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방언詩 모음
2015년 02월 08일 09시 23분  조회:7502  추천:0  작성자: 죽림

진달래꽃(함경도판)
내가 베기시러서
가게쓰믄
조요이 보내주겠슴다
 
에미나와 가치가게쓰믄
진달래꼬츠
마이따다 까라주겠슴다
 
꼬라지 베기싫게 가는 기레
짜악 쁘레노은 꼬츨
쫑발처럼 스으슬 발브며 갑소
 
내가 베기시러워서
가게쓰믄
가다 뻬대기 끄너져도 눈물
아이 흘리겠슴다




------------------------------------------------------------


김소월의 시 "진달래 꽃 버전"| ♥╋━ ♡° 
 

 

 첨부이미지  


김소월의 시 "진달래 꽃 버전"

 

사투리 버전 

 

원본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에 약산 
진딜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경상도 버전>


내 꼬라지가 비기 실타고 
갈라카모 

 

내사마 더러버서 암 말 안코 
보내 주꾸마 

영변에 약산 
참꽃

 


항거석 따다 니 가는 길에 
콱 뿌리 주꾸마 

니 갈라카는 데마다 
뿌리둔 그 꼬철

 


존나게 삐대발꼬 가뿌리라 

내 꼬라지가 비기 시러 
갈라 카몬 

 

내사마~ 존나게 패 직이 삔다 케도 
조또 울 끼다 ~마

퍼떡 가삐리라 꼴도 비기실타!

 

 


<충청도 버전>

이제는 지가 역겨운 감유 
가신다면유 어서 가세유 
임자한테 드릴건 없구유 

앞산의 벌건 진달래 
뭉테기로 따다가 가시는 길에 
깔아 드리지유 

가시는 걸음 옮길 때마다 
저는 잊으시유 미워하지는 마시구유 
가슴 아프다가 말것지유 어쩌것시유 

그렇게도 지가 보기가 사납던가유 
섭섭혀도 어쩌것이유 
지는 괜찮어유 울지 않겄시유 

참말로 잘가유 
지 가슴 무너지겼지만 
어떡허것시유 잘 먹고 
잘 살아바유 ~~




<제주도 버전>


나 바레기가 권닥사니 벗어정 
가고정 헐 때랑 
속 숭허영 오고셍이 보내주꾸다 

영변의 약산 진달레꽃 
가득 토당 가고정헌 질에 
뿌려주쿠다 
가고정헌 절음절음 
놓인 그 꼿을 
솔때기 볼드명 가시옵서게 

나 바레기가 권닥사니 벗어정 
가고정 헐 때민 
죽었자 아니 눈물 흘리쿠다게




<전라도 버전> 
나가 싫다고야 
싸게 가부더랑께 
워메~나가 속상하겨. 
주딩 딱 다물고 있을랑께 

거시기 약산에 참꽃 
허벌라게 따다가 마리시롱 
가는 질가상에 뿌려줄라니께 

가불라고 흘때마다 
꼼치는 그 꽃을 살살 발고 
가시랑께요


나가 골빼기 시러서 
간다 혼담서 
주딩이 꽉 물고 밥 못 쳐묵을 
때까지 안 올랑께 

신경 쓰덜말고 가부더랑께 
겁나게 괜찬응께 워메 ~ 
참말고 괜찬아부러~요 잉 

뭣땀시 고로코름 허야 써것쏘이? 
나가 시방 거시기가 허벌나게 

 

거시기 허요이~~ 
 

<강원도 버전>


나보기기 기 매해서 
들구버질 저는 
입두 쩍 않구 고대루 
보내드릴 기래요 

 

영변에 약산 빈달배기 참꽃 
한 보뎅이 따더 내재는 

 
질라루 훌훌 뿌레 줄기레요 
 


내 걸리는 발자구발자구 
내꼰진 참꽃을 
지져밟고 정이 살페 가시우야 

나 보는 기 재수바리웁서 
내 툴저는 
뒈짐 뒈졌지 찔찔 
짜잖을 기래요

보기실타 앙 쿠나~~고마 날라가삐리자~섬발!

 

 
 
 



 
 
 
모바일글 웃드르 놈과 갯거시 년 (제주방언시)  



 

웃드르 놈과 갯거시 년

숲속의 천사

웃드르 놈이 똠을 딱으며 우연내 대밭디 강
야물고 좀진 대낭을 베어 온다.
고망우럭을 잡젠 혼팔 크기의 철사를 쫄라 체비를 한다.
각시는 식은 밥에 물외와 촐래를 챙기고
둘이서 혼시간을 걸엉 갯거시 바당에 간다.

