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미래파의 형성
2016년 01월 02일 05시 59분  조회:4376  추천:0  작성자: 죽림

1,
미래파
(未來派)는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시인 마리네티에 의해서 제창된 예술운동이다. 

과거의 전통을 부정하고 근대 문명이 낳은 속도와 기계를 찬미하는 것을 의 본령으로 삼았다.

단명하기는 했으나 파스테르나크마야코프스키 등이 이의 대표자이다.

 

2.

미래파 :


20세기초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미술운동

이탈리아 내의 젊은 미술가들이 유물숭배와 아카데미즘을 배격하고

동적 감각의 표현에 의한 새로운 시대의 미를 창조하는데 공감을 얻어추진된 미술사조의 경향.

과거에 집착한 기성 부류를 과거파라 명명하고 끝없는 내일을 향해 달려가는

자신의 입장을 미래파라고 붙인 것이다.

특징은 모험과 소음과 속력을 찬미하고 미래의 아름아움은

속도에서 나온다고 주장하였다.


대표적인 미래파 예술가는 조각가 보치오니, 지아코모 발라, 지노 세베리니 등이 있다.


미래파의 이념은 운동의 양식, 역동감, 현상의 동존성를 강조하고

여기서 일어나는 다이나믹한 속력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데 있다.

이 운동은 약 10년간 지속되면서 추상 예술의 등장에 많은 자양이 되었다.

 

3.

미래파가 우리나라에서 먼저 언급했다?

아마 아닐껍니다.
1905년 마르네티가 이미 '포에지아 잡지'에서 언급했으며

4년 후인 1909년 (이태리 피렌체지역) 동일 인물 마르네티가 미래파 선언 을 했습니다.


미래파란 말 그대로 미래 지향적이며 역동적, 속도감, 도시적 기계주의, 강한추진 등을
대로 하는 문예 사조로서 폭력과 전쟁을 찬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글로는 아포리네르의 '미라보 다리 위에서' 가 있습니다.

1921년 일본에 상륙하여 일본에서도 미래파 선언을 했으나

우리나라에는 들어 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기죠?)

글은 대충...  부사 형용사 등을 뺀,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조 문헌 [문예사조론]

 

 

4.

20C 초반, 이태리의 전위예술운동입니다.

19세기 후반에 통일을 이룬 이탈리아는 펼처질 20세기가 흥분되고
진보를 향해가는 시기였을겁니다.

그것이 아니더라도 산업혁명,전쟁등을 통해 20세기 유럽 예술운동은 정말 큰계단을 오르듯

성큼성큼 새로움을 지향했습니다.

 

'파괴의 미학'이라는 말 들어보셨죠.. 이게 아마 미래파에 가까운 표현일듯.

과거의 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명을 향해 가는 과격한 화파로

전쟁을 찬미하고, 도서관을 부수기도 했습니다.

사회의 전반적인 기계화,기계문명에서 도시,도약,속도등을 미적으로 표현하려고 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프랑스에서는 야수파,입체파가 유행했습니다.

세 화파가 결부되는 부분이 있다면 도전적이고 기운찬 느낌.. 
다음 세대로 가자는 혁신을 도모했다는 점입니다.

 

작가는 지아코모 발라,움베르토 보치오니 등이 있습니다.

(엘라스티시티. by 보치오니)

(넘버스 인 러브.by 발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22 詩작법 둥기당... 2016-01-09 0 4824
921 詩작법 닐리리... 2016-01-09 0 4093
920 詩작법 옹헤야... 2016-01-09 0 3586
919 詩작법 지화쟈... 2016-01-09 0 3018
918 詩작법 절씨구... 2016-01-09 0 3278
917 詩작법 얼씨구... 2016-01-09 0 3445
916 詩작법 찌찌찌... 2016-01-09 0 4423
915 좋은 詩를 쓰는 비법 2016-01-09 0 3543
914 詩는 언어에 옷을 입히는 행위 2016-01-09 0 3641
913 詩습작자들을 위한 提言 2016-01-09 0 3504
912 詩공부하지 않고서는 말할것 없다... 2016-01-09 1 3803
911 詩쓰기 그리기... 2016-01-09 0 3179
910 ...해답일뿐, 정답은 아닙니다... 2016-01-09 0 3395
909 詩작법 구구구... 2016-01-09 0 2996
908 詩人되기 힘들다, 詩쓰기는 더더욱 힘들다... 2016-01-09 0 3565
907 詩작법에서 詩를 많이 읽어라 2016-01-09 0 3139
906 만약 詩 한줄이라도 에너지가 있다면... 2016-01-09 0 2899
905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01-09 0 3304
904 그러나, 누구나 좋은 詩를 쓰는것은 아니다... 2016-01-09 1 3564
903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01-09 0 3813
902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01-09 0 3192
901 詩에서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2016-01-09 0 3606
900 詩에서 새로운 화제 찾기 2016-01-09 0 3355
899 詩에서 어떤 어법으로 말할가 2016-01-09 0 3393
898 詩의 서정적줄거리 만들기 2016-01-09 0 4158
897 자아,- 씁시다... 詩자악!... 2016-01-09 0 3950
896 詩의 정의는 없다... 2016-01-09 0 4140
895 詩는 여러 문학쟝르 中 가장 핵심 쟝르 2016-01-09 0 3518
894 詩짓기에서 수사법 2016-01-09 0 3810
893 詩의 술잔속에는 바다가 출렁출렁... 2016-01-09 0 3695
892 우리 모두 詩와 함께 웃어 버립시다... 2016-01-09 0 3259
891 그녀만은 없었습니다... 2016-01-09 0 3441
890 아름다움이란 모든 것 몫, 몫, 몫... 2016-01-09 0 3270
889 뭇 벗님들의 하늘이 늘 함께 푸르기만을... 2016-01-09 0 3340
888 詩의 旅行을 떠나며... 2016-01-09 0 3434
887 詩적 발견, 그 새로운 눈 2016-01-09 0 3561
886 詩는 묘사로 시작해서 진술로 끝나다... 2016-01-09 0 3847
885 詩야,- 너 어디서 오느냐... 2016-01-08 0 4309
884 詩人을 만드는 9가지 비망록 2016-01-08 0 4146
883 詩는 아름다운 우리 말의 보물창고 2016-01-08 0 4106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