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올바른 세배 례절 가르쳐주기
2017년 01월 27일 19시 18분  조회:3411  추천:0  작성자: 죽림

 

 

내일이면 설 연휴가 시작된다. 세배를 하고 차례상을 차리는 일이 어른들에게는 당연하고 자연스럽겠지만 초등생 자녀들은 왜 설날에 이런 것들을 하는지 또 어떻게 하는 것인지 궁금해 할 수 있다. 

 

설 연휴 전날인 오늘, 초등생 자녀에게 설의 유래와 차례상의 규칙, 올바른 세배 예절을 알려주면서 설날의 의미를 함께 되새겨 보는 건 어떨까? 

 

 

○ 낯설다, 사린다, 서다…‘설’의 의미 

 

우리나라의 대표적 명절인 설날. 이날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다양하다. ‘사린다(삼간다)’는 말에서 유래됐다는 의견이 대표적이다. 한 해가 시작되는 날이니만큼 모든 일에 조심해야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새로운 해에 익숙하지 않다는 의미로 ‘낯설다’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혹은 한 해를 새로 세운다는 뜻의 ‘서다’라는 단어에서 생겼다는 견해, 17세기 문헌에 ‘설’이 ‘나이, 해’를 뜻하는 말로 쓰였던 것을 미루어볼 때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날’이라는 주장도 있다. 

 

초등생 자녀가 1월 1일은 이미 지났는데 왜 이 날을 새해 첫 날이라고 하느냐고 물을 땐 어떻게 해야 할까? 이때에는 달력을 보며 양력과 음력의 차이를 설명해주자. 예를 들어 “달력의 큰 숫자는 양력에 해당되는 날짜이고 작은 글씨는 음력에 해당하는 날짜”임을 짚어주는 것. 이어 양력이란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을 1년으로 정해 이를 12달로 나눈 것이고, 음력은 달이 지구를 한바퀴 도는 것을 한 달로 정해 날짜를 정한 것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과거 조상들은 음력을 활용했기 때문에 설날을 지낼 때에는 전통을 지켜 음력으로 따지는 것이란다”고 덧붙여주면 더욱 좋다.

 

 

○ 차례상에 재밌는 ‘규칙’이 숨어있다고? 

 

설날 차례상을 차릴 때에는 재밌는 ‘규칙’이 숨어 있다는 것을 자녀에게 알려주자. 

 

차례상은 우선 5열이 기본이다. 숨진 사람의 영혼이 머무는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두고 서쪽부터 시접(수저를 놓는 빈 대접)과 술잔, 떡국을 놓는다. 정면을 기준으로 떡국은 오른쪽에, 술잔은 왼쪽에 두고 시접은 중간에 올리면 된다. 

 

2열에는 고기전과 고기 구운 것, 채소 구운 것, 생선 구운 것, 생선전 등이 올라간다. 이때 기억해야 할 것은 ‘어동육서’와 ‘두동미서’다. 즉,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두며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올린다는 것. 초등생 자녀에게 각 한자가 어떤 뜻인지를 짚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열에는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 등 다양한 탕 종류를 올린다. 탕의 개수는 홀수로 맞추는 것이 원칙이다. 

 

4열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좌포우혜’. 이에 따라 북어, 대구, 오징어 등 각종 포는 왼쪽 가장 끝에 올리고 오른쪽 끝에는 식혜를 둔다. 

 

마지막 5열에는 과일이나 과자를 올린다. 여기에 적용되는 규칙은 ‘홍동백서’와 ‘조율이시’다.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두는 것. 조율이시에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는다.

 

이때 초등생 자녀가 흥미를 가질만한 이야기를 해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차례상에는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해주는 것. 초등생 자녀가 이유를 묻는다면 “귀신은 붉은 색을 싫어한다는 설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해줄 수 있다. 차례상에 올리는 떡에는 붉은 팥을 안 쓰고 흰 고물을 쓰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다.  

 

차례상에는 ‘복숭아’와 ‘치’로 끝나는 생선을 쓰지 않는다는 것도 얘기해주자. 복숭아는 예부터 귀신을 쫓는 이상한 기운이 있다고 전해져왔기 때문. 조상들은 꽁치, 멸치, 갈치 등 ‘치’로 끝나는 생선들은 격이 낮다고 여겼었다. 

 

 

○ 세배하는 법…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이 위 

 

자녀가 올바른 방법으로 세배를 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다. 세배는 어른들에게 하는 새해 첫 인사이므로 특별히 예의바르게 절을 해야 한다고 일러줘야 한다. 

 

세배를 할 때 주의해야 하는 것은 ‘공수’. 공수란 손을 모으는 것으로,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세배를 시작할 때 남자는 공수를 한 뒤 눈높이로 올렸다가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바닥을 짚는다. 왼쪽과 오른쪽 무릎을 차례로 꿇고 팔꿈치를 바닥에 붙여 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 가까이에 댄다. 잠시 자세를 유지하다가 머리를 들고 오른쪽 무릎을 세워 공수한 손으로 짚고 일어난 뒤 가볍게 인사한다. 다시 무릎을 꿇고 앉았을 때에는 공손하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인사하도록 일러주자.

