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독서광 - 책벌레 - 1억1만3천번 읽다...
2016년 01월 26일 02시 27분  조회:4789  추천:0  작성자: 죽림
김득신 (조선 시인)  [金得臣]
 
1604(선조 37)~1684(숙종 10).
 
조선시대의 시인.
 
 
 
 
영감과 직관을 통해 자연의 생명을 조화롭게 읊은 시가 으뜸이라고 했다. 본관은 안동.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구석산인(龜石山人). 진주목사 시민(時敏)의 손자이며 부제학 치(緻)의 아들이다. 1662년(현종 3)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가선대부에 올랐으며 안풍군에 봉해졌다. 정두경·임유후·홍석기·홍만종 등과 친하게 지내면서 시와 술로 풍류를 즐겼다. 예로부터 학문을 많이 쌓은 사람은 책읽기를 많이 하여 그러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생각하고 책읽기에 힘썼는데, 특히 〈백이전〉을 가장 좋아하여 1억 1만 3,000번이나 읽어 자신의 서재를 '억만재'라 이름짓기도 했다. 또한 시를 짓는 어려움보다 시를 제대로 평가해내는 어려움이 더 크다고 하고, 당시 사람들이 과거에만 열중하다보니 시의 개성이나 예술성을 무시한 채 시가 오직 입신양명의 수단으로 쓰이고 있음을 비판했다. 특히 5언·7언 절구를 잘 지었으며 시어와 시구를 다듬는 것을 중요시했다. 문집인 〈백곡집〉에 시 416수가 전하며, 홍만종의 〈시화총림〉에 실려 있는 그의 시화집인 〈종남총지〉는 비교적 내용이 전문적이고 주관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어 시학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김득신(金得臣) 1604(선조37)∼1684(숙종10)

조선의 시인. 본관은 안동(安東),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귀석산인(龜石山人), 충무공 시민(時敏)의 손자, 부제학(副提學) 안흥군(安興君) 치(緻)의 아들. 어머니는 사천(泗川) 목씨(睦氏)로 목첨(睦詹)의 딸이고, 아내는 경주 김씨이며, 조선 중기의 시인이다. 1642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당시 한문 사대가인 이식(李植)으로부터 “그대의 시문이 당금 제일”이라는 평을 들음으로써 이름을 세상에 알렸다 1662년 (현종3) 증광문과(增廣文科) 병과(丙科)로 급제. 장악원 정·지제교(掌樂院 正·知製敎) 등을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라 동중추부사(同中樞府事)를 지냈다. 뒤늦게 벼슬에 올랐으나 장차 일어날 사화(士禍)를 예견하여 벼슬을 버리고 괴산읍 능촌리에 있는 취묵당(醉默堂)에 내려와 시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다. 74세에는 사도시정으로 증광시 시험관이 되었고, 78세에는 통정대부가 되었으며, 80세에는 가선대부에 올랐고 안풍군(安豊君)으로 습봉되었다. 이듬해인 81세에 생을 마쳤다. 묘는 충북 괴산군 증평읍 율리에 있다. 당대 유명한 시인으로 이름이 나 있으며 문집으로 <栢谷文集>이 있고 평론집인 <終南粹言>,<終南叢志> 등이 있다.

백곡은 백이전(伯夷傳)을 1억1만3천번을 읽고 그의 서재 이름을 '억만재(億萬齋)'라 했으며 그의 뛰어난 문장이 세상에 알려지니 효종이 그의 '용호한강시(龍湖漢江詩)'를 보고 감탄했다고 한다. 문보다는 시, 특히 오언 · 칠언절구를 잘 지었다. 그의 작품으로는 백곡집 외에 시화집인 '종남총지(終南叢志)'가 있으며 그 밖의 작품으로 술과 부채를 의인화한 가전소설 〈환백장군전(歡伯將軍傳)〉과 〈청풍선생전(淸風先生傳)〉을 남기기도 했다. 이것은 '국순전' '국선생전' 등 고려의 한 시대만 한정된 줄 알았던 술 가전계통의 소설이 조선조에도 그 면모가 지속됐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백곡은 노둔한 천품에도 불구하고 후천적인 노력을 통하여 시(詩)로 일가를 이룬 '고음과 다독' 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경세치평(經世治平)이라는 유가적 이상을 당쟁의 현실 속에서 실천하지 못한 번뇌를 토로하기도 하지만 진보적인 시(詩)의식을 가지고 중세에서 근대로 가는 변천기에 활동했던 문예담당자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실제 그는 창작활동의 소산으로 주옥같은 시를 남겼는가 하면 한시비평의 기준을 마련한 비평가로 한국한문학사에 확고히 자리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 중기에 명문장가로 이름을 날린 백곡 김득신의 서재 억만재에 얽힌 내력은 아주 유명합니다.

