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괴짜시인 공화국"
2015년 10월 03일 23시 06분  조회:3622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연도순으로 배열.

 

김시습(金時習·1435∼1493) 

멀리 조선조로 올라가면 중의 신분으로 문득 성안에 거지차림으로 나타나 지나가던 고관들에게 욕지거리를 서슴지 않았던 김시습이 방외문인의 한 전범으로 꼽힌다.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빼앗는 것을 보고 세상에 등을 돌려 왕까지도 안중에 안두고 사대부 출신이면서 유교도, 또 중이면서 불교도 훌쩍 뛰어넘은 그의 자유혼이 웅혼한 시와 [금오신화]를 낳게 했다. 

김병연(김삿갓, 金炳淵·1807∼1863) 

풍자시의 진면목을 보인 김병연의 기행(奇行)은 가위 전설적이다. 철종시대의 방랑시인 김삿갓이 바로 그다. 할아버지가 홍경래난에 투항한 사실을 부끄러이 여기며 구름을 이불삼고 시 한 수로 밥을 빌며 전국을 떠돌다 첩첩산중 강원도 영월에 묻힌 그도 우리 문학사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괴짜, 아웃사이더 문인이다. 

한용운(韓龍雲·1879∼1944)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연인과의 이별을 절절하면서도 단아하게 읊은 듯한 [님의 침묵]의 시인 한용운은 근대문학사의 최초의 방외문인으로 볼 수 있다. 만삭의 아내를 저버리면서까지 출가(出家), 속세와 인연을 끊은 그는 어디에도 구속되거나 굴하지 않은 숱한 기행을 남기고 있다. 변절한 최남선이 아는체 하자 '당신을 장례치른지 오래다'며 죽은 사람 취급했던 일이나 언 방에서 고구마로 끼니를 때우면서도 세상의 도움을 거절했던 그다.

 

오상순(吳相淳·1893∼1963) 

오상순은 시대와의 불화가 빚어낸 대자유인이었다. 목재상 아들로 태어나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을 나와 전도사 활동을 하던 그는 1920년 김억·남궁벽·황석우·변영로등과 함께 [폐허]동인으로 참가, 창간호에 <시대고와 희생>이란 평론을 발표하면서 식민 치하의 허무주의자로 돌아선다. 불교에 귀의, 허무의 극한에서 공(空)을 깨치고 속세로 돌아와 동 가식서가숙하며 70평생을 문학도들에게 시의 순수를 자신의 삶 자체로 깨우쳐주다 갔다. 기독교도, 불교의 공사상도 초월해 「공초(空超)」라 한 오상순은 하루 2백개비씩 줄담배를 피운「꽁초」로도 유명하다. 오상순같이 세상과의 불화를 견뎌낼 수 없는 타고난 순정한 기질로 세 상 어디에도 편입하지 못하고 오직 자유혼으로 문학을 일군 방외(方外) 문인들. 이들의 맥은 우리 문학사에 깊은 골을 이루고 있다. 

이상(李箱, 본성명 김해경·1910∼1937) 

문단의 봉우리에 올랐으면서도 일체의 문단 출입도 없었다. 박제(剝製)된 천재 이상)은 대책 없는 자유혼으로 그의 문학을 한국 문학사에 문학의 영원한 「원형」, 속인이 쉽게 풀 수 없는 비의(秘意)로 각인시켜 놓았다. 건축기사 출신 이상(김해경 金海卿)은 인부가 잘못 부른 「이-상(李氏 이씨)」을 그대로 필명으로 쓰며 문단에 들어왔다. 기생 금홍과 기괴하고 방만한 풍문을 뿌리며 27세로 요절한 이 상. 청춘의 무한한 실험과 가능성 그 자체로의 요절이 오늘도 그의 문학을 푸르게 흘러들게하고 있다. 

한하운(韓何雲·1920∼1975) 

김관식과는 정반대편에서 천형의 나병에 걸려 전국을 떠돌면서도 「보리피리」같은 아름다운 
서정시를 남긴 한하운도 빼놓을 수 없는 방외문인이다. "맑은 생시의 / 속 깊은 슬픔은 / 어떻게 무엇으로 / 어떻게 달래나 / 나는 취했다 / 명동에서 취했다 / 종로에서 취했다 / 나는 / 나는 / 이런 것이 아니다」( <아니다의 주정>중에서). 

