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0월 2024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樹木葬 = "오규원 소나무"
2016년 03월 18일 23시 17분  조회:4342  추천:0  작성자: 죽림

 

오규원(吳圭原)

오규원(吳圭原) 사진

시인, 교수 (1941~)
부산사범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법학과 졸업
1968년 『현대문학』에 추천완료


본명은 오규옥(吳圭沃).
1941년 12월 29일 경남 밀양 태생. 부산사범학교, 동아대 법과를 졸업했다. 문장사 대표를 지냈으며, 현재 서울예전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68년 『현대문학』에 「우계(雨季)의 시」, 「몇 개의 현상」 등으로 추천 완료되어 문단에 등단했다. 시집 및 시선집으로 『분명한 사건』(1971), 『순례』(1973), 『사랑의 기교』(1975),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1978), 『이 땅에 씌어지는 서정시』(1981), 『희망 만들며 살기』(1985), 『하늘 아래의 생(生)』(1989),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1995), 『순례』(1997), 『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1999),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2005), 『두두』(2008) 등이 있다. 한편 시론집 『현실과 극기』(1982), 『언어와 삶』(1983) 및 시창작론집 『현대시작법』(1990)을 출간했다. 현대문학상과 연암문학상을 수상했다.

오규원은 초기시에서는 이른바 해사적(解辭的) 기법과 기지에 찬 언어 구사를 통해 독특한 내면 공간의 풍모를 보여주었다.

이후 기존 형식의 파괴에 더욱 힘써 자본주의 소비 문화의 타락상과 허구성을 방법론적으로 비판하였다.

‘현대성의 무의식’이라 할 수 있는 일상성의 세계를 아이러니 정신과 패러디 수법으로 비춤으로써 산업사회의 세속적이고 속악한 소시민적 삶의 모습을 풍자적으로 비판하였다.

그가 스스로 ‘인용적 묘사’라고 명명한 기법에 바탕을 둔 이른바 광고시는 대표적인 예이다.

 

 ============================================================

...강화도에 살고 계신 부모님을 찾아 뵌 참에, 부러 전등사에 들렀다. 물론 유서 깊은 사찰을 둘러볼 요량만은 아니었다. 최근 자연친화적인 장례방식이자 묘지난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수목장(樹木葬), 즉 화장한 분골(粉骨)을 나무 아래 안치하는 자연장의 현장을 견학해 보고 싶었다. 솔직히 말하면, 전등사의 산비탈에 자리잡은 수림원의 한그루 소나무 밑에 고이 묻혀 있는 고 오규원 시인의 극락장생을 기원할 겸 떠난 봄나들이였다.

오규원 시인은 보통사람의 산소량 20% 밖에 호흡하지 못하는 폐기종을 앓다가 2007년 2월 타계했다. 생전에 늘 부족한 산소로 고통 받던 시인이 이제는 나무가 되어 마음껏 숨을 쉬며 편안하게 영면하고 있을 것만 같았다. “한적한 오후다/ 불타는 오후다/ 더 잃을 것이 없는 오후다/ 나는 나무속에서 자 본다.” 세상을 떠나기 열흘 전 제자 시인의 손바닥에 손톱으로 써서 남긴 절명시이다. 갑갑하고 차가운 납골당 속에서 기리 ‘보존’되는 골방의 사후세계를 거부하고, 대지의 뜨거운 기운과 자유롭게 호흡하는 나무와 더불어 ‘상생’하는 생태적 피안을 선택한 시인의 혜안이 부러웠다. 이렇게 소나무로 환생했을 시인을 추모하는 동안, 수목장의 신화적 시조(始祖)인 필레몬과 바우키스 부부의 이야기가 시나브로 떠올랐다.

