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論을 알면 시쓰기 힘들다...
2016년 05월 17일 23시 59분  조회:4450  추천:0  작성자: 죽림
[8강] 시의 행 만들기(2)


시의 이론을 알면서부터 시를 쓰기가 힘들다는 분들이 계신데요.
아마 그 것이 정상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시를 보는 안목이
생긴 것이지요.
일반인들과 시를 공부한 사람들의 차이도 그 것입니다. 일반
인들이 좋아하는 시라는 것은 다분히 감정적인 것이어서 우리
의 말초를 자극하는 것입니다.
사랑과 연애와 눈물, 절망 물론 그런 것들이 우리의 시에서
영원히 떠날 수는 없지만 직접적으로 써서 눈물을 자극하는
유행가 같은 시는 결코 좋은 시가 될 수 없습니다.

적당히 감추고, 또 적당히 축약시키고, 더러 과감히 생략하며
어떤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서 잔잔한 감동을 느끼게 하고
그 감동이 마음 속에 오래 남아있게 하는 것이 진정 좋은 시입니다.
그런 언어가 절제된 좋은 시를 쓰기 위해서 여러분들 은 지금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어제에 이어 의미의 단락으로 행 만들기를
공부하겠습니다.

2)의미의 단락으로 행 만들기

에즈라 파운드의 말을 빌리면 시 속에 나타나 있는 의미란,
한 마디로 말하자면, 시라는 예술 작품 공간에 자리잡고 있
는 모든 표현의 내용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 내용은 시적
언술의 특성답게 묘사되어 있거나 진술되어 있습니다. 그러
니까 시 속에 묘사되어 있는 것 또는 진술되어 있는 것들이
곧 의미가 된다는 말입니다.

물론 묘사되어 있는 것이라 하더라도 서경적, 서사적,심상적
인 작품 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있기도 하고, 그것들은
또 축어적으로 표현되어 있기도 하고, 비유적으로 표현되어
있기도 할 만큼 그 의미의 가시적 양태는 다양할 것입니다.
그러니 시 속에 나타난 의미란 시만큼 다양하다고 보아야 하
겠지요.

그러나 의미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시의 리듬 부분에 대해서
혹은 이미지에 대하여 느슨해질 수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김준태님의 <참깨를 털면서>를 읽어보지요. 이 시는 언젠가
한 번 읽은 시이던가요?

산그늘 내린 밭귀퉁이에서 할머니와 참깨를 턴다.
보아하니 할머니는 슬슬 막대기질을 하지만
어두워지기 전에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젊은 나는
한번을 내리치는 데도 힘을 더한다.
세상사에는 흔히 맛보기가 어려운 쾌감이
참깨를 털어내는 일엔 희한하게 있는 것 같다.
한번을 내리쳐도 셀 수 없이
솨아솨아 쏟아지는 무수한 흰 알맹이들
도시에서 십년을 가차이 살아온 나로선
기가 막히게 신나는 일인지라
휘파람을 불어가며 몇 다발이고 연이어 털어낸다.
참깨처럼 솨아솨아 쏟아지는 것들이
얼마든지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정신없이 털다가
"아가, 모가지까지 털어져선 안되느니라"
할머니의 가엾어하는 꾸중을 듣기도 했다.

이 시의 행은 어제 읽은 시들과는 완전히 그 형태가 다른
것을 알 수가 있을 것입니다. 행 구분이 리듬의 단락에 의
거했을 경우에는 하나의 행이 뚜렷한 운율을 형성하게 되
지만 이 시에서는 운율감은 다소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의 행마다 의미들이 자연스럽게 담겨져 있어, 읽는 독자
들에겐 그렇게 거북하거나 거슬리지 않는 것입니다.

이렇게 의미 단락으로 행을 놓으면 독자들에겐 시적 의미들이
오히려 쉽고 자연스럽게 살아날 수가 있는 장점은 있겠지만
리듬감이 약해질 수 있다는 점에 꼭 유의하셔야 할 것입니다.


3)이미지의 단락으로 행 만들기

우리가 이미 이미지에 대해선는 공부를 했지요. 결국 이미지란
우리가 겪은 사실적 경험을 감각화 시킨 것, 육화(肉化)시킨 것
을 말하는 것이지요.

이러한 이미지가 언어 발달의 단계에 따라 정신적 이미지, 비
유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로 나뉜다는 것도 이미 배운 바
있습니다.

복습하는 차원에서 말씀드리면 정신적(심리적)이미지는 감각
기관(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에 의해 이루어진 정
신 현상을 말하는 것이구요. 두 개 이상의 다른 감각이 합해
진 형태를 공감각(共感覺)이라고 한다는 것도 모두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미지 단락에 의해서 행을 만들게 되면, 의미의 단락으로 만
든 행에서 느꼈던 자연스러움보다는 선명한 인상이 부각될 것
입니다.

