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2016년 10월 12일 21시 54분  조회:3775  추천:0  작성자: 죽림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고형렬

 


  졸짱붕알을 달고 명태들 먼 샛바다 밖으로 휘파람 불며 빠져나간다 덕장 밑 잔설에 새파란 나생이 솟아나올 때 바람 불면 아들이랑 하늘 쳐다보며 황태 두 코다리 잡아당겨 망치로 머리 허연 꼬리 퍽퍽 두드려 울타리 밑에 짚불 놓아 연기 피우며 두 마리 불에 구워 먹던 2월 어느날

  개학날도 다가오고 나는 오늘을 안 듯 눈구덩이 설악으로 끌려가는 해를 무연히 바라보다 오만 데 바다로 눈길 준 지 잠시인걸 엊그제 속초 설 쇠고 오다 미시령 삼거리서 사온 누렁이 두 마리 돌로 두드려 혼자 뜯어 먹자니, 내 나이보다 아래가 되신 선친이 불현듯 생각나

  아버지가 되려고 아들을 불러 앉히고 그 중태를 죽죽 찢어 입에 넣어주었다 그 황태 쓸개 간 있던 곳에서 눈냄새가 나고 납설수 냄새도 나자 아버지 냄새가 났다 슬프다기보다 50년 신춘에 이렇게 건태 뜯어 먹는 버릇도 아버지를 닮았으니, 아들도 나를 닮을 것이다

  명태들이 삭은 이빨로 떠나는 새달, 그렇게 머리를 두드려 구워 먹고 초록의 동북 바다로 겨울을 보내주면, 양력 2월 중순에 정월 대보름은 달려왔고 우리 부자는 친구처럼 건태를 구워 먹고 봄을 맞았다 남은 건 내 몸밖에 없으나 새 2월은 그렇게 왔다 가서 이 시만 이렇게 남았다

========================
 

 

감평

 

이 시를 접하면 아버지-시인-자식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손이라는 울타리에서 가정의 평화를 오버랩하게 한다.

덕장에서 아버지와 자식의 사랑을 면면히 이어주는 매개체 황태가 선친을 생각하게 하는 것은 시인도 아버지를 참 그리웠나보다.

황태를 누렁이라고 표현한 시적감각이 참 탁월하고, 부자간의 많은 대화는 없지만 자식의 입으로 넣어주는 중태가 이 세상에서 최상의 음식이 아닐까. 나도 미시령 고개 덕장 아래에서 황태를 즐길 수 있는 사내아이 하나 있었으면 참 좋겠다.

 

 

고형렬

1954년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났다. 1979년 『현대문학』에 「장자」등이 추천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대청봉 수박밭』『해청』『사진리 대설』『성에꽃 눈부처』『김포 운호가든집에서』, 장시집 『리틀 보이』, 동시집『빵 들고 자는 언니』등이 있다. 2003년 제3회 지훈상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시평(詩評)』을 편집하고 있으며 명지전문대 문창과 겸임교수로 출강하고 있다.
졸짱붕알을 달고 명태들 먼 샛바다 밖으로 휘파람 불며 빠져나간다 덕장 밑 잔설에 새파란 나생이 솟아나올 때 바람 불면 아들이랑 하늘 쳐다보며 황태 두 코다리 잡아당겨 망치로 머리 허리 꼬리 퍽퍽 두드려 울타리 밑에 짚불 놓아 연기 피우며 두 마리 불에 구워 먹던 2월 어느 날 … 엊그제 속초 설 쇠고 오다 미시령 삼거리서 사온 누렁이 두 마리 두드려 혼자 뜯어 먹자니, 내 나이보다 아래가 되신 선친이 불현듯 생각나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중에서 

