태다 
문턱에 꽁꽁 얼어서 
가슴에 길다란 고드름이 달렸다 


백석의 시다.

이 시의 제목은 <멧새 소리>이다.

그런데 시의 전면에 멧새 소리는커녕 멧새가 빠뜨리고 간 깃털 하나 보이지 않는다.

오로지 처마 끝의 명태와 이를 동일시 한 시적 화자 ‘나’만이 꽁꽁 얼어 있을 뿐이다. 

백석은 왜 이런 제목을 택했을까?

독자가 전혀 뜻하지 않은 의외의 제목을 제시함으로써 제목과 내용 사이에 ‘낯설게 하기’의 효과를 노리고 싶었던 것일까?

아니면 시각과 촉각이 압도적으로 지배하는 이 시의 배경음악으로 멧새 소리를 삽입해 청각적 효과를 가미한 것일까?

후대에 이 시를 읽는 독자인 우리가 심심해 할까봐 일부러 그랬을까?

(이 짧은 시 한 편을 두고 이런저런 생각을 접었다 폈다 하는 이유도 시에서 제목이 그만큼 중요한 탓이다) 

김춘수는 <시의 이해와 작법>

(자유지성사)에서 시인이 제목을 붙이는 방식에 따라 시인의 태도가 결정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시를 쓸 때 제목을 붙이는 세 가지 태도가 있다.

 

첫째는 미리 제목을 정해 두는 것,

둘째는 시를 완성한 뒤에 제목을 다는 것,

셋째는 처음부터 제목을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이다.

 

그는 스타일리스트답게 시의 의미와 내용을 중시하는 휴머니스트들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말한다.

“제목이 정해져야 시를 쓸 수 있는 사람은

내용에 결백한 나머지 시의 기능의 중요한 면들을 돌보지 않는 일”이 있다며

시의 형식에 따라 내용이나 제목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한다. 

‘무제’있지만 좋은시 드물어 
은근히 암시하되 언뜻 비치게 


제목을 처음부터 붙이든 나중에 붙이든 그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제목을 어떻게 붙일까 고심하는 그 과정이 창작자에게는 중요하다.

제목을 붙이는 일이 시쓰기의 처음이면서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라.

제목이 시의 성패를 좌우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라.

제목을 고치거나 바꾸는 사이에 시는 진화하거나 퇴보하거나 둘 중 하나의 길을 간다.

그것은 제목이 시의 내용과 서로 밀고 당기는 관계에 놓여 있어서다. 

실제로 제목을 이렇게 붙여야 한다는 시인들의 조언도 적지 않다.

“시의 내용이 추상적일 때는 구체적인 제목으로, 구체적일 때는

추상적인 제목을 붙여주면”(박제천, <시를 어떻게 고칠 것인가>, 문학아카데미>) 좋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이지엽은 “제목을 직접 드러내지 않는 것이 시의 격조와 긴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면서

“궁금증을 유발하게 하는 방법”과 “술어를 생략하거나 놀라움을 나타내거나,

감탄형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리고 “성적 호기심이나 관능적인 욕구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선정적인 제목을 다는 경우”도 예를 든다.

(<현대시 창작 강의>, 고요아침) 

그런데 아무리 고민해 봐도 마땅한 제목이 떠오르지 않을 때는 어떻게 하나? 그럴 때는 <무제(無題)>가 기다리고 있다. 

대구 근교 과수원 
가늘고 아득한 가지 

사과빛 어리는 햇살 속 
아침을 흔들고 

기차는 몸살인 듯 
시방 한창 열이 오른다. 

애인이여 
멀리 있는 애인이여 
이런 때는 
허리에 감기는 비단도 아파라.
 

박재삼의 시 <무제>다.

사실 나는 평소에 시든 그림이든 작품 앞에 ‘무제’라는 제목을 턱, 갖다 붙이는 걸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

제목이 없다니!

그건 자기 작품에 대해 창작자가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소리로 들린다.

‘무제’라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는 제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제’를 제목으로 내건 작품 치고 제대로 된 작품을 나는 보지 못하였다.

대체로 예술가연 하는 허위의식이 발동하거나, 작품의 미숙성을 눈가림하거나, 작가의 상상력이 부족할 때

궁여지책으로 갖다 붙이는 제목이 ‘무제’를 제목으로 단 시나 그림일 터이다.

특히 비구상 계열의 그림이 이런 제목을 붙이고 화랑에 걸려 있는 것을 보면 작품을 감상하고 싶은 마음이

순식간에 달아나 버린다.

그런데 나의 이런 편견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도록 만든 시가 박재삼의 <무제>다.

“허리에 감기는 비단”이 왜 아픈지 나도 아니까! 

대체로 제목은 시의 중심 소재를 앞에 제시하는 경우

(밋밋하고 단순해서 재미는 없지만 내용보다 어깨를 낮춤으로 해서 내용을 돋보이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시간이나 공간적인 배경을 취하는 경우(‘-에’ ‘-에서’가 붙은 모든 제목이 그렇다),

주제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경우(김중식의 <완전무장>을 읽어보라),

첫 행을 아예 앞에다 내세우는 경우(최승자의 <개 같은 가을이>가 대표적이다)가 있다.

