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년 01월 24일 22시 50분  조회:5702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미지 내용윤동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동주(尹東柱, 일본식 이름: 平沼東柱 히라누마 도슈[*] 1917년 12월 30일 ~ 1945년 2월 16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시인, 작가이다. 아명은 윤해환(尹海煥),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화민국 지린 성 연변 용정에서 출생하여 명동학교에서 수학하였고,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숭실중학교 때 처음 시작을 발표하였고,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일본 유학 후 도시샤 대학 재학 중, 1943년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福岡刑務所)에 투옥, 100여 편의 시를 남기고 29세의 나이에 옥중에서 요절하였다. 사인은 일본의 소금물 생체실험으로 인한 사망인 것으로 사료된다는 견해가 있고 또한 그의 사후 일본군에 의한 마루타, 생체실험설이 제기되었으나 불확실하다. 사후에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출간되었다.

일제 강점기 후반의 양심적 지식인의 한사람으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시는 일제와 조선총독부에 대한 비판과 자아성찰 등을 소재로 하였다. 그의 친구이자 사촌인 송몽규 역시 독립운동에 가담하려다가 체포되어 일제의 생체 실험 대상자로 분류되어 의문의 죽음을 맞는다. 1990년대 후반 이후 그의 창씨개명 '히라누마'가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송몽규는 고종 사촌이었고, 가수 윤형주는 6촌 재종형제간이기도 하다.

목차

   [숨기기] 
  • 1 생애
    • 1.1 생애 초반
    • 1.2 소년 시절
      • 1.2.1 중학 시절
      • 1.2.2 연희전문 시절
    • 1.3 일본 유학
      • 1.3.1 창씨개명
      • 1.3.2 일본 유학생활과 체포
    • 1.4 투옥과 최후
    • 1.5 사후
  • 2 작품
  • 3 경향 및 평가
  • 4 학력
  • 5 상훈 경력
  • 6 기념관과 기념물
    • 6.1 기념관
    • 6.2 기념물
  • 7 가족 관계
  • 8 기타
  • 9 대중 문화에 나타난 윤동주
    • 9.1 방송
  • 10 같이 보기
  • 11 주석
  • 12 참고 자료
  • 13 바깥 고리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당시 북간도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明東村, 지금의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용정시 지신진)에서 아버지 윤영석과 어머니 김용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 본관은 파평으로 간도 이주민 3세였다.

19세기 말,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에 기근이 심해지자 조선 사람들은 국경을 넘어 간도와 연해주 등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윤동주의 증조부인 윤재옥도 집안을 이끌고 1886년경 함경도에서 만주로 이주하였다.[2] 윤동주의 증조부인 윤재옥은 함경북도 종서군 동풍면 상장포에 살다가 1886년 북간도 자동으로 이주하였으며 할아버지 윤하현은 명동촌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3] 아버지 윤영석은 1910년 독립지사인 김약연의 누이동생 김용과 결혼하여 명동촌에 정착하게 된다.

 
윤동주의 연희전문학교 시절 기숙사인 핀슨홀
 
친구들과 함께 
가운데는 문익환, 오른쪽은 윤동주

그는 어려서부터 기독교인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고모 윤씨는 송신영에게 시집갔는데, 고모의 아들이 독립운동가이자 그의 친구였던 송몽규였다. 당숙은 윤영춘으로 후일 가수가 되는 윤형주는 그의 6촌 재종이었다.

소년 시절[편집]

1925년 명동소학교(明東小學校)에 입학하여 재학 시절 고종사촌인 송몽규 등과 함께 문예지 <새 명동>을 발간하였다.[4]

중학 시절[편집]

1931년 14세에 명동소학교(明東小學校)를 졸업하고, 중국인 관립학교인 대랍자학교(大拉子學校)에 다니다 가족이 용정으로 이사하여, 용정 은진중학교(恩眞中學校)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1935년 소학교 동창인 문익환이 다니고 있는 평양의 숭실중학교로 전학하였다. 그해 10월, 숭실중학교 학생회가 간행한 학우지 숭실활천(崇實活泉) 제15호에 시 공상(空想)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신사참배 거부로 숭실중학교가 폐교되어, 문익환과 함께 용정에 있는 광명중학교로 편입하였다. 광명중에서 그는 정일권 등을 만나게 된다.

연희전문 시절[편집]

1937년 광명중학교 졸업반일 무렵, 상급학교 진학문제를 놓고 부친(의학과 진학 희망)과 갈등하나, 조부의 개입으로 연전 문과 진학을 결정한다. 1938년 2월 17일 광명중학교를 졸업한 후 경성(京城)으로 유학, 그해 4월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하숙생활을 하며 그는 저녁밤 하숙집 근처를 산책하며 시상을 떠올리고 시를 짓거나 담론을 하였다.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기숙사를 나와 북아현동, 서소문 등지에서 하숙생활을 했다. 이때 그는 친구 라사행과 함께 정지용 등을 방문, 시에 관한 토론을 하며 의견을 주고받았다. 그 해 《소년(少年)》지에 시를 발표하며 처음으로 원고료를 받기도 했다.

1941년 12월 27일에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이 때에 틈틈이 썼던 시들 중 19편을 골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내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일본 유학[편집]

1942년 3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교대학(立敎) 문학부 영문과에 입학하였다가 10월 교토 도시샤대학(同志社) 영문학과에 편입하였다.[4] 도시샤대학은 윤동주가 가장 좋아하는 시인 정지용이 다닌 학교로 일본 조합교회에서 경영하는 기독교계 학교였다.[5]

창씨개명[편집]

 
서시 육필 원고 (1942년)
 
윤동주의 원고 원본

윤동주 집안은 1941년 말 '히라누마'(平沼)로 창씨한 것으로 돼 있다.[6] 일본 유학에 뜻을 둔 윤동주의 도일을 위해선 성씨를 히라누마로 창씨를 개명하게 되었다.