수목장 선택한 혜안 부러워

어느날 제우스는 인간들의 됨됨이를 평가해 보려고 누추한 행색의 인간으로 변장한 채 마을을 시찰했다. 그러나 매정한 마을사람들은 이 불청객을 문전박대했다. 화가 잔뜩 난 제우스는 인간들을 벌하기로 마음먹고 마지막으로 갈대를 엮어 지붕을 얹은 초라한 오두막을 방문했다. 그러나 바우키스라는 노파와 소박하고 어진 부부로 살아가는 필레몬은 이 길손을 극진히 모셨다. 제우스는 노부부의 정성에 감동했지만 다른 인간들의 푸대접에 대한 분노를 삭일 순 없었다. 결국 그는 커밍아웃한 후, 큰 홍수를 일으켜 필레몬의 집을 제외한 마을 전체를 수장시켰다.

그의 시혼 ‘식수차’ 실려 약동

그후 제우스는 노부부의 소원을 물었는데, 뜻밖에 필레몬은 이렇게 답했다. “저희들은 한평생 사이좋게 살아왔은즉 바라옵건대 죽을 때도 같은 날 같은 시에 죽고자 하나이다. 제가 할미의 장사 치르는 꼴을 보지 않고, 할미가 저를 묻는 일이 없으면 하나이다.” 소원대로 노부부는 오랫동안 의좋게 살다가 마침내 어느 날 배우자의 몸에서 잎이 돋아나는 변신의 기적을 목도하며 생의 해피엔딩을 맞이했다. 필레몬의 몸에서는 밤나무 가지가 뻗어 올라갔고, 바우키스의 머리 위로는 참나무의 잎들이 무성하게 돋아나기 시작했다. 때를 직감한 이들은 작별인사를 나누었다. “잘가게 할미, 잘가요, 영감!” 다정히 어깨동무한 밤나무와 참나무. 둘은 살면서도 한몸이었지만 나무로 환생한 후에도 연대했던 것이다.

 

<류신 | 중앙대 독문과 교수·문학평론가>


//////////////////////////////////////////////////////////////////////////


한 잎의 여자


오규원

나는 한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한 잎같이 쬐그만 여자, 그 한 잎의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그 한 잎의 솜털, 그 한 잎의 맑음, 그 한 잎의 영혼, 그 한 잎의 눈, 그리고 바람이 불면 보일 듯 보일 듯한 그 한 잎의 순결과 자유를 사랑했네.

정말로 나는 한 여자를 사랑했네. 여자만을 가진 여자, 여자 아닌 것은 아무것도 안 가진 여자, 여자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여자, 눈물 같은 여자, 슬픔 같은 여자, 병신 같은 여자, 시집 같은 여자, 영원히 나 혼자 가지는 여자, 그래서 불행한 여자.

그러나 누구나 영원히 가질 수 없는 여자, 물푸레나무 그림자 같은 슬픈 여자.
--------------------------------------------------------------------

시인이 노래하는 ‘한 잎의 여자’는 풀푸레나무에서 비롯되고 있지요. 풀푸레, 라고 발음하면 눈앞에 푸른 기운이 가득 맴돌게 됩니다. 낙엽 지는 넓은 잎의 큰키나무. 꽃은 5월에 새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으며 물속에 넣은 가지가 물을 푸르게 만든다고 하여 물푸레라 한다지요. 수많은 나무 중에 물푸레나무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시인은 시에 대한 다음과 같은 문장을 남긴 바 있습니다. “모든 시는 의미를 채운다. 의미는 가득 채울수록 좋다. 날이미지시는 의미를 비운다. 비울 수 있을 때까지 비운다. 그러나 걱정 마라 언어의 밑바닥은 무의미가 아니라 존재이다.” 이 문장을 살펴볼 때 ‘한 잎의 여자’는 의미를 채우고 채우다 마침내 투명하게 빛나는 모든 존재들의 다른 이름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풀푸레나무에, 우리들의 생에 ‘푸르름 너머의 푸르름’이 깃들고 있는 봄.


/ 이은규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3 인생은 비극이라 생각할 때 비로서 살기 시작하는것... 2016-11-06 0 4511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3796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4568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3857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4707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4071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3958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3421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343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4174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483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4200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4169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563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3976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4055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3996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4004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4638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4162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6076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4758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3448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4099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3864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4007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4857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5815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3678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5064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4063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3694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4158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3823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3799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475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3721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3580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4041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4288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