한창 우럭이랑 보들락, 어랭이를 낚다가
식은 밥에 우럭을 회쳐서 된장에 찍어 먹는다.
각시는 조끝디서 보말과 구쟁기를 줍는다.
저 멀리서 갯거시 년이 앙작쉬를 하고 있다.
빨리 나옵서게...... 빨리 나옵서게......
웃드르 놈은 들은 척도 안한다.
갯거시 년들이 다구리로 바당에 들어왕 나가라고 악다구니질을 한다.

웃드르 놈은 이 바당이 니네 바당이냐 하니
갯거시 년들이 목에 심줄을 세우며
우리 바당이우다.... 나갑써.... 한다.
각시는 서방 조끝에 성 쌉지 말라고 홀목을 끈다.
웃드르 놈은 각시가 이끄는 데로 나가면서 말한다.
앞으로 갯거시 년놈들은 웃드르에 와서
고사리 꺽으면 가만 안둔다고 욕지꺼리를 한다.

싸움 구경을 하던 어떤 놈이 빙세기 웃는다.
이 놈은 알드르 놈이다.



모바일 작성글 제주방언 시-3| ♠▷ ▒☞ 
|

쏘곱에 든 거 하부난


쏘곱에 든 거 하부난 (속에 든게 많아서)
지들와젼 몸이 무겁다(눌러져 몸이 무겁다)

데멩이 쏘곱에 욕심(머리 속에 욕심)
눈 귀 쏘곱에 나잇살(눈 귀 속에 나잇살)
입 쏘곱에 능낙거리는 셋버닥(입 속에 잘난체하는 혓바닥)
배 쏘곱엔 똥덜(배 속에는 똥들)

초초 무거워져 가난(차차 무거워져 가니)
땅 쏘곱이 보뎌가는 셍인고라(땅 속이 가까워지는 모양인지)
자꼬 꿈에 시꾸왐쩌(자꾸 꿈에 나타나네)




 


모바일 작성글 제주방언 시 - 4| ,
 
어멍의 타령(어머니의 타령)

게난 마씀(그러게나 말입니다)
보리씨도 뿌려사 홀 건디(보리씨도 뿌려야 할 건데)
고실 고믐 질게 들언(가을 가뭄 길게 들어서)
영도 정도 못허연 오장 데와졈신디(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 오장 비비꼬이는데)
작산 놈은(다큰 녀석은)
어느 죽산이가 들려신디사(어느 귀신이 달라붙었는지)
오널도 뺀주룽이 촐련(오늘도 번지레반듯 차리고)
기타 들르곡 허천더레 돌아나수께(기타들고 헛곳으로 달아났습니다)
어드레사 가신디 풀골개비 달믄것광(어디로 갔는지 청개구리 닮은것하고는)
무신 살을 이섬수과게(무슨 살아갈 일이나 있나요)
버슬어옴이랑마랑 먹성만 좋아 마씀(벌어오기는커녕 먹성만 좋습니다요)
부름씨라도 잘 들으카(심부름이라도 잘 들으랴)
무싱거엥 고르민 핏작만 허곡(뭐라 말하면 토라지기만 하고)
게고재고 장게라도 가블민 좋주마는(그러고저러고 장가라도 가버리면 좋지마는)
경허염뎅 호영 확(그리한다 해서 확)
돌라불지도 못 허곡(도로 바꿔버리지도 못하고)...


말 안드는 아들 때문에 어머니의 속은 타서
동네 삼춘 붙들고는 신세 타령하시나 봅니다.
이런 아덜 하여 나실거라예(이런 아들 많았을 겁니다)
제주에는 장마가 시작되네요~
좋은 하루 되시고,
하루 감사히 만끽하시길....^^♥

 

@(추가 방언시_)ㅡㅡㅡ


영둥할마이가

올라갈라 카능강

날씨가 엄청 칩다

 

날씨가 칩어서

장사는 하낱도

안 되는데

 

옹기장사 할매는

옹구리고 앉았고

 

소깝장사 할배는

움추리고 앉았다

 

- 「남문시장」 전문 

 

묻어 논 짐장독 하나를 새로 헐었다고

동네 아낙, 대여섯이 대청마루 양지 쪼오에

오복히 모있다

 

모락모락 짐이 나는 방금 해낸

따신 보리밥이 한 양푸이

 

허슬허슬한 보리밥을

누리끼리한 놋숙깔에다가

북태산겉치 퍼담고는

 