윤동주의 창씨개명은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 없는 것이었다. 그의 연보에 의하면 윤동주가 전시의 학제 단축으로 3개월 앞당겨 연희전문학교 4학년을 졸업하면서1941년 연말에 "고향 집에서 일제의 탄압과 동주의 도일 수속을 위해 성씨를 '히라누마'로 창씨했다[7][8] 는 것이다. 개명 후 윤동주는 매우 괴로워했다 한다.

창씨개명계를 내기 닷새 전에 그는 창씨개명에 따른 고통과 참담한 비애를 그린 시참회록을 썼다.[9]

윤동주의 창씨개명설은 해방 이후에는 알려지지 않았다가 1990년대에 와서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 유학생활과 체포[편집]

 
친구이자 고종사촌인 송몽규 등과 함께 
(앞줄 가운데가 송몽규, 뒷줄 오른쪽 맨 끝이 윤동주

1942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 대학(立教大学)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6개월 후에 중퇴하여 교토 시 도시샤 대학 문학부로 전학하였다. 그러나 그는 불령선인으로 지목되어 일본경찰의 감시를 당하고 있었다.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 경내에 있는 윤동주 시비

1943년 7월 14일, 귀향길에 오르기 전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교토의 카모가와 경찰서에 구금되었다. 이듬해 교토 지방 재판소에서 2년형을 언도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1944년 3월 31일 교토지방재판소 제1 형사부 이시이 히라오 재판장 명의로 된 판결문은 징역 2년형을 선고하면서 “윤동주는 어릴 적부터 민족학교 교육을 받고 사상적 문화적으로 심독했으며 친구 감화 등에 의해 대단한 민족의식을 갖고 내선(일본과 조선)의 차별 문제에 대하여 깊은 원망의 뜻을 품고 있었고, 조선 독립의 야망을 실현시키려 하는 망동을 했다.”라고 적혀 있다.[10] 교토지방 재판소에서 송몽규와 함께 치안유지법 제5조 위반죄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뒤 후쿠오카 형무소로 이송되었다.

투옥과 최후[편집]

1945년 2월 16일 오전 3시 36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시신은 가족들에게 인도되어 그 해 3월 장례식을 치룬 후간도 용정에 유해가 묻혔다. 향년 29세

그가 죽고 10일 뒤 '2월 16일 동주 사망, 시체 가지러오라' 는 전보가 고향집에 배달되었다. 부친 윤영석과 당숙 윤영춘이 시신을 인수, 수습하러 일본으로 건너간 후, 그런데 뒤늦게 '동주 위독하니 보석할 수 있음. 만일 사망시에는 시체를 가져가거나 아니면 큐슈제대(九州帝大) 의학부에 해부용으로 제공할 것임. 속답 바람' 이라는 우편 통지서가 고향집에 배달되었다. 후일 윤동주의 동생 윤일주는 이를 두고 "사망 전보보다 10일이나 늦게 온 이것을 본 집안 사람들의 원통함은 이를 갈고도 남음이 있었다."고 회고하였다.

옥중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주사를 맞았다는 주장 등 그의 죽음은 일제 말기에 있었던 생체실험에 의한 것이라는 의문이 수차례 제기되었다.[11]

사후[편집]

1947년 2월 정지용의 소개로 경향신문에 유작이 처음 소개되고 함께 추도회가 거행된다.

1948년 1월, 윤동주의 유작 31편과 정지용의 서문으로 이루어진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정음사에서 간행하였다. 이후 1962년 3월부터 독립유공자를 대량으로 발굴 포상할 때, 그에게도 건국공로훈장 서훈이 신청되었으나 유족들이 사양하였다. 1990년 8월 15일에야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85년에는 그의 시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윤동주문학상이 한국문인협회에의해 제정되었다.

작품[편집]

윤동주의 시집은 사후에 출간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새 명동》
  • 《서시(序詩)》
  • 《또 다른 고향》
  • 《별 헤는 밤》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그의 대부분의 작품은 이 유고시집에 실려 있다. 1948년의 초간본은 31편이 수록되었으나,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던 시를 추가하여1976년 3판에서는 모두 116편이 실리게 되었다.
  •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
  • 《별을 사랑하는 아이들아》

경향 및 평가[편집]

민족적 저항시인, 강인한 의지와 부드러운 서정을 지닌 시인으로 평가되며,[12][13] 1986년에는 20대 젊은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으로 선정되었다.[14] 북한에서는 ‘일제말기 독립의식을 고취한 애국적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15]

그의 시는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내용을 서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인간과 우주에 대한 깊은 사색,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진실한 자기성찰의 의식이 담겨 있다고 평가된다.[1]

학력[편집]


  • 만주 북간도 밍둥 소학교(명동소학교) 졸업
  • 만주 지린 다라쯔 학교(대랍자학교) 수료
  • 만주 북간도 언전 중학교(은진중학교) 수료
  • 평안남도 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수료
  • 만주 지린 광밍 중학교(광명중학교) 졸업
  • 경성 연희전문학교 졸업
  • 일본 릿쿄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 일본 도시샤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제적

상훈 경력[편집]


  • 서울 숭실고등학교 명예 졸업장 추서
  • 1990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독립장
  • 국민훈장
  • 1999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20세기를 빛낸 한국의 예술인

기념관과 기념물[편집]

기념관[편집]

연세대학교
 
핀슨홀과 윤동주

  • 연세대는 2013년 2월 6일, 캠퍼스 내의 핀슨홀을 윤동주 기념관으로 개편할 것을 발표하였다.[16]
종로구

  • 종로구는 2012년 7월 25일, 청운동 윤동주 시인의 언덕에 윤동주 문학관의 개관식을 연다고 발표하였다.[17]
연변

  • 연길의 용정 중학교에 윤동주 기념관이 있다.[18]

기념물[편집]