어떤 경우든 간에 호기심을 유발하되 난하지 않게 해야 할 것이며,

무겁되 가볍지 않게 해야 할 것이며,

은근히 암시하되 언뜻 비치게 해야 할 것이다.

다시 연암의 호쾌한 말씀에 귀를 기울여 보라. 

“억양을 반복하는 일은 맞붙어 싸워 죽이는 일과 같고,

제목의 뜻을 드러내 보인 다음 마무리하는 것은 먼저 성벽에 올라가 적군을 사로잡는 일과 같다.

짧은 말이나 글로 깊은 뜻을 담는 일을 소중하게 여기는 일은 함락된 적진의 늙은이를 사로잡지 않는 일과 같고,

글의 여운을 남겨 놓는 것은 전열을 잘 정비하여 개선하는 일과 같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23 김립 시모음 2016-10-30 0 5777
1722 대만 현대시 흐름 알아보기 2016-10-30 0 4205
1721 구름도 가고 순경도 가고 남은건 나와 나의 그림자와... 2016-10-30 0 3345
1720 대만 모더니즘 선도자 - 예웨이롄 2016-10-30 0 3539
1719 대만 녀성시인 - 옌아이린(옌艾琳) 2016-10-30 0 3643
1718 대만 시인 - 余光中 2016-10-30 0 3890
1717 나를 오리신고는 침선으로 나를 꿰매셨다... 2016-10-30 0 3412
1716 "동주" - 그는 가깝고 그리운 한 사람이다... 2016-10-29 0 4131
1715 5 + 7 + 5 = 17 2016-10-28 0 4243
1714 깨여나보니 유명해져 있었다... 2016-10-28 0 4120
1713 ...바로 탐욕이다... 2016-10-28 0 3831
1712 새들은 왜 록색별을 떠나야만 하는가... 2016-10-28 0 3768
1711 우리가 언젠가는 "사막의 꽃뱀"이 될지도 모른다... 2016-10-28 0 3905
1710 어느 날 페허 잔해속에서 원자로 화석을 발굴하라... 2016-10-28 0 4336
1709 詩人은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저항하라... 2016-10-28 0 4043
1708 詩는 희곡을 "언어예술의 집"으로 건축하는 벽돌이다... 2016-10-28 0 3435
1707 詩와 비평은 쌍두마차이다... 2016-10-28 0 3808
1706 비평가의 詩, 詩人의 비평,- 립장을 바꿔보다... 2016-10-28 0 3391
1705 詩란 "내가 나의 감옥"에서 뛰쳐나가기이다... 2016-10-28 0 4441
1704 詩란 유일무이한 그릇에 유일무이하게 헌것을 새롭게 담는것... 2016-10-28 0 3624
1703 "시를 읽지 않는 사람들"도 사랑하는 시인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3950
1702 아랍의 詩는 손가락에서 흘러나오는 눈물... 2016-10-28 0 4753
1701 詩적 상상력을 중첩, 확대하는것은 실체(체험)를 바탕하기... 2016-10-27 0 3963
1700 현대시의 난해한 벽을 허물어보기 2016-10-26 0 4185
1699 불온한 상상력들이 광란의 춤사위에 나으다 2016-10-26 0 4061
1698 눈뿌리가 아플 정도의 포스터모더니즘의 한계 2016-10-26 0 3930
1697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는 언어가 무엇인지를 리해하는 문제와 련관된다... 2016-10-26 0 4785
1696 즐거움의 순간과 죽음의 망령은 삶의 련속이다... 2016-10-25 0 4267
1695 詩적 상상력을 구사하는 방법 2016-10-25 0 4046
1694 詩 같은 수필, 수필 같은 시를 쓰라... 2016-10-25 1 3929
1693 詩란 태음신과 같은 현무(玄武)로서 시첩(詩帖)속에 잘 가두기를... 2016-10-23 0 4021
1692 詩어는 꽃잎에 닿자 나비, 꿀벌이 되다... 2016-10-21 0 3904
1691 詩리론은 하나의 울타리로서 늘 시인을 괴곱게 한다... 2016-10-21 0 4816
1690 詩여, 독침이 되라... 2016-10-21 0 3883
1689 詩의 첫행은 시인과 독자가 만나는 최초의 순간이다... 2016-10-21 0 4158
1688 한국 현대시사 최초의 선시리론자 - 김종한 2016-10-21 0 4150
1687 냄새가 나는 "조감도"(鳥瞰圖)냐, "오감도(烏瞰圖)냐... 2016-10-21 0 4369
1686 다시 떠올리는 정지용 시모음 2016-10-21 0 3729
1685 훌륭한 詩란 뼈를 저미는 고통의 작업에서 빚어진다... 2016-10-21 0 4136
1684 詩作에서 "창조적 변용"아냐, "몰상식적 표절"이냐가 문제면 문제 2016-10-20 0 5066
‹처음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