온통 군동네가 등청登廳을 하는

질쭉한 묵은 짐장뱁추짐치 한 잎사구를

두 손으로 부욱 찢어서

똥구락키 따배이로 틀어

 

보리밥 우에다가 얹고는

볼때기가 오볼티이겉치

미어터지두룩 아죽아죽 씹는데

 

그 맛이랑 기이

얼매나 기차 차던지

 

이때 망쿰은

사우가 꽃가매로

태야준다 캐도 싫고

 

늙은 배껕 영감이 주착맞구로

초지역 나절도 안 돼서

요대기 깔자 카는 것도

마카 기찮을 정도라 카이끼네

 

-「두 손으로 부욱 찢어서 묵는 짐장뱁추짐치 잎사구 맛」 전문

 

 



  ## 고훈식 님 시.....우리 하르방.

 

우리 하르방은                          우리 할아버지는 

우리 아방의 아방                      우리 아버지의 아버지

아방보다 제라헌                       아버지 보다 높은

하늘 아방                                하늘 아버지

 

물애기인 나를 도랑                    어린 나를 데리고

물모루가 봐지는 갯곳듸 상           수평선이 보이는 포구에 서서

해굴메에 물든 구름을 보래던        노을에 젖는 구름을 바라보시던

탑아래 보재기                           탑하동 어부

 

아꼬운 손지 웃는 놋 보젠             아까운 손자 웃는 얼굴 보려고

나 발꼬락을 조글리고                  내 발가락에 간지럼 주고

수염을 다듬던 손으로                  수염을 쓰다듬던 손으로

나 조쟁이 타먹는 숭내허멍           내 꼬추를 따먹는 시늉하며

돌하르방고찌 웃단 하르방            돌하르방처럼 웃던 할아버지

 

풀오름 꿩 동산에 오꼿 누워내       풀오름 꿩 동산에 영원토록 누워

바당이 그리운 내 모음 소곱으로    바다가 그리운 내 마음 깊이

탑아래 보름 소리를 듣고 계시네.   탑하동 바람 소리를 듣고 





               ##고훈식님 시. (놈이 대동= 남과 똑같이)

 

 

하다 놈 추그리는 말에                         절대로 남 유혹하는 말에

앞이 나상 놉뜨지 말곡                         앞장서서 날뛰지 말고

놈 곧는 말은 곱갈랑                            남이 하는 말 잘 분별하여

놈의 대동(對同)허라                           남과 똑 같이 행동하라

줄을사도.모영 아자도                          줄을 설 때도.모여 앉아도

사름 한듸 붙으곡                                사람이 많은곳을 선택하고

혼 번 생각헐 거                                  한 번 생각 할거면

요라번 생각허영                                 여러번 생각 하면서

이루후제 어떵 될 것도                         앞날이 어찌 될 것인지

궁퉁이 내멍 여산 허영                         대처 방안을 구하고

놈도 솔피멍 새경보지 말곡                   상황따라 옳게 판단하면서

혼진내 맹심해사 헌다.                         항상 신중을 기해야 한다.




##고훈식 님 시 (돌우럭)

 

 

해초 왕상헌 제주 바당                             해초 우거진 제주 바다

원담 고망 고망                                       원담 구멍마다

자자 손손 대물린 집이 싯덴                      자자 손손 대물린 집이 있다고

튀어난 눈광 개작헌 입으로                       튀어나온 눈과 큰 입으로

요망진 체 허지 마라                                으시대지 마라

 

고망 우럭이                                           돌 우럭이

망망대해를 호령가달허는                         망망대해를 주름잡는

상어의 기십을 어떵 알멍                          상어의 기백을 어찌 알 것이며

물애기 적 고향을 촛아가는                       유년의 고향으로 달려가는

연어의 어진 모음을 어떵 아냐                   연어의 갸륵한 마음을 어찌 알까

 

게도 고망 우럭도                                    그러나 돌우럭도

아는 것이 싯주                                       아는 것이 있다

청정해역 바위 트멍에서 솟는                    청정해역 바위틈에서 솟는

천연 용수의 제라헌 맛을                          천연 용수의 깊은 맛을

먼 바당 물궤기덜은                                 먼 바다 물고기들은

잘 모루주기.                                          잘 모를 꺼다.