백곡 김득신(1604~ 1684) 태어날 때 그의 아버지 김치(金緻) 는 꿈에 노자를 만났고 그 연유로 아이적의 이름을 몽담(夢聃)으로 지어주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신몽을 꾸고 태어난 아이답지 않게 김득신은 머리가 지독하게 나빴습니다.

10살에 비로소 글을 배우기 시작했고 흔히 읽던 십구사락의 첫 단락은 26자에 불과했지만 사흘을 배우고도 구두조차 떼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쉽게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는 오히려 엄청난 노력을 하였습니다.

그의 노력은 간서치였다는 말을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간서치는 책벌레라는 말입니다. 지금으로 말하면 편집증, 독서마니아 즉 독서광이었을 것입니다.

 

부친이 감사를 역임할 정도로 명문 가문 출신인데도 머리가 나빴던 그는 유명 작품들을 반복하며 읽으며 외웠습니다.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괴강 근처에 자리하고 있는 김득신의 옛집, 취묵당(醉墨堂)에 걸려 있는 ‘독수기(讀數記)’에 보면, 그는 1634년부터 1670년 사이에 1만번 이상 읽은 옛글 36편을 밝혔는데, 그 횟수가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가 평생 1만 번 이상 읽은 글 36편의 목록이 가득 적혀 있다. 여기에는 김득신이 <사기>(史記) ‘백이전(伯夷傳)’을 무려 1억1만3천 번이나 읽었다고 기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억만재(億萬齋)’는 글자 뜻 그대로 김득신이 글을 읽을 때 1만 번이 넘지 않으면 멈추지 않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책벌레 김득신의 책읽기에 대한 일화가 적잖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백곡이 혼례를 치르던 날의 이야기다.백곡이 책을 좋아한다는 말을 들은 장모는 소문을 확인하기 위해 신방에 있는 책을 모두 치웠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첫날밤 신랑은 신부를 제쳐두고 방을 뒤지며 책을 찾았습니다. 경대 밑에서 백곡이 발견한 것은 책력(冊曆). 밤새도록 읽고 또 읽은 백곡은 날이 새자 “무슨 책이 이렇게 심심하냐”고 말했다 합니다.

 

80이 넘도록 장수한 백곡은 먼저 딸을 여의었는데, 분주한 장례 행렬을 따라가면서도 그가 손에서 놓지 않고 보았던 글이 바로 ‘백이전’이었다. 또 부인의 상중에 일가친척들이 ‘애고, 애고’ 곡을 하는데, 그는 곡소리에 맞춰 ‘백이전’의 구절을 읽었다고 이의현은 전하고 있습니다. 참으로 어지간한 사람이 아니겠습니까?

백곡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그의 자질을 알아본 사람들은 글공부를 포기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수치요 굴욕적인 말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책벌레 김득신은 40여년간 꾸준히 읽고 시를 공부한 끝에 그는 말년에 ‘당대 최고의 시인’(택당 이식)으로 불렸습니다.

그는 스스로 지은 묘지명에서 이렇게 말했다.


“재주가 남만 못하다고 스스로 한계를 짓지 말라.
나보다 미련하고 둔한 사람도 없겠지마는
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모든 것은 힘쓰는 데 달려 있을 따름이다.”


시작도 하지 않고 재주가 없다고 하지 마십시오. 노력도 하지 않고 머리가 나쁘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미련하고 둔하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시작하다가 얼마 하지도 않고 좌절하고 포기하지 마십시오.

책벌레가 되는 과정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끈기가 필요합니다. 목표가 필요합니다.

독서광이야기/ 김득신의 독수기에서 “그는 무언가에 몰두하면 아예 끝장을 보는 성격이었다.” 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능력의 한계를 탓하지 않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당대 최고의 시인이 되었던 것처럼 책벌레가 되어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꿈을 이루며 성공적인 삶을 사시지 않으시렵니까? 또한 책벌레 중의 책벌레가 되어 최고의 지성으로 남고  싶지 않으십니까?

▣ 용호(龍湖) ▣

고목한운리(古木寒雲裏) / 고목은 찬 구름 속에 잠기고

추산백우변(秋山白雨邊) / 가을 산엔 소낙비 들이치네.

