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중국 송나라의 정명도(程明道, 1032~1085)와 정이천(程伊川, 1033~1107) 두 형제를 말하며 이(二)정자라고도 한다. 모두 유교철학자. 주염계(周簾溪)에게서 배우고 '이'(理)를 최고의 범주로 삼아 도학(道學)을 체계화하고 발전시켰다. 그들은 하늘(天)을 이(理)라고 하여 달이 냇물에 그 모습이 비치듯이 천하 만물은 이 유일하고 절대인 이(理)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고, 천리(天理)가 일정한 목적 하에 우주의 질서를 세운다고 하는 목적론적 세계관을 수립하였다. '부자ㆍ군신'도 '천하의 정리'(天下之定理)이기에 어느 누구도 이 관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고 하여 불교의 출세간(出世間)주의를 비판하고 현실의 봉건적 신분질서를 절대화 시켰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그 사상, 성격에 차이점이 있다. 명도는 천지의 움직임을 '역'(易)에 기초하여 '생생'(生生)이라고 보고, 만물(사물도 인간도 모두)은 모두 천지의 생의(生意)를 받은 '일체'라고 생각하였으며, 천지생생의 덕을 '인'(仁)이라고 하여 '만물 일체의 인'이란 관념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인(仁)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서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이 만물일체=물아(物我)일체로 되고, 범위를 확장시켜 종래엔 인(仁)과 병렬되어 있던 의ㆍ예ㆍ지ㆍ신(義ㆍ禮ㆍ智ㆍ信)도 모두 인(仁)으로 되어, 인(仁)은 덕(德)의 근본이고 의ㆍ예ㆍ지ㆍ신은 그 한정으로서 오상(五常)이 구조적으로 해석되어 왔으며, 이것은 주자학으로 완성되었다.
이리하여 인은 학자가 제1로 삼아야 할 것이며, 그 실현은 인의 규정에 따라서 천지 만물 만민의 생의를 직접 공감하는 체인(體認)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명도의 사상은 직관, 체인을 특징으로 한 데 비하여, 아우인 이천은 분석적, 사변적 태도와 엄격한 도덕주의를 본령으로 하였다.
이천은 '역'(易)의 '일음일양'(一陰一陽) 즉 '도'(道)라는 명제에 대하여 음양은 기(氣)로 형이하학적인 것이고 도는 음양의 '이유'(所以)로서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양자를 차원을 달리하는 것으로 보았다. 윤리설에서는 '성즉리'(性卽理)의 명제를 세워 성선설을 천리로 삼아 절대화하고, 성을 천명(天命)의 성과 기질(氣質)의 성으로 나누고 또한 성과 정(情)을 구별하였다.
여기서 '천리'를 세우고 '인욕'(人欲)을 멸한다는 엄숙주의가 나오는 것이다. 이천은 '이'의 분석적 추구, '격물궁리'(格物窮理)를 강조함과 동시에 '경'(敬)을 통하여 마음을 수양하는 '거경'(居敬 ; 마음의 집중)이란 방법을 중시한다. 유일 절대한 '이'를 대상으로 하는 '궁리'는 실증적인 것이 아니라 관념적이기 때문에 '거경'이 '궁리'의 정신적 태도로서 강조되었다. 주자(朱子)는 명도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이천의 사상을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주자학의 골격을 세웠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자 [程子] (철학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