 



               ##고훈식 님 시...밀감이 익는 섬



동새벡 으남 읏어진 섬 소방에                       새벽 안개 걷힌 섬 둘레에

골메덜 노난 희여뜩허다                               갈매기 떼  어지럽게 날고있다

발동선이 통통통 기계 살룹자                        통통통 발동선 기계소리 나자

담베 폭세기 먹는 사름덜 욥이서                    담배 피우는 사람들 옆으로

김밥 먹단 여조덜이 손을 흥근다                    김밥 먹던 여인들이 손을 흔든다

 

어쳐냑 낚시질허노렌 왓단 난                        엊저녁 낚시질하러 왔던 나는

밤새낭 제우 돌돔 호나 나끄고                       밤 새워 겨우 돌돔 한마리 낚고

곰실 곰실허는 졸아움을 촘으멍                     졸음에 겨운 눈을 참으며

오상 오상 집더레 가는 질이였다                    슬몃슬몃 걸어 집에 가고 있엇다

 

개창에 삿단 아이덜도                                  포구에 서 있던 아이들도

배 앞더레 죽은 생이 놀리듯                          뱃전을 향하여 작은 새를 날리듯

호끌락헌 손을 하영 저신다                           작은 손을 자꾸 흔든다

 

붉은 하늘 웃터레                                        붉은 하늘 위를

노리롱헌 생이가 노는 것 닮안                       노란 새가 나는 것 같아

눈 버룽이 턴 촛안 보니                                눈을 크게 뜨고 돌아보니

곱닥헌 비바리가 벵그랭이 웃으멍                  젊은 처녀가 웃음 띤 얼굴로

아이덜신디 밀감을 데꼄서라                         아이들에게 밀감을 던지고 있었다

 

무사 섬을 떠냐냐고 골메는                           왜 섬을 떠나느냐고 갈매기는

걀걀 삐오삐오.설룹게 웨울럿지만                  걀걀 삐오삐오.서럽게 울었지만

먼동을 헤씨멍 놀아간 밀감은                        먼동을 가로질러 날아간 밀감은

나 머리 소곱에 오고생이 남안                       나의 뇌리에 깊이 새겨져서

수왕수왕헌 바당광 고찌 살 거여.                   싱싱한 바다와 함께 저장될 것이다.

 

 

##고훈식 님 시.....제주도 부자지간

 

우리 아방은                     나의 아버지는 

우리 아덜 하르방                내 아들 할하버지

부자지간이주만                  부자지간이지만

범벅도                          범벅도

금읏 긋엉 먹는 제주도            금을 긋고 먹는 제주도

살림나민                        살림 따로 나면

아덜은 안거리                   아들은 안채

아방은 밖거리                   아버지는 바깥채

독 솖은 아덜이                    닭 삶은 아들이

"고찌 먹게 마씸" 허민          "같이먹읍시다" 하면

"느나 하영 먹으라"허는 아방     "너나 많이 먹어라"하는 아버지

밧 볼리젠 몰 끄성가당            밭 밟으려고 말 몰고 가다가

폭낭 아래서 잠지치멍            팽나무 아래서 엉덩이 치면서

넉동배기허는 아덜 봐져도 속솜    윳놀이하는 아들을 만나도 모른 척

짐진 사름이 팡을 촛듯             짐을 진 사람이 쉴 곳을 찾듯이

지 헐 일은                       자기일은 

지가 알앙 허는거난.              자신 스스로 하는 것이기에.  

 


       ##고훈식 님 시 .....탑동 썰물

 

             탑아래서 산지꼬지 쌀물이 질게 나민             

           바당 소곱이단 듸가 신천지로 욜아진다          

용왕이 맹그라 준 풍요로운 물땅 바당

좀녀들이 야생오리덜고찌 물에 텅

하늘 고득 바끄는 숨비 소리에

바당더레 터정돗단 나도 고찌 들엉

아!허고 감탄사가 지냥으로 나온다

먹돌 호나만 데싸도

먹을 것이 한한허던 탑아래

늘짝늘짝 걷는 폿깅이

모살 소곱에 곱앙 돌 서늉허는 돌킹이

겁이 하난 확 도라나는 듬북깅이

먹보말.수두리보말.메옹이.물도새기.솔치

구쟁기.오분재기.듬북.퍼래.김.톳.미역

바게쓰나 대구덕.주전자에 솜빡 담으멍

바당을 촛는 사름덜은

바롯잡이로 허기를 달랫주

이제도 보리낭 불에

불 췌는 좀녀들의 허벅다리가 생각남져

뭉게 뽈판에 물린 것고찌 울락 불락

제주도를 멕영살린 저 눈물나는 반점

먹돌 호나 데싸도 먹을 것이 푸진 바당

귀허고 귀헌 탑아래 쌀물이

내가 시기지 아니헌 오몽으로

요자락 몬짝 어서질 쭝 알아시민

 

사진 이라도 하영 찍엉 간직헐 것을. 

