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 발표된 작품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달이다", "다리다","졸이다", "조리다"
2016년 12월 30일 20시 07분  조회:2998  추천:0  작성자: 죽림
독감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엄마가 끓여준 달콤하고 따뜻한 배즙 한 사발이면 독감이나 감기도 거뜬히 이겨낼 수 있을 것 같다. 배를 푹 고아 배즙을 만들 때 “배를 다리다”고 해야 할까, “배를 달이다”고 해야 할까.

“배의 꼭지를 도려내 그 안에 생강·대추 등을 넣고 다려 먹으면 감기에 좋다”에서와 같이 액체를 끓여 진하게 만들거나 약재에 물을 부어 우러나도록 끓이는 경우 ‘다리다’를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이때는 ‘달이다’라고 써야 바르다.

‘다리다’는 옷이나 천의 주름을 펴거나 줄을 세우기 위해 다리미로 문지르는 행위를 뜻한다. “다리지 않은 와이셔츠라 구김살이 잔뜩 가 있다”처럼 쓸 수 있다.

DA 300

 

‘달이다’와 ‘다리다’가 헷갈린다면 ‘다리미’를 떠올리면 된다. 옷을 다리는 ‘다리미’를 ‘달이미’라고 쓰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리미’와 ‘다리다’가 서로 짝꿍이라 생각하면 ‘달이다’와 ‘다리다’를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와 비슷하게 ‘조리다’와 ‘졸이다’도 헷갈리기 쉽다. ‘조리다’는 양념을 한 고기나 생선, 채소 등을 국물에 넣고 바짝 끓여서 양념이 배게 한다는 뜻이다. “감자를 간장에 조렸다”처럼 쓸 수 있다.

‘졸이다’는 ‘졸다’의 사동사로, 찌개·국·한약 등의 물이 증발해 분량이 적어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불 조절을 잘못해 된장찌개가 졸아 버렸다”처럼 쓸 수 있다.

행위의 목적을 생각하면 ‘졸이다’와 ‘조리다’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목적이 단순히 국물을 줄어들게 만드는 것이라면 ‘졸이다’, 바짝 끓여 재료에 간이 배게 만드는 것이라면 ‘조리다’를 쓰면 된다.

김현정 기자

[출처: 중앙일보] [우리말 바루기] 배를 ‘다려’ 먹을 수 있을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90 시는 산문적 운문(韻文)으로서 문학의 가장 핵심 장르이다... 2017-05-22 0 2478
489 윤동주론 / 김호웅 2017-05-20 0 2764
488 [그것이 알고싶다]-윤동주 비석에 새겨진 비문을 알아보다... 2017-05-20 0 2937
487 시인 윤동주의 녀동생 윤혜원녀사는?... 2017-05-20 0 2796
486 [그것이 알고싶다] - 윤동주 사진 살펴보다... 2017-05-20 0 2652
485 시인은 일상적 시각으로부터 탈피해야... 2017-05-20 0 2166
484 "어머니,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2017-05-20 0 2561
483 시작할 때 남의 글을 흉내내지 말아야... 2017-05-20 0 2414
482 [작문써클선생님들께]-(자료) 중고생들과 문학 대화하고싶다... 2017-05-20 0 3904
481 시는 극점에 달한 미적 언어이다... 2017-05-19 0 2788
480 훌륭한 시작품은 부단한 습작에서 얻은 시행착오의 결과물... 2017-05-17 0 2539
479 시를 통하여 시인의 마음을 읽어내는 지름길을 찾아라... 2017-05-17 0 2358
478 [쉼터] - 우리 말의 가치와 그리고 그 반성... 2017-05-15 0 2480
477 시어란 일상적 언어가 시작품의 재료로 선택될 때 일컫는 말... 2017-05-15 0 2957
476 시의 목표는 언어의 순수성과 일관성이다... 2017-05-13 0 2990
475 시는 찰나, 비극적 불확정적인 하나의 세계이다... 2017-05-13 0 3086
474 시인은 자화자찬에 빠지지 말아야... 2017-05-12 0 2710
473 "윤동주앓이" 2017-05-11 0 2689
472 시인의 특권은 감정의 표현을 누리는것이다... 2017-05-11 0 2661
471 시인은 습작에 습작을 거듭하는 아픈 작업을 련속 걸쳐야... 2017-05-11 1 2710
470 시인은 그 어떠한 령혼을 흔들수 있는 시를 써야... 2017-05-11 1 2623
469 시는 쉽고 군더더기 없는 시어로 다듬어야... 2017-05-11 1 2413
4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마음을 다스리는 글귀들... 2017-05-06 0 3891
46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파스칼 명언... 2017-05-06 0 3713
466 시인은 시의 구절구절 섬세한 언어적 쾌감을 줄줄 알아야... 2017-05-06 1 2535
465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7) 2017-05-06 0 2556
464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6) 2017-05-06 0 2478
463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5) 2017-05-06 0 3201
462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4) 2017-05-06 0 2754
461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3) 2017-05-05 0 2176
460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2) 2017-05-05 0 2783
459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1) 2017-05-05 0 2629
458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0) 2017-05-05 0 2587
457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9) 2017-05-05 0 2737
456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8) 2017-05-05 0 2525
455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7) 2017-05-05 0 2522
454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6) 2017-05-05 0 2509
453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5) 2017-05-05 0 2670
452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4) 2017-05-05 0 3488
451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3) 2017-05-05 0 2653
‹처음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