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0월 2024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년 01월 09일 04시 39분  조회:4135  추천:0  작성자: 죽림
 

 서정주 ‘冬天(동천)’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은 눈썹을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
 
 
 
겨울 밤하늘을 올려 본다. 얼음에 맨살이 달라붙듯 차갑고 이빨은 시리다. 문득 궁금해진다. 미당(未堂) 서정주 시인은 왜 한천(寒天)에 사랑의 일과 사랑의 언약과 사랑의 얼굴을 심어 두었을까. 손바닥으로 쓸어보아도 온기라고는 하나 없는 그곳에 왜 하필 사랑을 심어 두었을까. 매서운 새조차 ‘비끼어 가’는 사랑의 결기를 심어 두었을까. 

생심(生心)에 대해 문득 생각해본다. 처음으로 마음이 생겨나는 순간을 생각해본다. 무구한 처음을, 손이 타지 않아서 때가 묻지 않은 처음을. 부패와 작파가 없는 처음을. 신성한 처음을. 미당이 한천을 염두에 둔 것은 처음의 사랑과 처음의 연민과 처음의 대비와 처음의 그 생심이 지속되기를 바랐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심어 놨’다고 한 까닭도 생심 때문이 아니었을까. 심는다는 것은 생육(生育)한다는 것 아닌가. 여리디 여린 것, 겨우 자리 잡은 것, 막 숨결을 얻은 것, 젖니 같은 것 이런 것이 말하자면 처음이요, 생양해야 할 것들 아닌가. 미당은 초승달이 점점 충만한 빛으로 나아가듯 처음의 사랑 또한 지속되고 원만해지기를 기도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미당의 시에는 생명 없는 것을 생장시키는 독특한 영기(靈氣)가 서려 있다. 그는 시 ‘첫사랑의 詩’에서 ‘초등학교 3학년때 / 나는 열두살이었는데요. / 우리 이쁜 여선생님을 / 너무나 좋아해서요. / 손톱도 그분같이 늘 깨끗이 깎고, / 공부도 첫째를 노려서 하고, / 그러면서 산에가선 산돌을 줏어다가 / 국화밭에 놓아 두곤 / 날마다 물을 주어 길렀어요.’라고 하지 않았던가. 산돌을 주워 와서 물을 주어 길렀듯이 이 시에서도 미당은 ‘고은 눈썹’을 생장시키는 재기를 보여준다. 

미당의 시에는 유계(幽界)가 있다. 그는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라며 황홀을 노래했지만 그는 우주의 생명을 수류(水流)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흘러가되 윤회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 운행에서 그는 목숨 받은 이들의 만나고 헤어지는 일을 노래했다. 목숨 없는 것에는 목숨의 숨결을 불어 넣었다. 미당의 시의 최심(最深)은 삶 너머의 이승 이전의 유계를 돌보는 시심에 있다. 이 광대한 요량으로 그는 현대시사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았다. 

(문태준·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시인의 문학관 2015-02-19 0 3933
82 김수영 론, 박치원 론 2015-02-19 0 4296
81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512
80 포스트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160
79 현대시의 리해 2015-02-19 1 4039
78 하이퍼시에 관한 고견 2015-02-19 0 4241
77 하이퍼시의 리해 2015-02-19 0 3882
76 의식, 무의식의 징검다리 2015-02-19 0 4098
75 김기림 시론 ( - 한국 현대시의 최초 시론) 2015-02-19 0 3887
74 조향 시론 2015-02-19 0 3965
73 김춘수 시론 2015-02-19 0 4135
72 시와 아이러니 2015-02-19 0 4023
71 디지털시대 시 전망 2015-02-19 0 3918
70 하이퍼와 잡종(?) 2015-02-19 0 3806
69 하이퍼시에서 내면세계 미학 2015-02-19 0 4004
68 하이퍼시에서 사물적, 상상적 가능성 2015-02-19 0 4322
67 하이퍼시의 구조 2015-02-19 0 4126
66 시에서 인식의 혁명 2015-02-19 0 4205
65 언어와 사물, 그리고 시 2015-02-19 0 4362
64 시와 독자와 난해성 문제 2015-02-19 0 4197
63 3.0 2015-02-19 0 3634
62 퍼포먼스 시집 평설 2015-02-18 0 4273
61 하이퍼시와 퍼포먼스시 2015-02-18 0 3843
60 하이퍼시 도무미 4 2015-02-18 0 4318
59 하이퍼모더니즘의 시대는 오는가 2015-02-18 0 4493
58 하이퍼시 도우미 3 2015-02-18 0 4117
57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02-18 0 3872
56 탈관념의 꿈꾸기 2015-02-18 0 4076
55 현대시의 길 열기 2015-02-18 0 4456
54 하이퍼시의 도우미 2015-02-18 0 4009
53 하이퍼시의 전환기법 관찰 2015-02-18 0 4302
52 하이퍼시의 리해와 창작 2015-02-18 0 4204
51 하이퍼시와 디카시 2015-02-18 0 4084
50 ...계속 6 2015-02-18 0 3626
49 ...계속 5 2015-02-18 0 4193
48 ...계속 4 2015-02-18 0 4023
47 ...계속 3 2015-02-18 0 3835
46 ...계속 2 2015-02-18 0 3931
45 李箱시의 디지털적 해석 2015-02-18 0 4145
44 탈관념 시의 리해 2015-02-18 0 3918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