  • 1968년 11월 2일 연세대학교 등이 모금한 성금으로 연세대에 유작 〈서시〉가 새겨진 ‘윤동주 시비(詩碑)’가 건립되었다.
  • 1985년부터 《월간문학지》에서 그를 기념한 「윤동주문학상」 수상자를 매년 선정, 수상하였다.
  • 1990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그의 공훈을 기리어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19]
  • 1992년 9월, 모교인 용정 중학교에 〈서시(序詩)〉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었다.[20]
  • 1995년 일본 도시샤 대학에 친필 〈서시〉와 일본어 번역본이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었다.[21] 2005년에는 윤동주가 가장 좋아했던 시인 정지용의 시비가 그 옆에 건립되었다.[22] 또한 교토 대학 부근 그가 머물던 곳에 기념비를 세우려는 움직임이 있다.
  • 1999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에서 20세기를 빛낸 한국의 예술인으로 선정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 증조부 : 윤재옥(尹在玉, 1844 ~ 1906)
  • 조부 : 윤하현(尹夏鉉, 1875 음력2.1 ~ 1948 9.4)
  • 조모 : 강씨부인

    • 고모 : 윤신영(尹信永)
    • 고모부 : 송창희

      • 고종사촌 : 독립운동가 송몽규 宋夢奎, 1917.9.28 ~ 1945.3.7)

        • 내종조카 (송몽규의 조카) : 소설가 송우혜(宋友惠, 1947.12.5 ~ )
  • 부 : 윤영석(尹永錫, 1895 8.1 ~ 1965 4.20)
  • 모 : 김용(金龍, 1891 10.1 ~ 1948 9.26)

    • 누이 : (요절)
    • 누이 : 윤혜원(尹惠媛, 1924 ~ 2011.12.11)
    • 매제 : 오형범(1924 ~ 2015 3.11)

      • 조카 : 오철주
    • 남동생 : 윤일주(尹一柱, 아명 윤달환, 1927 11.23 ~ 1985 11.28 前 성균관대 건축공학과 교수)
    • 제수 : 정덕희

      • 조카 : 윤인석(尹仁石, 1956 ~ 現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
    • 남동생 : 윤범환 (요절)
    • 남동생 : 윤광주 (尹光柱, 아명 윤성주, 1933.5.15 ~ 1962 11.30 시인)
  • 외삼촌 : 독립운동가 김약연(金躍淵, 1868 9.12 ~ 1942 10.29)
  • 당숙 : 윤영춘(尹永春, 1912 12.12 ~ 1978 4.29)

    • 재종형제(윤영춘의 아들) : 가수 윤형주(尹亨柱, 1947 11.19 ~ )
  • 사돈 : 정병욱(鄭炳昱, 1922 4.21 ~ 1982 국문학자)

기타[편집]

윤동주의 창씨개명은 1990년대 이후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의 창씨개명설을 지적받게 되자 윤동주를 연구하던 한 교수는 이를 언급하기를 꽤 난처해했다 한다.[6] 윤동주의 창씨개명설은 2005년 이후에 공식적으로 언급 인정되었다.

\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시인 윤동주, 그의 생애는 짧았지만 음울하고 가혹한 시대 상황 속에서 반드시 여명은 오리라 믿고 써내려간 주옥같은 시어들은 오늘날까지 해맑은 영혼의 징표로 남아 있다.

최근 학계 일각에서는 윤동주를 ‘일제 말기 독립의식을 고취한 애국적 시인’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생전에 그는 유명 시인도 아니었고 독립투쟁의 목소리를 높이던 열혈청년도 아니었다. 하지만 그가 남긴 100여 편의 시는 진실한 자기성찰을 바탕으로 순수하고 참다운 인간의 본성을 되새기게 함으로써 후인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있다.

윤동주
윤동주

시인을 꿈꾸던 시절

윤동주와 친구들
윤동주와 친구들

뒷줄 왼쪽 장준하, 가운데 문익환, 오른쪽 윤동주, 앞줄 가운데 정일권

윤동주(尹東柱)는 1917년 12월 30일 만주국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명동학교 교원이었던 아버지 윤영석과 어머니 김용의 3남 1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파평(坡平), 아명은 해환(海煥)이다. 그가 태어나기 석 달 전이었던 9월 28일, 친정에서 살던 고모 윤신영이 아들 송몽규를 낳았다. 고종사촌 관계인 윤동주와 송몽규는 그렇듯 한집에서 태어나 후일 죽음에 이르기까지 평생의 동반자가 되었다.

윤동주는 간도 이주민 3세였다. 19세기 말 청나라의 봉금정책이 풀리고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에 기근이 심해지자 기아에 시달리던 한국인들은 너도 나도 간도와 연해주 등지로 터전을 옮겼다. 1886년 함경북도 종성에 살던 윤동주의 증조부 윤재옥도 간도의 자동으로 이사했고, 1900년에는 기독교 장로였던 할아버지 윤하현에 의해 명동촌으로 재차 이사했다.

1906년 10월 애국지사 이상설과 이동녕이 용정에 서전서숙(瑞甸書塾)을 세웠다. 북간도 최초의 근대식 민족교육기관이었다. 그런데 이듬해 4월 이상설이 용정을 떠나며 학교가 문을 닫게 되자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였던 윤동주의 외삼촌 김약연이 명동에 명동서숙을 세운 다음 수많은 애국지사를 길러냈다. 명동서숙은 1908년 4월 명동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윤동주는 1925년 4월 4일 송몽규와 함께 명동소학교에 입학했다. 이때 친구 문익환 목사와 당숙 윤영선, 외사촌 김정우 등도 같은 학교를 다녔다. 비교적 가정이 유복했던 그는 소학교 4학년 때부터 경성에서 간행하던 《어린이》, 《아이생활》을 구독하면서 문학의 꿈을 키웠고, 5학년 때 급우들과 함께 《새명동》이란 등사잡지를 만드는 등 활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소년기의 윤동주는 내성적이면서도 의연했고 씩씩했다. 재봉틀로 해진 교복을 직접 고쳐 입었고 항상 책 속에 파묻혀 살면서 창작에 몰두했다. 1931년 명동소학교를 졸업한 윤동주는 송몽규, 김정우와 함께 인근 대랍자(大拉子)에 있는 중국인소학교 6학년에 편입하여 1년 동안 공부했다. 그의 시 〈별 헤는 밤〉에 나오는 패(佩), 옥(玉), 경(鏡)과 같은 이름을 가진 소녀들을 만났을 것으로 추측되는 시기다.