박용래(朴龍來·1925∼1980) 

「오오냐, 오오냐 적당히 살거라 시인들아!」라며 세상을 온통 긍정하면서도 눈물로 시적 에스프리(프랑스어로 esprit, 즉 기지, 재치, 정신)를 캐냈던 박용래는 천성적 순수로 현실에는 도저히 편입될 수 없는 시인이었다. 강경상고를 졸업하고 은행에 들어갔으나 돈 세는 것에 염증나 그만둬버린 박용래는 돈·사회와는 영영 등을 돌리고 술로만 살았다. 술을 마시면서도 울고, 별을 보고도 울고, 봄 햇살에 날리는 장닭 꼬리를 보고도 울고, 울면서 또울던 박용래는 삼라만상에서 한 (恨)의 원형을 끌어올린 극순수의 서정시인이다. 
"골목에서 골목으로 / 거기 조그만 주막집. / 할머니 한 잔 더 주세요, / 저녁 어스름은 가난한 시인의 보람인 것을… / 흐리멍텅한 눈에 이 세상은 다 만 / 순하기 순하기 마련인가,」(<주막에서>중). 

신동문(辛東門·1928∼1993) 

56년에 등단, 65년 절필할 때까지 참여시인으로 필명을 날렸던 신동문도 시인의 결벽성으로 시대와의 불화를 이겨낸 시인이다. 5·16군사정권에 맞서는 자신의 시도, 자기 자신도 결국은 아무 것도 「아니다」며 신동문은 세상을 등져버리고 충북 단양의 초야에 묻혀버렸다. 거기서 그는 침술로 주민의 병을 치료,「단양의 신(辛)바이처」로 인술을 떨치다 자신의 암은 치유치 못하고 세상을 영원히 등졌다. 

천상병(千祥炳, 1930∼1993) 

천상병 시인도 대책 없는 순수로 이 세상을 가난하게만 살다간 천상의 시인이다. 서울대 상대를 나와 보장된 그 좋은 직장도 다 마다하고 천상병은 술로써만 시를 지키다 갔다. 그는 무직·방랑·구걸·주벽으로 우리시대 마지막으로 숱한 화제 를 뿌리다 쓰러져가는 철거민촌 오두막에서 외로이 숨져갔다. 그러한 삶도 좋았노라고, 마치 소풍놀이 같았다며 하늘로 돌아갔다. 그가 죽자 문학평론가 김재홍(金載弘)씨는 다음과 같이 추모했다. [곤궁한 삶의 극한 속에서도 세속으로부터 자신을 해방하여 인생의 의미를 깊이있게 일깨워준 참자유인, 진짜 시인의 타계로 이제 이 땅에서 시인의 신화시대는 막을 내렸다]고 . 「참자유인」은 천상병만이 아니라 「진짜 괴짜문인」모두를 가리키는 말이다. 세속으로부터 자신을 해방한 아웃사이더 문인들을 우리가 기리는 것은 시공을 초월한 인생의 깊은 의미를 일깨우기 때문이다. 또 바로 이것이 문학의 핵심 아닌가. 시절이 수상해지면 방외자로서 숨어 있는 문인들이 우리의 시야에 다시 들어올 것이다. 그리고 참자유가 무엇인가를 깨우칠 것이다


김관식(金冠植·1934∼1970) 

"좌충우돌의 미학은 / 너로 말미암아 비롯하고, / 드디어 끝난다. / 구슬도 먼지도 못되는 / 점잖은 친구들아, / 이제는 당하지 않을 것이니 / 되려 기뻐해다오. / 김관식의 가을바람 이는 이 입관을" 