 


 

                                                                               ##고훈식 님시....큰떡

 

어떵허민 조코?

어떻게 해야 좋을까?

무사마씸?

왜 그러시는 데요?

 

느영 살고판

너하고 살고 싶어서

큰일 남직허다

큰일 날것 같구나

무사 조드람수과?

왜 걱정 하십니까?

큰일나민

큰일나면

큰떡허영 먹곡

큰떡 만들어서 먹고

고찌 살민 되주.

같이 살면 되죠.




 ##고훈식 님 시...우영밭 검질소리(텃밭 김 메는 소리)

 

                                        어랑어랑헌 강알소시를

                                                         야들 야들한 사타구니 근처를

                                        와작착 와작착 또려부난

                                                         힘차고 거칠게 때려 주니까

                                        눈이 왁왁허멍 얼얼허연

                                                         귀와 눈이 캄캄하고 얼얼하여

                                        게미융헌 불이 베롱허다

                                                         희미한 불빛이 겨우 보인다

                                        놈 자는 밤이 햄도 햄쪄

                                                         남들 자는 밤에 너무 지나치네

                                        촘아가라 몬드글락 벗어둠서

                                                         참말이지 홀라당 벗고서는

                                        소나인 백몰탄 장군고찌

                                                         사나이는 백마탄 장군처럼

                                        와드랑 와들랑 들러퀴곡

                                                         힘껏 날뛰고

                                        하근디가 멜라진 지집년은

                                                         이곳 저곳 찌그러진 여자는

                                        행클랑이 갈라진 채로

                                                         대책없이 드러누운 채로

                                        바들랑 바들랑.

                                                         발버둥 치느라고 꼼지락 꼼지락.

 
 

                                                                              ##고훈식 님 시-정낭

 

 

정낭은 제주도 대문이여     낭이 가로걸쳐정 이시민         와땅도 그냥 가사헌다.

정낭은제주도 대문이다                  나무가 가로 걸쳐 있으면                    출입을 삼가야 한다.

호나가 가로 걸청이시민     집안에 사름이 이서도            들어오지 말랜 허는 거고.

하나가 가로 걸쳐 있으면                집안에 사람이 있어도                        들어오지 말라는 뜻이고.

두개가 가로 걸청이시민     동네 잔치나 바릇잡이나         물질이나 검질매레 가부난

두 개가 가로 걸쳐 있으면               동네 잔치나 바릇잡이나                     물질이나 검질메러 가서

아무도 엇덴 허는 거고.

아무도 없다는 뜻이며.

세개가 몬딱 걸청 이시민    몰 촛으레 한라산더레 갓거나  배타고 먼듸 외방 가시난

세 개 다 걸쳐있으면                     말 찾으러 한라산 갔거나                    배타고 멀리 외방 갔기에

메칠 후제 돌아온덴허는 의미여

며칠 뒤 돌아온다는 뜻이다

놈이 집 정낭 앞이선          모음이 코콜해사 헌다            고찌고찌 살아사 허난

남의 집 정낭 앞에선                     마음이 깨끗해야 한다                        더불어 살아야 하니까

지네집 정낭 앞이선           모음이 너르닥해사 헌다         뽀근 안앙 살아사 허난.

자기 집 정낭 앞에선                     마음이 너그러워야 한다                      보듬고 살아야 하니까.

 

                                  ##고훈식님 시 포마시(해꼬지)

 

커싱 커싱 나도 혼가락 헐 때              어진 내가 너미 좋은 각시는

힘이 넘쳐나도 한가락 할 때               착한 내가 너무 좋은 각시는

바당궤기 지정 먹을 때마다                고등어 대가리 골도 뽈아 먹곡

바다물고기 쩌서 먹을 때마다             고등어 대가리 골도 빨아 먹으라고

자리 대가리도 잘 씹어 먹곡               갈치 눈까리도 빠 먹으랭허멍

자리돔 대가리도 잘 씹어서 먹으라고   갈치 눈알도 빼먹으라고 하면서

정성아닌 정성이 지극헌 정성

정성이 넘치는 지극 정성

 

