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열두달 달력"의 유래?...
2017년 06월 15일 00시 24분  조회:3309  추천:0  작성자: 죽림

[자료] 열두달 달력의 유래

 

로마인들은 축제를 기록하기 위하여 달력을 만들었으며

누마 폼필리우스라는 인물이 카이사르 시대까지 사용되었던

달력을 만들어 모든 종교 행사를 체계화하였다고 합니다.

 

폼필리우스 자신이 직접 1년을 열두 달로 나누고,

사제들에게 매월 초에 일수를 더하거나 줄이는 방식을 이용하여

열두 번째 달의 마지막 날에 이르러 총일수가 365일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열두 달을 월별로 살펴 보면, 모두 신화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1월의 유래(januarius, January) 
최초의 달 januarius, January는 "일의 시작, 입구, 문, 통로"를 지키는

로마신 야누스(janu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원래 고대 로마에서 1년은 10개월이었으나, 기원전 700년경

januarius(January)와 februarius(February)가

추가되어서 12달이 되었습니다.

 원래는 3월(martius)부터 1년이 시작되었으나,

기원전 46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새로운 정치를 한다는 뜻으로

달력을 개정하여 januarius(January)를 1년의 시작으로 삼았습니다.


 

 


2월의 유래(februarius, February) 
고대 로마에는 1년 간의 묵은 심신의 때를 깨끗이 씻어내고

신년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 "깨끗이 하다"는 말의 라틴어 februariu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2월은 원래 30일이었지만,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이름을 딴 julius에서 하루를 빼앗겨 29일이 되고,

아우구스투스 역시 역시 2월에서 하루를 더 빼앗았습니다.


 

아우구스투스


3월의 유래(martius, March) 
고대 로마력에서는 1년의 최초의 달이었으며,

전쟁의 신(군신 아레스) 마르스(Mars)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달력을 개정할때, "januarius, January"를 첫 달로 하고

 "februarius, February)를 두 번째 달로 지정하면서 세 번째 달이 되었습니다.


 

 


 

 

 

보티첼리 .. 아프로디테와 비너스

 

 


4월의 유래(aprilis, April) 
April은 라틴어의 동사 aperie(개시)에서 따랐습니다.

이 시기에 초목의 싹이 일제히 트기 때문입니다.

아~ 4월은 생명의 등불을 밝혀든다...는 가곡이 떠오릅니다 


 

 
페터 파울 루벤스 '카이사르'

 

 


5월의 유래(maius, May) 
Maius(May)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몇 가지의 설이 있습니다.

"봄과 성장"의 여신 Maia의 이름을 땄다는 설과

라틴어 Majores(노인)을 줄인 것이라는 주장이 그것입니다.

이것은 6월(junius, June)이 라틴어 " Juniores(젊은 사람)"에 바쳐진 달인 것처럼

maius(May)는 노인에게 바쳐진 달이라는 논리입니다.

 


 


6월의 유래(junius, June) 
Junius(June) 의 유래에 대해서도 몇 가지 설이 있습니다.

5월의 경우처럼, 사람에게 바쳐진 달이기 때문에

"Juniores(젊은 사람)"을 줄인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7월의 유래(quintilis, julius ; July) 
"julius, July" 고대 로마 달력에서는 다섯 번째의 달이었기 때문에

다섯 번째를 뜻하는 라틴어 "quintili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러나 30일밖에 없었던 7월에 탄생한 카이사르는 이 달을 큰 달로 만들고자

" februaris, February"에서 하루를 가져와서 31일로 만들었습니다.

카이사르가 암살을 당한 후 원로원은 그의 이름을 기념하여

quintilis에서 julius로 개명한 것입니다.


 


자크 루이 다비드 '카이사르의 죽음'


8월의 유래(sixtilis, August) 
원래 고대 로마력에는 6번째 달로서 "sixtilis"라고 하였습니다만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Augustus)의 이름을 따서

기존 sextilis가 바뀌어 August가 되었습니다

8월도 원래 30일이었지만, 이 달에 태어난 아우구스투스는

 "februaris, February"에서 하루를 가져와 31일로 만든 것을

로마인들이 그의 이름을 칭송하여 아예 "August"로 바꾸었습니다

 



9월의 유래(septembris, September)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때문에 달력 명칭에 혼란이 생겼습니다.

septembris(September)는 라틴어의 일곱 번째(septembris)입니다.

 

 


10월의 유래(odtober, October) 
odtober, October는 라틴어 여덟 번째(october)입니다.

 



11월의 유래(nebember, November) 
nobember, November는 라틴어 아홉 번째(August )입니다.