■ 오랜 동안 조기는 서해였고 명태는 동해 그 자체였다. 대한민국 사람들마다 한평생 입 속으로 헤엄쳐들어간 평균 숫자는 몇 마리쯤 될까. 1백 마리는 지져먹고 졸여먹지 않았을까. 명태 1백 마리 지나가는 동안, 인생에 치는 물보라가 왜 없겠으며 가라앉는 기억의 앙금 또한 어찌 없겠는가. 시인은 아버지와 먹던 명태의 기억이 어느덧 아버지 전부가 되어 먹먹한 시간의 살을 씹는 중이다. 명태 알이나 난소는 곤(鯤)이라고 하는데, 이건 장자에서 북해의 명(溟)이라는 곳에 사는 몇 천리나 되는 사이즈의 물고기다. 그러던 명태가 언제 졸짱붕알로 쪼그라 들었는지 모르지만, '애'(간) 주고 '이리'(수컷의 정소) 주고 다 내놓으니 그 육보시 정신만은 통째 하염엾는 바다이다.  
명태 구워먹으니 겨울 가고 봄이 왔다...

밤 미시령

고형렬 시집|창비|129쪽|


 

산 돌을 밟으며 나는 상상할 수 있다, 이것이 화산이었다는 것을
이 돌들이 심장을 단숨에 연소시킨 불이었다는 것을
나무들은 그럼 어디서 왔는가 나는 모르지
그것이 설악의 화두다 알 길 없는
이 물음을 찾아 나는 설악의 돌을 밟고 걷는다


(시 ‘하늘에 떠 있는 수많은 돌’ 부분)


강원도 속초 출신인 고형렬<사진> 시인은 설악산에서 화강암 지대의 돌길을 걸으며 명상에 빠진다. 돌의 침묵 속에서 아주 오래된 어떤 소리를 들으려 하지만 쉽지 않다. 그 돌들은 아주 오래전 엄청난 불바다 속에서 ‘입이 불에 데어 말할 수가 없다’고 한다. 하지만 시인의 발걸음에 닿는 돌의 존재 그 자체가 마치 타오르는 불처럼 시인의 심장 속에서 뜨거운 비밀을 일깨운다. 불바다가 휩쓰고 간 뒤에 남은 돌은 비록 말을 못하지만, 세월의 풍화를 견디면서 마치 물음표와 같은 기호이거나, 말하는 혀를 연상케한다. 그 형상에서 시인은 정물이면서도 죽은 사물이 아닌 생명체로서 돌의 새 이미지를 빚어내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

뼈의 나뭇가지들 아래 뒹구는 불타버린 이빨, 등골 자국들


널려있는 설악의 세계, 검은 화강암이 된
죽음의 길바닥을 만든, 울퉁불퉁한 혀들을 밟는다

나는 캄캄한 밤하늘로 올라가 돌아오지 않는 빛의 영혼들을 본다
머리를 들어, 아 하늘 속에 떠 있는 수많은 돌들을 쳐다본다

 

예로부터 인간은 죽은 영혼이 밤하늘의 별이 될 거라고 믿어왔다. 그런데 시인은 그 별들이 하늘에 떠있는 돌 덩어리라고 본다.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는 우주는 무수한 돌들이 깔려있는 산길과 같은 것이 된다. 시인은 설악산의 돌길에서 우주의 별밭을 감지한다. 그는 하나의 돌에 귀를 기울여 오랜 시간 여행 끝에 지구에 당도한 어느 별의 음악 소리를 듣는다. 

 

▲ 
고형렬 시인은 작은 생명의 숨결에서 거대한 창조의 손길을 느끼거나, 먼 별의 흔들림에서 깊은 내면의 떨림을 감지한다. 그는 여치를 들여다보면서

하느님이 처음 만들 때 눈빛과
손길이 보인다


고 하고,

저녁별 보고 있으면 나뭇잎들만 눈꺼풀에서 출렁여요
내 가슴속에서 나뭇잎 하나 흔들려요


라고 노래한다. 실제로 고형렬 시인은 여치처럼 연약한 눈웃음을 짓고, 나뭇잎처럼 얇은 음성으로 말한다. 설악과 동해로 표상되는 고향 강원도를 떠나 오랫동안 서울에서 일상을 영위하고 있는 시인은 고향의 명태를 시의 자양분으로 삼는다. 이를테면, 속초에서 설을 쇤 뒤 미시령에서 시인은 건태를 불에 구워 아들과 나눠 먹는다. 마치 그의 아버지가 어린날의 시인과 그러했듯이.