이듬해인 1932년에 그는 송몽규, 문익환과 함께 명동 북쪽의 소도시 용정(龍井)에 있는 기독교계 학교인 은진중학교에 입학했다. 이때 그의 집도 용정으로 이사했다. 은진중학교 재학 시절 윤동주는 급우들과 함께 문예지를 만들고 축구선수로 활약했으며, 교내웅변대회에서 ‘땀 한 방울’이라는 화제로 참가하여 1등을 하는 등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였다.

동주와 몽규, 같고도 다른 길

윤동주와 친구들
윤동주와 친구들

앞줄 중앙 송몽규, 뒷줄 오른쪽 윤동주

은진중학교에 다니던 윤동주는 1934년 〈삶과 죽음〉, 〈초한대〉, 〈내일은 없다〉 등 3편의 작품을 쓰면서 시인의 꿈을 꾸었다. 그런데 1935년 1월 1일 송몽규가 송한범이란 아명으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응모한 꽁트 〈술가락〉이 당선되었다.

송몽규는 그렇듯 한발 앞서 문단에 데뷔했지만 문학에 연연하지 않았다. 은진중학교에 재직하고 있던 애국지사 명희조 선생의 영향을 받아 식민지 조국의 현실에 비분강개하던 그는 3학년을 마치자마자 중국 남경으로 가서 백범 김구가 운영하던 낙양군관학교 2기생으로 입교했던 것이다.

윤동주는 그해 9월 1일 은진중학교 4학년 1학기를 마치자마자 평양에 있는 숭실중학교 3학년 2학기에 편입했다. 친구 문익환은 이미 한 학기 전에 숭실중학교 4학년으로 전학한 상태였다.

그때부터 윤동주는 숭실중학교의 민족적이고 종교적인 분위기 속에서 열심히 공부하면서 문학에 대한 꿈을 이어나갔다. 그해 10월에는 숭실중학교 YMCA 문예부에서 발간하던 《숭실활천》 제15호에 시 〈공상〉을 게재했다. 그의 시가 처음으로 활자화된 것이었다.

20세 때인 1936년 3월 숭실중학교는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면서 폐교되고 말았다. 하는 수 없이 용정으로 돌아온 윤동주는 5년제인 광명학원 중학부 4학년에 편입했다. 이때 문익환과 장준하가 같은 학교 5학년에 편입했다. 훗날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를 지낸 정일권도 이 학교에서 만났다.

한편 남경의 낙양군관학교에서 군사훈련을 받던 송몽규가 중국 정부의 지원이 끊어지면서 제남으로 활동무대를 옮겼다가 4월경 일경에 체포되어 본적지인 함북 웅기경찰서로 끌려왔다. 그때부터 2개월 동안 경찰에게 취조를 받은 송몽규는 8월 청진 검사국으로 이송되었다가 거주제한 조건으로 석방되었다. 하지만 그는 과감하게 용정으로 돌아와 외가인 윤동주의 집에 머물면서 대성중학교 4학년에 편입했다.

관념의 세계에서 순수의 세계로

그 무렵 윤동주의 시 세계는 크게 변화하고 있었다. 화려하고 조숙한 낱말을 이용하여 관념적으로 그려내던 그의 시가 누가 읽어도 공감할 수 있는 소박하고 순수한 표현으로 완전히 바뀌었다. 그것은 용정의 외가에 온 동요시인 강소천을 만난 습작에 대한 조언과 함께 1935년 시문학사에서 발간된 《정지용 시집》을 탐독한 영향이 컸다.

1936년 11월부터 윤동주는 연길에서 발행되던 어린이 잡지 《카톨릭소년》에 동시 〈병아리〉, 〈빗자루〉를 발표했고, 1937년에도 〈오줌싸개지도〉, 〈무얼 먹고 사나〉, 〈거짓부리〉 등을 실었다. 이때 그는 ‘동주(童柱)’와 ‘동주(童舟)’란 두 가지 필명을 사용했다. 9월에는 수학여행으로 금강산과 원산 송도원해수욕장을 다녀온 뒤 〈바다〉, 〈비로봉〉 두 편의 시를 썼다.

광명중학교 5학년 2학기가 되면서 온순하고 다정다감했던 윤동주가 대학 진학 문제로 아버지와 심한 불화를 겪었다. 그는 문과대학에 가고 싶었는데 아버지는 의대를 강권하면서 벌어진 사달이었다. 몇 달 동안 두 사람은 단식투쟁에 밥상을 엎는 등 격렬한 상황을 빚어냈다. 다행히 할아버지 윤하현이 개입하면서 결과는 윤동주의 바람대로 되었다. 그 무렵 송몽규도 문과대학을 지망했는데, 그의 아버지 송창의는 아이들을 부모 욕심대로 키우면 안 된다면서 선선히 동의해 주었다.

그런 우여곡절을 거쳐 윤동주와 송몽규는 1938년 초봄에 나란히 서울에 가서 연희전문 문과 입학시험에 응시해 합격했다. 북간도 전체에서 연전 문과 입학생은 그들 두 사람뿐이었다. 입학과 동시에 기숙사에 들어간 그는 송몽규, 강처중과 함께 한방을 썼다. 원산 출신의 수재였던 강처중은 영어에 능통해서 문과 동기생들 가운데 1,2등을 다투어 영어도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매사에 적극적이었던 강처중과 윤동주의 끈끈한 우정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일제 치하였지만 연전은 기독교계 학교였으므로 두 사람은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학문에 몰두할 수 있었다. 연전 재학 시절 윤동주는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교수직을 박탈당하고 도서관 촉탁으로 일하고 있던 외솔 최현배 선생으로부터 조선어를 배웠고, 영문과 이양하 교수에게 영시를 배웠다. 여름방학 때면 고향 용정의 북부감리교회 하계 아동성경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

문학에 대한 열정도 한결같았다. 23세 때인 1939년 그는 조선일보 학생란에 산문 〈달을 쏘다〉, 시 〈유언〉, 〈아우의 인상화〉 등을 기고했고, 《소년》 지에 동시 〈산울림〉을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소년》 편집인 윤석중을 만나 생전 처음 원고료도 받았다.