여기에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

원로원은 7월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서,

8월은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에서 따랐기 때문에

11월에 생일이 있는 아우구스투스 다음 황제인

티베리우스 카이사르의 이름으로 바꾸려고 했지만,

본인은 "만약에 황제가 13명이라면?"

이라는 이유로 사양하였다고 한다.

 

 

 


12월의 유래(december, December) 
december, December는 역시 열 번째(December)입니다.

12월은 원래 29일밖에 없었지만,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이틀을 보태 31일로 만들고

일년의 마지막 달로 삼았다고 합니다

 

 

현재의 태양력이 된 것은 1873년이다.

현재 쓰이고 있는 태양력을 로마력(Roman calendar)이라고 한다

 

줄리어스 시저 력을 정하기 이전의 로마의 구력에서는

현재의 3월이 1월로 1년의 첫 달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9월은 7월이었다.

그래서 지금의 10월, 11월, 12월은 당시 8월, 9월, 10월이었다.

현재의 8월까지는 여러 가지 이름을 붙여왔다.

9월 이후는 그 당시의 이름이 남아 있지 않다.

(1월과 2월이 추가됨)

 

 

 




=====================

요일 제도의 기원과 달력의 변천

한 주(周)의 첫째 날은 언제일까?
한 주의 업무를 시작하는 월요일을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은 일요일이다.
만국 공통 달력을 보면 일요일이 한 주의 첫날,
그리고 한 주의 끝인 일곱째 날 주말(週末)이 토요일로 되어 있다.
현재의 주 개념을 보자면 엿새 일하고 하루 쉬는 것이 아니라 먼저 하루를 쉬고 엿새를 일하는 셈.
왜 첫째 날인 일요일이 공휴일로 지정되었을까?
오늘날과 같은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달력의 유래를 통해 이런 궁금증을 풀어 보자.