 

여자의 경우, 남자와 달리 오른손을 위로 한 뒤 손을 포갠 후 어깨 높이로 올린다. 시선은 손등을 바라본다. 그 다음 왼쪽, 오른쪽 무릎을 순서대로 꿇고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이때 오른발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발등을 포개야 한다. 이어서 몸을 45도 정도 굽혔다가 일어나서 두 발을 모은다. 올렸던 두 손을 배꼽에 내려 가볍게 인사한 뒤, 무릎을 꿇고 앉아 공손하게 인사를 하면 된다. 

 

/에듀동아 이원상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73 매한테서 어원유래가 된 "시치미 떼다"?!... 2017-03-10 0 3337
1072 매나 독수리로 사냥하며 즐기는것도 "스포츠"라니?!... 2017-03-09 0 7200
1071 야생매 포획할 때 비둘기로 유인하다... 2017-03-09 0 5519
1070 중국 길림성 길림시에 "매사냥문화축제"가 없다?... 있다!... 2017-03-09 0 6167
1069 우리 연변에서도 전통 매사냥문화를 복원해야... 울 할배도 응사(鷹師)였었는데... 2017-03-09 0 3579
1068 [쉼터] - 곰팡이, 의사, 정치가 그리고 꿈... 2017-03-06 0 5479
1067 [쉼터] - 실수(곰팡이)로 인해 만들어진 약 - 페니실린 2017-03-06 0 7244
1066 [이런저런] - 세계에서 제일 비싼 비둘기 2017-03-06 0 3259
1065 [쉼터] - 곰팡이의 진실과 오해 2017-03-06 0 6460
106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연변에 "한옥마을"이 없다?... 있다!... 2017-03-04 0 3300
10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두 장애인 정말 위대한 사람!!! 2017-03-03 0 3981
1062 저항시인 윤동주도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5170
1061 프랑스 실존주의 작가 알베르 카뮈는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5478
1060 [이런저런] - 축구선수 심판에게 총을 쏘다... 2017-03-03 0 4701
1059 [쉼터] - 축구판 심판 = 주심 + "제4부심" 2017-03-03 0 3459
105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의 나이 46억살?!... 2017-03-03 0 3360
1057 [쉼터] - 우리 고향에서도 "감자축제"를 열어보자... 2017-03-02 0 3637
1056 [록색평화주의者]우리 고향에도 "차 없는 마을"이 있었으면... 2017-03-02 0 3370
1055 [쉼터]-결혼식용 감자와 장례식용 감자가 따로 없다?...있다!... 2017-03-02 0 4288
1054 [쉼터] - 축구스타와 "사인"받기 2017-03-02 0 3183
105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야생동물 겨울나기가 잘 되기만을... 2017-03-01 0 3791
1052 [쉼터] - 봄꽃 꽃말 2017-02-28 0 5708
1051 죽림선생님, 안녕하심둥?... 2017-02-28 0 6038
1050 [쉼터] - 뒷간에서 "삼각함수의 법칙"을 발견하다... 2017-02-27 0 3025
1049 백두산호랑이 "드론" 사냥하다... 2017-02-24 0 3495
1048 [이것이 알고싶다] - "가짜 손"과 진짜 손?!... 2017-02-23 0 3121
1047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푸른 눈의 한국인"-호머 헐버트 2017-02-22 0 7512
1046 [이런저런] - 세상에?... 몇억조분에 일 정도일가???... 2017-02-22 0 4340
1045 [이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신문은?... 2017-02-22 0 4644
1044 한국인보다 한글을 더 사랑한 미국인이 없었다?... 있었다!... 2017-02-22 0 4991
1043 [자료] - 최초 "한글 띄여쓰기"를 한 사람은 외국인?... 2017-02-22 0 5530
1042 [자료] - 우리 말과 글의 력사를 알아보다... 2017-02-22 0 3044
1041 96년 만의 귀향길에 백두산호랑이와 "기생충"과 함께였더면... 2017-02-21 0 3321
1040 [이것이 알고싶다] - 목화는 인류의 보배 2017-02-18 0 4763
103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목화씨"가 호랑이를 먹어버리다... 2017-02-18 0 3666
1038 세계 유명인들의 墓碑名 2017-02-18 0 3368
1037 [쉼터 - ]"국가"에 가사가 없는 나라는 없다?... 있다!... 2017-02-14 0 4865
1036 [이것이 알고싶다] - 독일 "국가"는 3절만 부른다의 유래 2017-02-14 0 5697
1035 고향 연변에 "해란강여울소리"라는 가사전문지가 있다... 2017-02-14 0 3362
1034 고향 연변 미니영화 "발자취" 끝끝내 1등 하다... 2017-02-14 0 3313
‹처음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