슬퍼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윤동주가 24세 때인 1940년 4월 광명학교 중학부 후배인 장덕순이 연전 문과에 입학했고, 경남 하동 출신의 정병욱까지 가세하여 교분을 맺었다. 윤동주는 정병욱의 2년 선배였고 나이도 다섯 살이나 많았지만 매우 친하게 지냈다. 정병욱은 훗날 윤동주의 필사본 《바람과 구름과 별과 시》를 보관했다가 유족들에게 전했고, 서울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그의 시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리도록 노력하는 등 윤동주를 알리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 인물이다.

1941년 4학년 때 윤동주는 장덕순과 함께 신촌에서 하숙하다가 기숙사에 복귀한 뒤 다시 정병욱과 함께 누상동 마루터기 하숙집, 누상동 9번지 소설가 김송의 집, 북아현동의 전문 하숙집 등지를 전전했다. 그 무렵 친구 라사행과 함께 인근에 살고 있던 시인 정지용을 찾아가 시에 관한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12월 8일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태평양 전쟁이 일어났다. 그 때문에 전시학제 단축으로 3개월 앞당겨 12월 27일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윤동주는 그 동안 쓴 19편의 시를 모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란 표제로 77부 한정판으로 출간하려 했다. 한데 이양하 교수가 〈슬픈 족속〉, 〈십자가〉 등의 작품이 시국이 하수상한 이때에 일제의 검열을 통과하기 힘들 테니 출간을 보류하라고 충고했다. 그러자 윤동주는 아쉽지만 출간을 포기하고 3권을 필사하여 이양하 교수와 정병욱에게 각각 1부씩 증정했다.

이윽고 전쟁물자 동원령이 내려지고 수많은 사람들이 포연이 자욱한 전장으로 끌려갔다. 그 때문에 윤동주는 불확실한 미래를 바라보며 고뇌해야 했다. 그런 상황에서 집안 어른들은 그의 일본유학을 결정하고 성씨를 히라누마(平沼)로 바꾸었다. 송몽규의 집안 역시 소오우라(宋村)로 바꾸었다. 그리하여 윤동주는 히라누마 도오쥬우(平沼東柱), 송몽규는 소오무라 무게이(宋村夢奎)가 되었다.

등불을 밝혀 어둠을 내몰리라

도쿄 릿쿄대에 전시된 윤동주 '서시'
도쿄 릿쿄대에 전시된 윤동주 '서시'

1942년 4월 2일 윤동주는 도쿄에 있는 릿교(立敎)대학 문학부 영문과에 입학했다. 함께 현해탄을 건너온 송몽규는 4월 1일 교토제국대학 서양사학과에 입학했다. 애초에 윤동주도 교토대학을 지망했지만 송몽규만 합격했던 것이다. 두 사람은 잠시 도쿄의 한인YMCA 숙소에 머물다 헤어졌다.

1942년 1월 19일, 윤동주는 유학 수속을 위해 연희전문학교에 창씨계(創氏屆)를 제출했다. 그 때의 굴욕감은 나흘 뒤인 1월 24일에 쓴 〈참회록〉으로 씌어진다. 그가 이 땅에서 쓴 마지막 작품이었다. 윤동주의 창씨개명 사실은 1990년대에 들어와서야 밝혀졌다.

그때부터 윤동주는 다카다노바바역 근처에서 동문인 백인준과 함께 하숙 생활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서울에 있던 친구 강처중에게 보낸 편지 속에 〈쉽게 씌어진 시〉 등 5편의 작품이 담겨있다.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라고 하면서도 그는 시인으로서의 사명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었기에 결코 절망하지 않고 펜을 들었던 것이다.

비 내리는 도쿄의 밤에 다다미가 깔린 하숙방에서 홀로 고향을 그리워하며 ‘육첩방은 남의 나라’라고 자괴하던 그의 소망은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것이었다.

그해 7월 방학을 맞아 용정으로 돌아온 윤동주는 일제의 발악을 예상했던 듯 동생들에게 우리 말 인쇄물이 앞으로 사라질 테니 무엇이라도 사모으라고 당부했다. 불과 보름 남짓 고향에서 시간을 보내고 일본으로 돌아간 그는 10월 1일 사립 기독교계 학교인 교토의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학과로 전학했다. 교토제국대학에 다니던 송몽규와 재회할 수 있었다.

당시 두 사람은 도보로 5분 거리의 하숙집에 살았다. 그것은 일면 윤동주가 낙양군관학교 입학 이래 요시찰인물이었던 송몽규의 우산 속으로 걸어 들어간 셈이었다. 그때부터 윤동주 역시 일경의 감시망에 포함되었던 것이다.

치안유지법의 제물이 되다

도시샤대학은 그가 가장 좋아하던 시인 정지용이 저명한 민예운동가이자 윌리엄 블레이크의 연구자였던 야나기 무네요시로부터 영문학을 배운 학교다. 야나기 교수는 조선의 전통공예를 일본에 소개하는 한편 조선 지배를 강화하는 일본을 통렬히 비판하고, 조선인들에 대한 깊은 애정을 표했던 인물이다. 정지용은 이 학교 재학 중 〈압천〉, 〈향수〉, 〈카페 프란스〉 등 빼어난 시 20여 편을 썼다. 이런 연관 관계가 천상 시인일 수밖에 없었던 윤동주의 대학 선택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1943년 3월 1일, 일제가 징병제를 공포하고 학병제를 실시하면서 윤동주와 송몽규는 위기의식에 사로잡혔었다. 전황은 악화일로인 가운데 치안유지법에 의거한 일제의 탄압은 갈수록 심해졌다. 1941년 5월 15일 실시된 개정 치안유지법은 한층 엄격해지면서 ‘준비행위’를 했다고 판단되면 검거가 가능했다. 사실상 누구라도 범죄자로 만들 수 있는 악법이었다.