주 7일제도의 기원
문헌상의 기록으로 볼 때 한 주를 7일로 나눈 것은 성서가 최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는 “하나님이 엿새 동안 천지 만물을 창조하고 일곱째 날에 쉬었더라”는 내용이 나온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한 주를 구성하는 7일에 대해 ‘∼요일’이라는 말 대신에 ‘첫째 날, 둘째 날, … 일곱째 날’로 불렀고, 십계명을 따라 ‘안식일’인 일곱째 날을 신성하게 여겨 아무 노동도 하지 않고 쉬었다. 칠일을 주기로 하여 제칠일에 쉬는 것은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지켜져 내려왔다.
요일 이름이 구체적으로 붙은 것은 기독교를 공인한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가 A.D. 321년 매주의 첫째 날을 휴일로 정하는 법령을 내리면서부터다. 일곱 요일의 명칭은 고대인들이 관찰할 수 있었던 태양과 달을 포함한 일곱 행성에서 비롯되었다.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유래한 점성술에서는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었는데 이들 일곱 행성이 돌아가며 매 시간을 지배하며, 매일의 첫째 시를 지배하는 행성이 그 날을 지배한다고 생각했다.
점성가들이 생각한 별들의 운행은 오늘날과 순서가 좀 달랐다. 그들의 우주관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과 같았는데, 토성이 지구에서 가장 멀다고 생각했으며, 그 다음이 목성, 화성, 태양, 금성, 수성, 달의 순서였다. 그러나 거리와 상관없이 일곱 행성 가운데서도 가장 계급이 높은 신은 태양신이었다.
“한 주의 첫째 날은 ‘태양의 날’이므로 휴업하라”
이러한 내용은 로마에까지 전파되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로마의 달력에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이 쓰고 있던 일주일을 도입했지만 바벨론의 점성술에 근간을 두고 요일의 이름을 붙였다. 황제는 첫째 날을 ‘태양의 날’로 선포하고 이 날을 예배일이자 공휴일로 정하는 칙령을 내렸다(A.D. 321년 3월 7일). 따라서 둘째 날은 월요일, 셋째 날은 화요일, … 일곱째 날은 토요일로 명명되었다.
요일제도는 분명히 기독교인들을 의식하여 시작되었으나 그들을 전적으로 배려한 것은 아니었다. 첫째 날(일요일)을 ‘태양의 날’이자 공휴일로 정한 것은 당시 로마에서 인기 있던 미트라(태양신)의 교도들을 배려한 색채가 짙었기 때문에 일곱째 날을 예배일로 지켜오던 유대인들과 일부 기독교인들은 이에 반대했다. 그러나 로마 교회를 비롯한 교회 지도자들과 미트라 교도 등 대다수 로마인들이 황제의 입장을 지지했기 때문에 일요일 휴업령은 제국 내에 서서히 정착되었다.
태음력과 태음태양력, 태양력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주기에 따라 29일 또는 30일을 한 달로 정하고 열두 달을 1년으로 하는 태음력을 사용하였다. 태음력에 따르면 1년은 354일이 되기 때문에 계절의 순환이 해마다 달라질 수밖에 없어, 그들은 때때로 윤달을 끼워 넣어 이를 해결하고자 했다. 고대 수메르인들과 바빌로니아인뿐 아니라 유대인, 그리스인, 중국인 등 세계의 많은 민족들이 이러한 태음태양력을 수천년간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는 음력도 정확히 표현하자면 태음태양력이다. 그러나 이슬람권에서는 아직도 윤달을 인정치 않는 순 태음력을 사용하고 있다.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 공전주기와 흡사하게 1년을 365일로 정한 태양력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들은 이집트인들이었다. 그들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나일 강의 수위에 초점을 맞추어 1년을 열두 달, 한 달을 30일로 정하고 여기에 다시 5일을 더했다. 이집트의 천문학자들은 4년에 1회씩 윤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는 했지만 ‘신성한 달력’을 고수하는 사제들 때문에 해마다 여섯 시간 가량의 착오가 나는 것을 방관할 수 밖에 없었다.
기원전 48년, 이집트 여왕 클레오파트라와 로마 영웅 줄리어스 시저(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만남은 세계 역사를 바꾸기도 했지만 달력의 역사에서도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시저는 이집트의 태양력을 받아들여 그간 태음태양력을 쓰면서 정치적인 이유로 제멋대로 바뀌던 로마력에 일대 개혁을 추구했다.
율리우스력으로 시작된 달력의 개혁
기원전 46년, 시저는 당대의 가장 뛰어난 학자들을 불러모아 ‘율리우스력’을 만들었다. 율리우스력은 1년을 365일로 했으며 4년마다 1일을 더한 윤년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간의 잘못을 바로잡으려다 보니 이 해는 무려 445일이나 되어버렸지만 이로써 어느 정도 과학적인 달력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율리우스력에도 문제가 있었으니 4년마다 윤년을 정할 경우 1년에 11분 14초 정도 앞서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율리우스력에 요일제도를 도입했다. 몇 년 후인 325년, 황제가 소집한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부활절 날짜가 공식적으로 논의되었다. 마태, 마가, 누가의 3복음서에 따르면 부활절은 유월절이 지나고 돌아오는 첫째 날(일요일)이었는데, 유월절은 태음태양력인 유대력으로 니산월(1월) 14일이었다. 그러나 공의회에서는 유대인들이 쓰는 유대력을 무시하고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기로 결의했다. 태음태양력인 유대력을 따르지 않고 태양력인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로마에서 부활절을 올바로 지키기란 실상 불가능한 일이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이 회의에 관여하면서 정확한 날짜보다는 일치한 결론을 내리라고 요구했다. 토론 끝에 교회 지도자들은 ‘춘분이 지나고 첫 보름달이 뜨고 나서 첫째 일요일’을 부활절로 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당시의 미비한 과학 수준으로 인해 춘분 날짜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도 지극히 어려운 일이었다. 이후 수세기 동안 기독교인들은 그들이 정한 기준에도 일치하지 못하는 부정확한 부활절을 지켜야 했다.
그레고리력이 정착되기까지
오늘날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은 1582년 로마 교황 그레고리 13세가 정한 것이다. 법률가 출신의 이 교황은 파리에서 벌어진 위그노(프랑스의 개신교도) 대학살 소식을 접했을 때 기쁨에 차서 신을 찬송했고, 화려함을 좋아하여 장엄한 교회 건물 축조를 위해 바티칸의 재정을 거의 파산 상태로 몰아넣는 등 악명이 높았지만, 달력의 개혁에 대해서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새 달력을 만들게 하고 그것을 카톨릭 국가에 보급하는 데에 꽤 추진력이 있었다.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의 문제를 보완하여, 100으로 나누어지지 않으면서 4로 나누어지는 해 96회와 400으로 나누어지는 해 1회를 합해 400년 동안 97회의 윤년을 두게 했다. 그리고 그간의 계절적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1582년 10월 4일(목요일) 다음날이 10월 15일(금요일)이 되게 했다. 요일상의 변화가 없었던 것은 예배일인 일요일이 바뀌는 것을 피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크리스마스, 부활절 등의 날짜와 주요한 성인의 축제일들이 바뀌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갑작스러운 날짜 변경으로 당대 사람들은 성자들이 기도를 들어주지 않으면 어쩌나 걱정했고 많은 혼란과 불편을 겪어야 했다.
그 후 2세기 가량 동안 카톨릭 지역에서는 그레고리력이, 신교 지역에서는 율리우스력이 쓰이며 같은 축제일도 다르게 지켜왔다. 18세기 말에 이르러 서유럽지역은 그레고리력으로 통일되고 20세기에 접어들어서야 동유럽의 그리스 정교 국가들이 이 달력을 받아들였다. 꾸준히 세계로 전파된 그레고리력은 오늘날 만국 공통 달력이 되었다.