김기림님의 <기상도, 세계의 아침>의 일부를 읽어보겠습니다.

海峽(해협)은
배암의 잔등
처럼 살아났고
아롱진 아라비아의 의상을 둘른 젊은 산맥들.

바람은 바닷가에서 사라센의 비단幅(폭)처럼 미끄러웁고
오만한 풍경은 바로 午前(오전) 七時의 절정에 가로누웠다.

헐덕이는 들 우에
늙은 향수를 뿌리는
교당의 녹슬은 종소리.
송아지들은 들로 돌아가려무나.
아가씨는 바다에 밀려가는 輪船(윤선)을 오늘도 바래보냈다.


이 시의 첫 연의 행들을 한 번 살펴 볼까요.
이 행들은 자연스러운 의미 단락으로 행을 놓는 것이 아니라,
각각 시어의 이미지가 살아나도록 이미지의 행을 배치하고
있습니다. 만약 의미의 단락으로 구분했다면

비늘 돋힌 해협은
배암의 잔등처럼 살아났고
아롱진 아라비아의 의상을 둘른 산맥들.

아마 이렇게 그 형태가 바뀌었을 것입니다. 이 것을 시각적
이미지를 살아나게 각각 한 행으로 독립시킨 것입니다.
특히 당연히 붙어 있어야 할 조사 '처럼'을 떼어 다음 행에
배치함으로서 배암의 잔등이 더욱 더 선명한 이미지로 나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이미지의 단락을 하나의 행으로 놓은 시인
의 의도가 시의 형태 속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김관식님의 <屋漏(옥루)의 書>를 읽어보겠습니다.

조그만 암캐
마아리가 있었다
토굴 속에는,

천정에서 떨어지는 푸른 빗방울

宮 ...
商 ...
角 ...
徵 ...
羽 ...

오음이 和諧(화해)하는 소리
끼니가 없어도 호올로 晏如(안여)함은
갈색 피부에 주름살이 새겨진
인도의 숲 속 마하트마 깐디가
원탁회의에 양을 몰고 나가듯
젖만을 먹고 살기 때문이지요.

벼슬아치가
수레를 머무르고 찾아온다 할지라도
두 다리 쭈욱 뻗고 마루에 걸터앉아
괼타리를 까 배꼽을 내놓은 채
이를 잡으며 말할 것이다.

옆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이 시에서 3연을 한번 살펴보실까요?
난데없이 宮, 商, 角, 徵, 羽라은 다섯 개의 한자어가 각각
하나씩 행을 이루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시인이 이러한 독특한 모습을 차용한 것은 똑,똑,똑,똑,똑
빗방울 떨어지는 모습을 이미지화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 빗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를 동양 음악의 오음을 아울러
이르는 궁, 상, 각, 치, 우에 비유하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독자에게 청각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를 느끼
게 해주고 있어 이 시의 분위기는 감각적이면서도 재기발랄
하게 살아나고 있습니다.

이수익님의 <봄날에.2>의 부분을 읽어보겠습니다.

설레는
봄,
봄날이다

종다리는 까무라치게
자꾸
울어쌓고

이 시에서 감각적 대상은 '봄'과 '종다리'입니다.
그 둘은 '화냥기처럼 설레는' 특성과 '까무라치게 우는' 특성
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왜 이렇게 행을 놓았을까는
여러분들이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시의 행과 연이 아주 자유스럽고 특이한 시를 소개
합니다. 어디까지가 행이고 어디까지가 연인가 한번
씩 나누어 보십시오.

고재종님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를 올립니다.

잦은 바람 속의 겨울 감나무를 보면

그 가지들이 가는 것이거나 굵은 것이거나 아예 실가
지거나 우둠지거나 모두 다 서로를 훼방 놓는 법이 없
이 제 숨결 닿는 만큼의 찰랑한 허공을 끌어 안고

바르르 떨거나 사운거리거나 건들거리거나 휙휙 후리
거나 모두 다 제 깜냥껏 한 세상을 흔들거리는데
그 모든 것이 웬만해선 흔들림이 없는 한 집의 주춧기
둥 같은 둥치에서 뻗어나간 게 새삼 신기한 일이다.

더더욱 그 실가지 하나에 앉은 조막만한 새 한 마리
의 무게가 둥치를 타고 내려가 깜깜한 땅속의 그 중
깊이 뻗은 실뿌리에까지 거기 흙살에까지 미쳐
그 무게를 견딜 힘을 다시 우둠지에까지 올려보내는
땅심의 배려로 산 가지는 어느 여린 것 하나라도 어
떤 댑바람에도 꺾이지 않는 당참을 보여주는 것인가.

아, 우린 너무 감동을 모르고 살았구나!