과연 여름방학 중이었던 그해 7월 10일 송몽규가 함께 하숙하던 제3고등학교 3학년생 고희욱과 함께 경찰에 체포되어 시모가모(下鴨)경찰서에 구금되었다. 이어서 7월 14일 귀향을 준비하던 윤동주 역시 같은 혐의로 하숙집에서 체포되어 시모가모경찰서로 이송되었다.

이듬해인 1944년 1월 19일 고희욱은 기소유예의 처분을 받고 풀려났지만 2월 22일 윤동주와 송몽규는 정식으로 기소되었다. 3월 31일 교토지방재판소 제1형사부 이시이 히라오 재판장은 판결문에서 개정치안유지법 제5조 위반(독립운동)의 혐의로 윤동주에게 징역 2년을 언도하면서 이렇게 썼다.

‘윤동주는 어릴 적부터 민족학교 교육을 받고 사상적 문화적으로 심독했으며 친구의 감화 등에 의해 대단한 민족의식을 갖고 내선(일본과 조선)의 차별 문제에 대하여 깊은 원망의 뜻을 품고 있었고, 조선 독립의 야망을 실현시키려 하는 망동을 했다.’

송몽규 역시 같은 혐의로 4월 13일 2년형을 받았다. 그렇게 해서 두 사람은 나란히 규슈 동쪽에 있던 후쿠오카형무소에 투옥되었다.

죽음의 길, 새로운 길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던 1945년 2월, 그의 고향집에 갑자기 ‘16일 동주 사망, 시체 가지러 오라.’란 전보가 배달되어 가족들을 경악하게 했다. 아버지와 당숙 윤영춘이 일본으로 건너가고 있는 사이에 ‘동주, 위독하니 보석할 수 있음. 만일 사망 시에는 시체를 가져가거나 아니면 규슈제국대학 의학부에 해부용으로 제공할 것임. 속답 바람.’이라는 요지의 우편통지서가 고향에 배달되었다. 그처럼 사망 전보보다 10일이나 늦게 위독 소식이 날아왔다는 것은 참으로 기막힌 상황이었다.

그 사실도 모른 채 후쿠오카형무소에 다다른 아버지와 당숙은 우선 살아있는 송몽규를 면회했다. 그런데 초췌한 몰골의 송몽규는 매일 이름 모를 주사를 맞고 있다고 말했다. 이 증언 때문에 두 사람이 일제로부터 생체실험을 당했다는 추측을 낳았다.

후쿠오카형무소 측은 가족들에게 윤동주의 운명시각이 오전 3시 36분임을 통보했다. 그때 일본인 간수가 “동주 선생은 무슨 뜻인지 모르나 큰 소리를 외치고 운명했습니다.”라고 전해주었다. 윤동주의 시신은 규슈제국대학 의학부에서 방부제 처리를 해두었으므로 생시와 똑같았다.

윤동주의 장례식은 3월 6일 용정중앙감리교회 문재린 목사의 집례로 치러졌고, 《문우》에 발표했던 그의 시 〈자화상〉과 〈새로운 길〉이 낭송되었다. 그로부터 하루 뒤인 3월 7일 형무소에 남아있던 송몽규가 옥중에서 사망했다. 그렇게 두 사람은 이승과 저승의 동반자가 되었다. 그해 단오 무렵 가족들은 묘소에 ‘시인윤동주지묘(詩人尹東柱之墓)’라고 새긴 비석을 세워 그를 기렸고, 반 년 뒤 일제는 패망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본
윤동주의 육필원고
윤동주의 육필원고

윤동주 사후 2년이 지난 1947년, 2월 13일자 경향신문에 정지용의 소개문과 함께 〈쉽게 씌어진 시〉가 발표되었다. 경향신문 기자로 재직하고 있던 친구 강처중의 노력 덕택이었다. 그는 이듬해인 1948년 1월 30일, 정병욱이 보관하고 있던 자선시집 19편과 자신이 보관하고 있던 윤동주의 유품 속에 있던 12편을 합친 31편을 모아 초간본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정음사에서 출간했다. 이 뜻 깊은 시집의 서문에서 정지용은 이렇게 썼다.

‘무시무시한 고독에서 죽었고나! 29세가 되도록 시도 발표하여 본적이 없이! 일제 시대에 날뛰던 부일문사(附日文士) 놈들의 글이 다시 보아 침을 배알을 것뿐이나, 무명 윤동주가 부끄럽지 않고 아름답기 한이 없는 시를 남기지 않았나? 시와 시인은 원래 이러한 것이다.’

강처중은 발문에서 또 이렇게 썼다.

“이런 동주도 친구들에게 굳이 거부하는 일이 두 가지 있었다. 하나는 ‘동주, 자네 시 여기를 좀 고치면 어떤가.’ 하는 데 대하여 그는 응하여 주는 때가 없었다. 조용히 열흘이고 한 달이고 두 달이고 곰곰이 생각하여서 한 편 시를 탄생시킨다. 그때까지는 누구에게도 그 시를 보이지를 않는다. 이미 보여주는 때는 흠이 없는 하나의 옥이다. 지나치게 그는 겸허, 온순하였건만, 자기의 시만은 양보하지를 않았다.”

그해 12월 용정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던 누이 윤혜원이 윤동주의 중학 시절의 육필원고와 스크랩, 사진 등을 들고 남편 오형범과 함께 서울로 이주했다. 그 결과 1955년 2월, 윤동주 사망 10주기 기념으로 유고를 보완, 88편의 시와 5편의 산문을 묶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로 정음사에서 다시 간행되었고, 이후에도 수차례 개정증보를 거듭했다.

