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창작 강의-12(시를 쓰기 위한 준비 : 영감) ============================================================================
[황인숙의 행복한 시 읽기]
―정영주(1952∼ ) 1 가장 깊은 그늘을 꿰매는 거야 깜깜한 무늬와 질감을 찔러 실로 음각을 뜨는 거야 흰 머리카락을 뽑아 바늘에 꿰어 깊은 우물 속, 두레박이 새지 않게 물을 깁는 거야 바느질이 목숨이었던 어머니, 실 떨어지면 명주 올처럼 길고 흰 머리카락을 뽑으셨지 어룽이다 꺼져가는 그늘과 찢어진 가족의 무늬와 식탁을 바늘로 이어 가셨지 2 어머니가 가셨던 길처럼 한 올 한 올 바늘로 쪽빛 모시를 꿰맬 때마다 멀리 떠난, 더는 깁을 것이 없는 어머니를 떠올리지 평생 바늘과 옷감을 놓지 않으신 어머니 그것으로 가족을 기워 둥근 띠를 엮으셨던 어머니 아버지 없는 둥근 밥상에 오글오글 새끼들만 모여 밥상까지 통째로 먹는 허기진 아이들 명주에 들어간 바늘이 실을 끌고 다닐 때 천이 제 몸들을 꼬옥 껴안지 못하면 바늘은 성글게도 허공과 손가락만 꿰매 놓곤 했지 둥근 밥상 앞에서도 새끼들 입에 당신 몫까지 다 내어 주고 등 돌려 바느질만 하시던 어머니, 그 시린 등을 이제사 껴안고 난 쪽빛 모시 안으로 들어가고 있어
장성한 아들도 없는데 가장인 남자어른이 바깥으로만 떠돌거나 재산 없이 세상을 뜨면, 일가족의 먹고살 길이 막막하던 시절이 있었다. 여자는 집안일이나 해야지 경제활동을 하는 건 흉이 되던 시절, 그래서 딸에게 돈벌이를 할 만한 교육을 애초에 시키지 않던 시절. 시골이라면 농사라도 지을 테지만, 도시에서 여자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질 처지에 놓이면 속수무책이기 쉽다. 화자의 어머니는 다행히도 바느질 솜씨가 있으셨나 보다. 여자에게 허락된 얌전하고 깨끗한 일감, 바느질. 하지만 ‘밥상까지 통째로 먹는 허기진 아이들’을 먹이기엔 그 삯이 참으로 소소했을 테다. 그래서 어머니는 때로 끼니를 거르고 바느질만 하셨단다. 그렇게 ‘찢어진 가족의 무늬와 식탁을 바늘로 이어가신 어머니’를 화자는 바느질을 할 때마다 떠올리는데, 화자 역시 ‘어머니가 가셨던 길처럼/한 올 한 올 바늘로 쪽빛 모시 꿰매는’ 일을 하니 어머니는 늘 화자의 기억 속에 살아 계실 테다. ‘가장 깊은 그늘을 꿰매는 거야’는 화자의 바느질 철학일 테다. 어머니에게서 화자에게 전해진 것이 바느질 솜씨뿐 아니라 ‘깜깜한 무늬와 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삶인 듯도 해 울컥해진다. 하지만 화자는 어머니의 ‘시린 등을 껴안고 쪽빛 모시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시를 맺는다. 모녀의 삶이 한 쌍 쪽빛 나비로 우화(羽化)하는 듯, 아름다이 시린 바느질이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