============================================================
 
356. 밥냄새 1 / 오탁번
 
    
 
    
 
 
 
 

 
 
 
 
 
밤냄새 1
 
                        오 탁 번
 
하루 걸러 어머니는 나를 업고
이웃 진외가 집으로 갔다
지나다가 그냥 들른 것처럼
어머니는 금세 도로 나오려고 했다
대문을 들어설 때부터 풍겨오는
맛있는 밥냄새를 맡고
내가 어머니의 등에서 울며 보채면
장지문을 열고 진외당숙모가 말했다
- 언놈이 밥 먹이고 가요
그제야 나는 울음을 뚝 그쳤다
밥소라에서 퍼주는 따끈따끈한 밥을
내가 하동지동 먹는 걸 보고
진외당숙모가 나에게 말했다
- 밥때 되면 만날 온나
 
아, 나는 이날 이때까지
이렇게 고운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다
태어나서 젖을 못 먹고
밥조차 굶주리는 나의 유년은
진외가 집에서 풍겨오는 밥냄새를 맡으며
겨우 숨을 이어갔다
 
 
오탁번 시집 <손님>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43 생태문학과 소통해보다... 2016-02-01 0 4544
1042 력사속의 시인 모윤숙... 2016-01-31 0 4600
1041 력사속의 시인 노천명... 2016-01-31 0 5115
1040 詩는 언어를 통해 언어의 구속에서 벗어나야... 2016-01-31 0 5617
1039 예쁜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1-31 0 5696
1038 詩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 2016-01-31 0 6489
1037 詩씨기에서 동심적 발상을 하라 2016-01-31 0 4637
1036 詩쓰기에서 고정관념 깨고 상상의 날개를 활짝... 2016-01-31 0 4496
1035 독서광 - 책벌레 - 1억1만3천번 읽다... 2016-01-26 0 4758
1034 문덕수시론 2016-01-22 0 5651
1033 詩를 왜 사랑하는가?! 2016-01-22 0 4453
1032 (자료) 중국조선족문학 개요 2016-01-22 0 5141
1031 잊혀진, 잊지말아야 할 조선족천재시인 - 주선우 2016-01-22 0 5152
1030 건국후, 조선족시인으로서 첫 개인시집 출판한 주선우 2016-01-22 0 5295
1029 詩의 시대, 詩의 위기, 詩의 소멸... 2016-01-21 0 5566
1028 詩와 함께 평생을 살기로... 2016-01-21 0 5802
1027 詩는 언어로 짓는 寺院 2016-01-21 0 5784
1026 '2016 신춘문예 童詩 당선작 2016-01-21 0 4318
1025 (자료) - 현대시 흐름 2016-01-21 0 5201
1024 詩를 주문제작해 드리는 시대가 왔다... 2016-01-21 0 4698
1023 윤동주 시인을 좋아하는 리유?- 2016-01-21 0 4847
1022 문학을 기존안에 가두려는것 폭력? 전통시는 死亡? 2016-01-21 0 4095
1021 <론쟁> = 시인는 언어질서 파괴자? / 극단적 "미래파 시"는 사기? 2016-01-21 0 4218
1020 시문학의 현주소? / 오감도! 육감도? 2016-01-21 0 4441
1019 이상한 시나라에서 이상한 시인모임 2016-01-21 0 4154
1018 김철호 詩評/ 최삼룡 ... 김철호론/ 김만석... 2016-01-20 0 4561
1017 시에 안부를 묻다... 김영건 시인 2016-01-20 0 4336
1016 미래파 = 전위예술운동 2016-01-20 0 4136
1015 사전에 없는 말, 장난처럼 꺼낸 말... 2016-01-20 0 4351
1014 <<서정시파>>냐?! <<미래파>>냐!?... 2016-01-20 0 3982
1013 미래파시와 미래파시인은 미래가 있을가... 2016-01-20 0 4970
1012 詩밖의 詩의 낯선 세계에로 들어가 보다... 2016-01-19 0 4343
1011 왜 미래파?... 시, 시인, 독자... 2016-01-19 1 6327
1010 詩를 보면 詩人을 알것 같은, -시의 문을 두드려라... 2016-01-19 1 4251
1009 미래파 시인들과 다시 보는 李箱, 그리고 白石 2016-01-19 0 4524
1008 시, 시인, 그리고 그 가족들 - 이육사시인 형제들 2016-01-18 0 7138
1007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형은 시인, 동생 둘 中 한사람은 소설가, 다른 한사람은 극작가... 2016-01-18 0 6222
1006 시다운 詩, 시인다운 詩人을 찾아보기... 2016-01-17 0 4684
1005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이은상 시인 2016-01-15 0 9733
1004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황지우 시인 2016-01-14 0 5017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