1977년 10월, 일제 내무성 경보국 보안과에서 발행한 극비문서 〈특고월보(特高月報)〉 1943년 12월분에 실린 윤동주, 송몽규의 심문 기록 〈재경 조선인 학생민족주의 그룹사건 책동 개요〉가 입수되면서 알려지지 않았던 두 사람의 투옥 혐의가 밝혀졌다. 또 2년 뒤인 1979년 1월에는 일제 사법성 형사국 발행의 극비문서인 〈사상월보(思想月報)〉 제109호 1944년 4~6월분에 실린 송몽규에 대한 판결문과 관련자 처분결과 일람표를 통해 윤동주와 송몽규의 형량이 알려졌고, 두 사람의 혐의가 ‘독립운동’이었음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1982년 8월에는 교토지방재판소의 판결문 사본이 입수되면서 두 사람의 옥사에 관련된 전모가 완전히 밝혀졌다. 그에 따라 1990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는 윤동주에게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2004년 송몽규의 조카인 작가 송우혜가 시인의 생애와 작품을 온전하게 복원하고 의미를 새긴 《윤동주 평전》(푸른역사)을 출간했다.
===========================================
 

 
출생일 1917. 12. 30, 북간도 명동촌
사망일 1945. 2. 16, 일본 후쿠오카[福岡]
국적 한국

요약 일제 말기, 암울한 민족의 현실을 극복하려는 자아성찰의 시세계를 보여주었다. 1925년 명동소학교에 입학해 1931년에 졸업했다. 가족 모두 용정으로 이사하자 용정 은진중학교에 입학했다. 1935년 평양의 숭실중학교에 편입했으나 신사참배 거부로 학교가 폐교 당하자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학교 4학년에 편입했다. 1938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 1941년 졸업할 때 19편의 자작시를 모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출판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1942년 도쿄에 있는 릿쿄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가 1학기를 마치고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 영문과에 편입했다. 1943년 7월 독립운동 혐의로 송몽규와 함께 일본경찰에 검거되어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945년 2월 16일 옥사했다.

 

일제 말기를 대표하는 시인이며, 암울한 민족의 현실을 극복하려는 자아성찰의 시세계를 보여주었다. 아명은 해환(海煥).

교회 장로이면서 소학교 교사인 아버지 영석(永錫)과 어머니 김룡(金龍) 사이의 7남매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1925년 명동소학교에 입학해 1931년 졸업했으며, 중국의 관립소학교를 거쳐 이듬해 가족이 모두 용정(龍井)으로 이사하자 용정 은진중학교에 입학했는데, 이때 송몽규·문익환도 이 학교에 입학했다. 1935년 평양에 있는 숭실중학교에 편입하고 교내 문예부에서 펴내는 잡지에 시 〈공상〉을 발표했다. 〈공상〉은 그의 작품 가운데 처음으로 활자화된 것이다. 1936년 숭실중학교가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당하자 용정으로 돌아가 광명학원 4학년에 편입했으며, 옌지[延吉]에서 발행하던 〈가톨릭 소년〉에 윤동주(尹童柱)라는 필명으로 동시를 발표했다. 1938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한 뒤 2년 후배인 정병욱(鄭炳昱)과 남다른 친교를 맺었다. 1941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할 때, 졸업기념으로 19편의 자작시를 모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출판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자필시집 3부를 만들어 은사 이양하와 후배 정병욱에게 1부씩 주고 자신이 1부를 가졌다. 1942년 도쿄[東京]에 있는 릿쿄대학[立敎大學] 영문과에 입학했다가 1학기를 마치고 교토[京都]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편입했다. 그러나 1943년 7월 독립운동 혐의로 일본경찰에 송몽규와 함께 검거되어 각각 2, 3년 형을 선고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윤동주는 1945년 2월 16일, 송몽규는 3월 10일에 29세의 젊은 나이로 옥사했다. 유해는 용정의 동산교회 묘지에 묻혀 있고, 1968년에 모교인 연세대학교 교정에 시비가 세워졌다. 1985년 월간문학사에서 윤동주문학상을 제정해 시상하고 있다.

문학세계

중학시절 동시 〈병아리〉·〈빗자루〉·〈오줌싸개 지도〉·〈무얼 먹구 사나〉 등을 발표했고, 연희전문학교 시절 〈조선일보〉에 산문 〈달을 쏘다〉와 교지 〈문우〉에 시 〈자화상〉·〈새로운 길〉 등을 발표했다.

그의 시는 대부분 현실세계의 모순과 그 모순을 초월하려는 의식을 내포하고 있지만, 초기의 시 몇 편은 예외적이다. 초기에는 평화롭고 훼손되지 않은 자연을 주로 읊었는데, 행복한 유년시절을 노래한 동시 〈햇비〉와 아름답고 평화로운 동심(童心)을 노래한 시 〈반딧불〉·〈굴뚝〉·〈병아리〉 등이 그러한 작품이다.

그러한 사춘기의 낙관적인 생각은 시 〈눈〉에 와서 어느 정도 걸러지고 1937~38년에는 시대와 사회에 대한 고뇌와 갈등을 읊었다. 그뒤 자아와 세계 사이의 갈등을 나타낸 좀더 성숙해진 시를 썼는데 이때의 시의식은 때로 자전적 성격에서 출발하거나 종교적 의식의 천착(穿鑿)으로 이어지고, 때로 민족의식과 시대의식으로 발전하거나 고향지향성으로 나타났다. 대표시 〈자화상〉(1939)은 자전적 시로 실존적 의식세계의 출발점이 되며, 〈별 헤는 밤〉(1941)·〈참회록〉(1942) 등에 나타나는 자아성찰과 미래를 향한 낙관적 의지, 실존적 윤리의식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달밤〉(1937)·〈유언〉(1937)·〈아우의 인상화〉(1938) 등에는 고독과 비애를 실감나게 담아냈다. 이러한 자전적 성격은 대표시 〈별 헤는 밤〉의 결구에 집약되어 있는데, 그것은 부끄러움과 절망으로 표현될 수 있는 자신의 지나간 삶을 토대로 자랑스러운 밝은 시대가 올 것이라는 확신의 목소리였다. 또한 〈사랑의 전당〉(1938)에서 보이는 새로운 삶에 대한 의욕은 〈십자가〉(1941)에 이르면 그리스도교적 신앙에 바탕을 둔 비장미로 바뀌게 된다.