 
=====================
=====================덤으로 력사자료사진 "세월의 흔적" 보기=

 
 
5-1.jpg

 
정부청사 대문에 연변조선족자치구 간판을 걸고있다.
 
 

 
 
5-2.JPG

 
옛 도문시 전경을 담은 년하장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73 매한테서 어원유래가 된 "시치미 떼다"?!... 2017-03-10 0 3336
1072 매나 독수리로 사냥하며 즐기는것도 "스포츠"라니?!... 2017-03-09 0 7199
1071 야생매 포획할 때 비둘기로 유인하다... 2017-03-09 0 5519
1070 중국 길림성 길림시에 "매사냥문화축제"가 없다?... 있다!... 2017-03-09 0 6166
1069 우리 연변에서도 전통 매사냥문화를 복원해야... 울 할배도 응사(鷹師)였었는데... 2017-03-09 0 3579
1068 [쉼터] - 곰팡이, 의사, 정치가 그리고 꿈... 2017-03-06 0 5479
1067 [쉼터] - 실수(곰팡이)로 인해 만들어진 약 - 페니실린 2017-03-06 0 7243
1066 [이런저런] - 세계에서 제일 비싼 비둘기 2017-03-06 0 3255
1065 [쉼터] - 곰팡이의 진실과 오해 2017-03-06 0 6459
106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연변에 "한옥마을"이 없다?... 있다!... 2017-03-04 0 3300
10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두 장애인 정말 위대한 사람!!! 2017-03-03 0 3980
1062 저항시인 윤동주도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5170
1061 프랑스 실존주의 작가 알베르 카뮈는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5474
1060 [이런저런] - 축구선수 심판에게 총을 쏘다... 2017-03-03 0 4701
1059 [쉼터] - 축구판 심판 = 주심 + "제4부심" 2017-03-03 0 3459
105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의 나이 46억살?!... 2017-03-03 0 3360
1057 [쉼터] - 우리 고향에서도 "감자축제"를 열어보자... 2017-03-02 0 3637
1056 [록색평화주의者]우리 고향에도 "차 없는 마을"이 있었으면... 2017-03-02 0 3368
1055 [쉼터]-결혼식용 감자와 장례식용 감자가 따로 없다?...있다!... 2017-03-02 0 4288
1054 [쉼터] - 축구스타와 "사인"받기 2017-03-02 0 3183
105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야생동물 겨울나기가 잘 되기만을... 2017-03-01 0 3789
1052 [쉼터] - 봄꽃 꽃말 2017-02-28 0 5708
1051 죽림선생님, 안녕하심둥?... 2017-02-28 0 6037
1050 [쉼터] - 뒷간에서 "삼각함수의 법칙"을 발견하다... 2017-02-27 0 3025
1049 백두산호랑이 "드론" 사냥하다... 2017-02-24 0 3494
1048 [이것이 알고싶다] - "가짜 손"과 진짜 손?!... 2017-02-23 0 3121
1047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푸른 눈의 한국인"-호머 헐버트 2017-02-22 0 7510
1046 [이런저런] - 세상에?... 몇억조분에 일 정도일가???... 2017-02-22 0 4340
1045 [이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신문은?... 2017-02-22 0 4643
1044 한국인보다 한글을 더 사랑한 미국인이 없었다?... 있었다!... 2017-02-22 0 4989
1043 [자료] - 최초 "한글 띄여쓰기"를 한 사람은 외국인?... 2017-02-22 0 5529
1042 [자료] - 우리 말과 글의 력사를 알아보다... 2017-02-22 0 3044
1041 96년 만의 귀향길에 백두산호랑이와 "기생충"과 함께였더면... 2017-02-21 0 3321
1040 [이것이 알고싶다] - 목화는 인류의 보배 2017-02-18 0 4763
103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목화씨"가 호랑이를 먹어버리다... 2017-02-18 0 3664
1038 세계 유명인들의 墓碑名 2017-02-18 0 3367
1037 [쉼터 - ]"국가"에 가사가 없는 나라는 없다?... 있다!... 2017-02-14 0 4865
1036 [이것이 알고싶다] - 독일 "국가"는 3절만 부른다의 유래 2017-02-14 0 5695
1035 고향 연변에 "해란강여울소리"라는 가사전문지가 있다... 2017-02-14 0 3362
1034 고향 연변 미니영화 "발자취" 끝끝내 1등 하다... 2017-02-14 0 3313
‹처음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