천상병(千祥炳) 시인의 시 <김관식의 입관(入棺)> 일부분이다. 55년 서정주(徐廷柱)시인의 추천으로 문단에 나온 김관식은 타계할 때까지 거칠 것없는 행동으로 문단에 숱한 화제를 뿌렸다. 어려서 신동으로 불리며 시 1천수를 줄줄 외웠던 김관식은 한학에도 밝아 시의 세계가 깊고 그윽하다는 평을 들었다. 그러나 문단에서 그의 행태는 광기를 띨만큼 호탕해 「미친 아이」로 불리기도 했다. 문단 대선배도「군(君)」 
자를 붙여 제자 다루듯 했으며 시 세계에 가식이 섞였거나 조금만 삐뚤어져 있으면 독설(毒舌)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던 김관식이 4·1 9로 열린 민주국가에 기여하겠다며 서울종로 국회의 원후보로 나서 당시 거물급 정치인 장면(張勉)과 맞붙은 일화는 유명하다. 또 홍은동 산동네에다 무허가 판잣집을 지어 멋대로 팔고 가난한 시인들에게는 거져 주기도 했다. 세상 거칠 것없이 몸으로 「좌충우돌의 시학」을 가르치다 죽었으니 시도 아닌 시로 점잔을 빼던 시인들이 기뻐했을 법도 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62 <시인> 시모음 /// 禪詩(선시) 모음 2015-10-27 1 5866
761 <촛불 > 시모음 /// 경상도 지방의 사투리 2015-10-27 0 7260
760 다가오는 모든 발자국은... 시모음 2015-10-27 0 3807
759 <평화통일> 시모음 2015-10-22 0 4442
758 <통일평화> 시모음 2015-10-22 0 3773
757 미당 "국화"와 얘기 나누다... 2015-10-22 0 3933
756 미당 서정주와 대화하기... 2015-10-22 0 4305
755 얼굴없는 로동자시인 - 박노해 2015-10-21 0 4083
754 시여, 우리 시인이여 - 독자들을 다시 시앞에 모이게 하는 비법... 2015-10-20 0 4209
753 시여, 똥을 싸라... 시는 詩치료로 쓰자... 2015-10-20 0 3883
752 보리피리시인 - 한하운 2015-10-17 0 4804
751 詩여, 침을 뱉어라 2015-10-16 0 4879
750 詩人人生 2015-10-16 0 4521
749 空手來空手去 - 독서가 만권에 달하여도 律은 읽지 않는다 2015-10-13 0 4180
748 쉬여가는 페이지 - 중국 10개 비경 2015-10-13 0 4147
747 소동파 = 소식 시세계 2015-10-13 1 4712
746 이순신 장군 시모음 2015-10-13 0 4046
745 노벨상 이모저모 2015-10-09 0 4566
744 시에서 비유적 이미저리 2015-10-08 1 4541
743 시인의 에스프리 /강영환 2015-10-08 0 3810
742 시에서 정신적 이미저리 2015-10-08 0 3821
741 시에서 이미저리의 기능 2015-10-08 0 3949
740 시를 잘 쓰는 궤도 / 시와 상징 / 靑馬 2015-10-08 0 3544
739 ...이어서 2015-10-08 0 4555
738 詩의 이미지와 이미저리 2015-10-08 0 3423
737 시인의 령감은? 2015-10-07 0 3775
736 (시)괴짜괴짜괴짜 / 최흔 2015-10-04 0 3813
735 "괴짜시인 공화국" 2015-10-03 0 3622
734 "못난 놈은 얼굴만 봐도 흥겹다" - "괴짜시인 - 김관식" 2015-10-03 0 4072
733 重慶 烏江 - 절벽에 올라 시구를 구상하는 "괴짜시인" 2015-10-03 0 3810
732 김철호 / 김관웅 2015-10-03 0 3458
731 김철호 / 김응룡 2015-10-01 0 4224
730 김철호 / 최삼룡 2015-10-01 0 3743
729 김철호 근작시 시평 2015-10-01 0 3567
728 김철호 / 허인 2015-10-01 0 3532
727 토템문화와 조화세계 2015-09-29 0 4269
726 다시 보는 조향시인 2015-09-17 0 4970
725 조향시인님을 그리며(꼭 찾아 뵙고저 했건만...)... 2015-09-17 0 3699
724 잊혀진 시조시인 - 조운 2015-09-17 0 4340
723 김혁 / 김룡운 2015-09-17 0 3600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