일제강점기의 암담한 현실 속에서 자아의 갈등을 극복하려는 결의를 실존적인 성실성에서 찾은 것이다. 그것은 자기자신의 희생이라는 이미지로 나타나며 신앙인으로서의 실천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밖에 이러한 자기 희생과는 또다른 그리스도교적 세계인식을 보여준 시로 1941년에 발표한 〈태초의 아침〉·〈또 태초의 아침〉·〈새벽이 올 때까지〉를 들 수 있는데, 이 작품들은 인간의 근원적인 부조리와 더불어 그리스도교적인 예언을 담고 있다.

그는 일제에 의해 억압받는 민족의 현실에 정서적 연원을 둔 작품을 많이 썼다.

〈십자가〉를 비롯하여 〈무서운 시간〉(1941)·〈또다른 고향〉(1941)·〈간 肝〉(1941)·〈쉽게 씌어진 시〉(1942) 등이 그 예인데, 〈무서운 시간〉에서는 행동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오히려 행동을 요구하는 상황이 나온다는 아이러니를 제시했는가 하면, 〈또다른 고향〉에서는 상황의식에 따른 자아성찰과 행동을 위한 결단을 내비치고 있다. 〈간〉에서는 구토지설(龜兎之說)과 프로메테우스의 신화를 연결시켜 고통스러운 현실과 맞서 유혹과 억압으로부터 자기를 지키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일본 유학중에 쓴 〈쉽게 씌어진 시〉는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과 고독을 토로하고 시대의 어둠에 대해 시로 대응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또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잎새에 이는 바람에도/나는 괴로워했다"로 시작되는 〈서시〉는 많은 사람들에게 애송되는 시로서, 특히 '하늘·바람·별'의 이미지가 서로 대응되어 그의 생애와 시의 전모를 단적으로 암시해준다.

그는 자전적이고 내성적인 시, 그리스도교 신앙에 바탕을 둔 실존적 윤리의식, 그리고 시대와의 갈등에 성실했던 민족의식을 나타낸 시를 썼으며, 이러한 주제를 고도의 상징과 은유적 기법으로 독특하게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한국시사에서 귀중하게 평가되고 있다. 정병욱이 그의 자필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소중히 간직해두었다가 1948년 정음사에서 출간한 이후, 시집으로 〈별 헤는 밤〉(1977)·〈윤동주시집〉(1984) 등이 나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43 생태문학과 소통해보다... 2016-02-01 0 4391
1042 력사속의 시인 모윤숙... 2016-01-31 0 4510
1041 력사속의 시인 노천명... 2016-01-31 0 5047
1040 詩는 언어를 통해 언어의 구속에서 벗어나야... 2016-01-31 0 5578
1039 예쁜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1-31 0 5666
1038 詩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 2016-01-31 0 6444
1037 詩씨기에서 동심적 발상을 하라 2016-01-31 0 4606
1036 詩쓰기에서 고정관념 깨고 상상의 날개를 활짝... 2016-01-31 0 4488
1035 독서광 - 책벌레 - 1억1만3천번 읽다... 2016-01-26 0 4731
1034 문덕수시론 2016-01-22 0 5618
1033 詩를 왜 사랑하는가?! 2016-01-22 0 4407
1032 (자료) 중국조선족문학 개요 2016-01-22 0 5107
1031 잊혀진, 잊지말아야 할 조선족천재시인 - 주선우 2016-01-22 0 5119
1030 건국후, 조선족시인으로서 첫 개인시집 출판한 주선우 2016-01-22 0 5235
1029 詩의 시대, 詩의 위기, 詩의 소멸... 2016-01-21 0 5531
1028 詩와 함께 평생을 살기로... 2016-01-21 0 5775
1027 詩는 언어로 짓는 寺院 2016-01-21 0 5721
1026 '2016 신춘문예 童詩 당선작 2016-01-21 0 4297
1025 (자료) - 현대시 흐름 2016-01-21 0 5159
1024 詩를 주문제작해 드리는 시대가 왔다... 2016-01-21 0 4605
1023 윤동주 시인을 좋아하는 리유?- 2016-01-21 0 4825
1022 문학을 기존안에 가두려는것 폭력? 전통시는 死亡? 2016-01-21 0 4067
1021 <론쟁> = 시인는 언어질서 파괴자? / 극단적 "미래파 시"는 사기? 2016-01-21 0 4184
1020 시문학의 현주소? / 오감도! 육감도? 2016-01-21 0 4429
1019 이상한 시나라에서 이상한 시인모임 2016-01-21 0 4111
1018 김철호 詩評/ 최삼룡 ... 김철호론/ 김만석... 2016-01-20 0 4554
1017 시에 안부를 묻다... 김영건 시인 2016-01-20 0 4192
1016 미래파 = 전위예술운동 2016-01-20 0 4116
1015 사전에 없는 말, 장난처럼 꺼낸 말... 2016-01-20 0 4307
1014 <<서정시파>>냐?! <<미래파>>냐!?... 2016-01-20 0 3944
1013 미래파시와 미래파시인은 미래가 있을가... 2016-01-20 0 4879
1012 詩밖의 詩의 낯선 세계에로 들어가 보다... 2016-01-19 0 4317
1011 왜 미래파?... 시, 시인, 독자... 2016-01-19 1 6284
1010 詩를 보면 詩人을 알것 같은, -시의 문을 두드려라... 2016-01-19 1 4207
1009 미래파 시인들과 다시 보는 李箱, 그리고 白石 2016-01-19 0 4470
1008 시, 시인, 그리고 그 가족들 - 이육사시인 형제들 2016-01-18 0 7100
1007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형은 시인, 동생 둘 中 한사람은 소설가, 다른 한사람은 극작가... 2016-01-18 0 6187
1006 시다운 詩, 시인다운 詩人을 찾아보기... 2016-01-17 0 4630
1005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이은상 시인 2016-01-15 0 9688
1004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황지우 시인 2016-01-14 0 4943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