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작법 지화쟈...
2016년 01월 09일 05시 27분  조회:3353  추천:0  작성자: 죽림

시 창작 기초이론 - 3

 

 

 (2) 내재적 운율(內在律) : 주관적인 성질의 운율이라고 할 수 있음.

     - 자유시나 산문시에서 느끼는 내재율

 

내 마음의 어딘듯 한 편에 끝없는 江물이 흐르네.

돋쳐오르는 아침 날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오네

가슴엔듯 눈엔듯 또 필줄엔듯

마음이 도론도론 숨어 있는곳

내 마음의 어딘듯 한 편에 끝없는 江물이 흐르네.

 

<金永郞 끝없는 江물이 흐르네>

 

이 시에서 시인의 내면적 호흡은 외면적으로 형식화한 것으로 의미를 낳게 하는 음의 연속임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음은 음악성을 보인 언어 음색미에서 오는 운 글자나 구, 행의 길이에서 오는 율을 형성한다.

또, 현대시의 내재율은 의미율을 형성하여 의미구조의 움직임, 상징, 암시 등 정서의 움직임 등에 의해 결정된다. 그것은 내용 단락을 형성한다.

이런 점에서 현대시는 '우주현상과 인간생활의 생성과정을 강약, 명암, 생장, 소멸의 리듬으로 환원한 것이다.'

 

바람도 없는 공중에 垂直의 波紋을 내며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은 누구의 발자취입니까.

지리한 장마끝에 서풍에 몰려가는 무서은 검은 구름의 터진 틈으로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꽃도 없는 깊은 나무에 푸른 이끼를 거처서 옛 塔 위의 고요한 하늘을 스치는 알 수 없는 향기는 누구의 입김입니까.

근원은 알지도 못할 곳에서 나서 돌뿌리를 울리고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는 구비구비 누구의 노래입니까.

연꽃같은 발꿈치로 가이 없는 바다를 밟고 옥 같은 손으로 끝없는 하늘을 만지면서 떨어지는 해를 곱게 단장하는 저녁놀은 누구의 詩입니까.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그칠줄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한용운 <알 수 없어요>

 

 

형식상 내용단락을 구분지울 수 있는 6연으로 이루어진 전연 자유시이다.

그러나, 이 시처럼 현대시는 시의 운율을 시의 내면기조 속에 내재율화하게 된다.

 

가난이야 한낱 襤褸에 지나지 않는다.

저 눈부신 햇빛 속에 갈매빛의 등성이를 드러내고 서 있는

여름 山 같은

우리들의 타고난 살결 타고난 마음씨까지야 다 가릴 수 있으랴.

靑山이 그 무릎 아래 芝蘭을 기르듯

우리는 우리 새끼들을 기를 수밖엔 없다.

목숨이 가다가다 농울쳐 휘어드는

午後의 때가 오거든

內外들이여 그대들도

더러는 앉고

더러는 차라리 그 곁에 누워라

지어미는 지애비를 물끄러미 우러러보고

지애비는 지어미의 이마라도 짚어라.

어느 가시덤풀 쑥굴헝에 놓일지라도 우리는 늘 玉돌같이 호젓이 묻혔다고 생각할 일이요

靑苔라도 자욱이 끼일 일인 것이다.

 

서정주 <무등을 보며>

 

 

위에 인용한 시는 우리도 무등산을 닮아 어려움에 굽히지 말고 생명을 지켜 가자는 뛰어난 작품인데, 이 시에는 외형상 리듬이 없는 것 같지만 속살로 흐르는 시인 특유의 맥동과 호흡이 살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곧 자유시에서 필요로 하는 내재율(internal rhythm)인 것이다. 客睡何曾着 秋天不肯明

 

入簾殘月影 高枕遠江聲

 

計拙無依食 途窮仗友生

 

老妻書數紙 應悉未歸情

 

 

杜甫 <客夜>

 

오언율시인 위의 시에서 시인은 偶數句 末尾字인 명, 성, 생, 정을 압운하고 있다. 절구에서는 물론 2행과 4행의 말미에 압운하게 된다.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나와 우리들의 죽음보다도

더한 냉혹하고 절실한

回想과 體驗일지도 모른다.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여러 차례의 殺戮에 복종한 生命보다도

더한 復讐와 孤獨을 아는

苦惱와 抵抗일지도 모른다.

 

박인환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박인환의 시에는 현대를 살아가는 인테리의 외로운 육성이 있다. 따라서 시의 리듬도 꾸밈이 없는 소박한 외침으로 되어 있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꾹이 제철에 울건만

 

마음은 제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港口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메끝에 홀로 오르니

흰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 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정지용 <고향>

 

 

자유시 중에서도 김소월을 위시하여 김영랑이라든지 자연파 시인들은 음악적인 리듬을 중시하는 시를 많이 남기고 있다.

여기 인용한 정지용의 『고향』이란 시는 각련이 2행으로 구성되었고 3, 3, 4의 리듬이 변형을 이루면서 음악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정지용은『백록담』과 같은 산문시를 많이 쓰고 즉물적인 감각을 노래한 시인이지만, 또 한편『고향』과 같은 전통적 서정을 잘 나타내었다.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운 눈섭을

즈믄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서정주 <동천>

 

 

4 4 5의 리듬에 5행시

(혹은 7 5 조 리듬의 변형)

 

-------------------------------------------

6. 레바논 감정 / 최정례

 

레바논 감정 / 최정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3 인생은 비극이라 생각할 때 비로서 살기 시작하는것... 2016-11-06 0 4419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3757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4530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3820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4679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4041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3923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3389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299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4151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444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4160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4129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520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3950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4013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3970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3975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4622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4124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6046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4733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3407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4070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3845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3976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4829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5789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3648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5022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4030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3662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4109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3789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3778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449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3686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3542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3933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4202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