모강풍랑기(暮江風浪起) / 날 저문 강에 풍랑이 일자

어자급회선(漁子急回船) / 어부는 급히 뱃머리를 돌리네.


 

 
 
 
 

"재주가 남만 못하다고 스스로 한계를 짓지 마라. 나보다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없겠지만

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백곡 김득신 선생님 비문에서

 

어릴 적 우둔하다고 놀림 받았고, 환갑이 다 되어서애 과거에 급제한 백곡 김득신 선생님은 엄청난 독서량과 배껴쓰기의 힘으로 당송 8대가에 뒤지지 않는 조선 최고의 시인으로 이름을 날리게 됩니다. 10살에야 글을 배우기 시작했을 정도로 아둔하였으나 읽고 또 읽고 읽은 책은 또 베껴 써가며 고스란히 자신의 것으로 만듦으로써 둔재에서 천재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3 누구룰 위하여 종은 울리나... 2016-05-19 0 4208
1442 {자료}- 김철 시인 / 김응준 시인 2016-05-18 0 7228
1441 시문학 부흥의 묘약은 어디?... 2016-05-18 0 4111
1440 이승의 버스가 씨근거리고... 새가 된 꽃이라며... 2016-05-18 0 4739
1439 [한밤중 詩와 함께]- 배꼽 2016-05-18 0 4134
1438 詩論을 알면 시쓰기 힘들다... 2016-05-17 0 4485
1437 55년만에 발굴된 민족시인 - 심련수 / ... 2016-05-16 0 5304
1436 詩人과 詩 그리고 갱신의 길 / ... 2016-05-16 0 4651
1435 詩의 언어는 과학적 언어가 아니다 2016-05-16 0 4552
1434 순화된 언어속에서 건져 올리는 낯설기라야 가치 있다 2016-05-16 0 4263
1433 [초저녘 詩 읊다]- 초승달 카페 // 송몽규를 다시 떠올리다 2016-05-16 0 4702
1432 詩의 언어는 음악적이여야... 2016-05-16 0 4677
1431 그 새벽, 시인이 서 있는 곳은,ㅡ 2016-05-16 0 4942
1430 동심이라는 이름의 마법 2016-05-16 0 4960
1429 비긋는 아침, 당신의 고해소는 어디?... 2016-05-16 0 4243
1428 교훈조의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5-15 0 4879
1427 잊혀진 시인 찾아서 - 설창수 시인 2016-05-14 0 4793
1426 잊혀진 시인 찾아서 - 김종한 시인 2016-05-14 0 5493
1425 동시인 김득만 "365밤 동요동시" 출간 2016-05-14 0 4905
1424 사랑의 방정식 2016-05-14 0 4729
1423 울음상점에서 만나다... 2016-05-13 0 4450
1422 시인의 몸에 몇개의 지문이 없다... 있다... 2016-05-13 0 4733
1421 시작의 첫 줄에 마음 써라... 2016-05-12 0 4395
1420 시의 이미지는 진화한다... 2016-05-12 0 5205
1419 [안개 푹 설레이는 아침 시 한컷]- 옛 엽서 2016-05-12 0 4491
1418 왁자지껄한 평화속에서 꽃 피우라... 2016-05-11 0 4006
1417 아이는 삶으로 뛰여든다... 2016-05-10 0 4233
1416 나무들은 때로 불꽃 입술로 말한다... 2016-05-10 0 4295
1415 살구나무에 몸을 비벼본다... 2016-05-10 0 4582
1414 하이쿠 = 17자 2016-05-10 0 4386
1413 구체시 = 구상시 2016-05-10 0 4751
1412 혁명시인 - 김남주 시모음 2016-05-07 1 5021
1411 민족시인- 김남주를 알아보기 2016-05-07 0 5541
1410 [한밤중 詩 읊다]- 우리 엄니 2016-05-07 0 4743
1409 눈(안眼)인가 눈(설雪)인가... 2016-05-07 0 4528
1408 {이것도 詩라고 하는데...} 5월이 시작되다... 2016-05-07 0 4213
1407 詩人은 언어의 마술사이다... 2016-05-06 0 4203
1406 詩人은 현대의 돈키호테이다... 2016-05-06 0 4550
1405 詩人은 쉽게 잠들지 못한다... 2016-05-06 0 6763
1404 詩人은 골목길을 좋아한다... 2016-05-06 0 5490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