명태들이 삭은 이빨로 떠나는 새달, 그렇게 머리를 두드려 구워먹고 초록의 동북 바다로 겨울을 보내주면, 양력 2월 중순에 정월 대보름은 달려왔고 우리 부자는 친구처럼 건태를 구워 먹고 봄을 맞았다 남은 건 내 몸밖에 없으나 2월은 그렇게 왔다 가서 이 시만 이렇게 남았다


(시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부분)***

 

/// 박해현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62 해학과 풍자의 시인 - 流沙河 2016-12-25 0 3743
1961 루마니아 작가 - 게오르기우(규)와 산문시 "한국찬가" 2016-12-18 0 4579
1960 영국계 미국 시인 - 오든 2016-12-16 1 5814
1959 페미니즘과 모더니즘의 선구자 - 버지니아 울프 2016-12-16 0 5238
1958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 - 기피우스 2016-12-16 0 3657
1957 러시아 녀류시인 -안나 아흐마토바 2016-12-14 0 7287
1956 풍자적, 반어적으로 쓴 허무주의 현실 고발서...페루 시인-벨리 2016-12-14 0 3628
1955 로마 방언 作 "소네트" 2천편 소각하라...이탈리아시인-벨리 2016-12-14 0 3830
1954 한국 시인 피천득과 그의 딸 2016-12-14 1 3465
1953 중국 죽림칠현 대표 시인 - 阮籍 2016-12-13 0 3337
1952 러시아 최고 현대 음유시인 - 부라트 오쿠자바 2016-12-13 0 3966
1951 중국 晩唐의 詞人 - 溫庭筠 2016-12-13 0 4160
1950 중국 詩佛 자연시인 - 王維 2016-12-13 0 3583
1949 프랑스 시인 - 알프레드 드 비니 2016-12-13 0 5364
1948 중국 송대 詞人 - 柳永 2016-12-13 0 3997
1947 중국 "문학의 자각"시인 - 陸機 2016-12-13 0 3382
1946 중국 송대 詞人 - 리청조 2016-12-13 1 3351
1945 대만 시인 - 葉維廉 2016-12-13 0 3106
1944 아일랜드 시인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2016-12-11 1 5845
1943 영국 시인 - D.H 로런스 2016-12-11 0 4352
1942 스페인 시인 - 가르시아 로르카 2016-12-11 0 4982
1941 프랑스 실존주의파 시인 - 장 주네 2016-12-11 0 4480
1940 프랑스 "인민의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6-12-11 0 5036
1939 오스트리아 표현주의 시인 - 게오르그 트라클 2016-12-10 0 4264
1938 시인,애독자, 딸 그리고 100년... 2016-12-10 0 5006
1937 100여년 잊혀있던 독일 시인 - 프리드리히 횔덜린 2016-12-10 0 5364
1936 사상 최초, 최고 대서사시를 지은 그리스 시인 - 호메로스 2016-12-10 0 5397
1935 서인도제도 영국령 세인트루시아 시인 - 데릭 월컷(월코트) 2016-12-10 2 6367
1934 페르시아 시인 - 잘랄 앗 딘 루미 2016-12-10 0 5870
1933 러시아 시인 - 브류소프 2016-12-08 0 3493
1932 러시아 시인 - 벨리 2016-12-08 0 4473
1931 러시아 시대의 비극적 테너 시인 - 알렉산드르 블로크 2016-12-08 0 4943
1930 러시아 최후의 "천부적인 재능의 농민시인" - 세르게이 예세닌 2016-12-08 0 5598
1929 독일로 한번도 가본적 없는 유대계 독일 시인 - 파울 첼란 2016-12-07 0 6215
1928 문학예술가, 녀인, 그리고 "뮤즈의 삶" 2016-12-05 0 5483
1927 프랑스 시인 - 폴 엘뤼아르 2016-12-05 0 7106
1926 미국 시인 - 로버트 로웰 2016-12-04 0 4721
1925 영국 계관시인 - 로버트 브리지스 2016-12-04 0 5371
1924 미국 최초의 계관시인 - 로버트 워런 2016-12-04 0 4484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5412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