부지런히 살단 보난                          돈도 하영 벌어 져신게

부지런히 살다보니까                        돈도 많이 벌어지던데

세상에 나만 잘난 것 닮안                  각시 정성 옷꼿 잊어버리고

세상에 나만 잘난듯 착각하여             각시 정성 깡그리 잊어버리고

가름도세기고찌                               허천듸 놀래 댕기멍

발정 나서 떠도는 돼지처럼                허방으로 놀러 다니면서

늙언 죽을 벵이 드난                        

늙고 죽을 병이 드니까

 

그 모진 세월에                                독해진 각시가 밥 거려 멕이는디

그 모진 세월에                                독해진 각시가 밥 떠 먹여 주는데

"세계 년들 다 어디 가시?                   멕여 주는 밥이라도 잘 쳐먹으라 "허멍

"세상 년들 다 어디로 갔냐?                먹여 주는 밥이라도 잘 받아먹어라."며

숫가락으로 나 입 팍팍 쥐어박는다.

숟가락으로 나 입 팍팍 찔러 박는다. 




      @@    고랑 몰라 봐사 알주

 

                서 안 나

 

 아주방 고랑은 몰라 마씨 이년 창시 터지는 건 직접 바사 압니다게. 이 노무새끼가예 얼마나 사람을 저들리는지 사람새끼 안될거 닮아마씨. 술 처먹어 그네 놈 자는디 강 유리창은 무사 부수아불 말이꽈게. 집에도 한한한 미깡 놔둬그네 놈이 밭 가그네 미깡은 무사 땀광. 집안에 돈 이신거 알민 그날은 어떻행이라도 돈 팡강 술을 쳐 마셩오니 요 노릇을 어떻허민 조우쿠가. 이추륵 허다그네 나가 먼저 돼싸짐적 해여마씨. 아방 어신거 불쌍허영 물질허멍 울멍 시르멍 키우당 보난 학교도 졸바로 댕기지도 안행 요보록 써보록 매날 바당에만 강 술먹곡 노래 불렀덴 햄수게. 하도 기가 막형 그 놈새끼 잡아당 물어 봐십쥬마씨. 니 무사 겅햅시니. 날 봥이라도 학교 졸바로 댕겨사 헐거 아니라. 어멍 속터졍 죽는 꼴을 봐사 니가 정신을 차릴타. 귓구멍이 왁왁하게 골아도 듣질 않헴수다게. 아이가 눈이영 헤영 헤분 게 원 정신이 아쓱 나가분거 같수다게. 바당서 죽은 아방 귀신이 씌와 부러신가예. 아주방 어떡허믄 조으쿠가. 사람이 지 팔자 타고난데 헙디다만. 저 놈의 새끼도 후제민 정신차령 잘 살아질껀가예. 고등학교라도 졸바로 졸업해야 어디 직장이라도 댕기곡 눈까진 지지빠이라도 만낭 살꺼 아니꽈게. 나사 이제 뭐 볼꺼이수과. 찬바당물에 뛰어들엉 일하는 것도 다 그새끼 하나 잘키우젠 허는 거 아니꽈게. 내 눈물로 이 제주 바당 반착을 채워수다게. 그 새끼 하나 잘 되불민 눈 곰아도 원이 어수다게. 아이고 벌써 시간이 영 되꾸나양. 어떻헙니까게 집에강 그 새끼 미와도 밥이라도 줘사주마씨. 사람하나 맨들어봐야주 마씨게. 가이한티 잘 골앙 여기 보내크메 그 아이 이디 와 시민 잘 달랭 사람 하나 만들어 줍써. 겅해도 아즈방이 이 동네선 학문 젤 많이 헌 사람 아니우꽈게. 아주방이 말허믄 들을 꺼우다게. 이추륵 부탁헴수다.

 

 

<방언시 해설>

 

 말로해선 몰라요 직접 봐야 알지요

 

                              서 안 나

 

 아즈버님 말로해선 몰라요, 이년 가슴 터지는 건 직접 봐야 안답니다. 아들 녀석 하나 있는 게 얼마나 복창 터지게 하는지 사람 되지 않을 성 싶네요. 단잠 자는 남의 집 술 취해서 유리창은 왜 부수는지. 집에 지천으로 쌓인 게 귤인데 남의 귤밭에서 귤은 또 왜 몰래 훔치는지. 집안에 돈 있는 거 아는 날이면 어떻게든 그 돈 찾아내어 밤새도록 술 마시고 들어오니 이 노릇을 어떡하면 좋을까요. 이러다간 내가 내 명에 못살것 같아요. 애비 없는 게 불쌍해서 물질하면서 키웠는데. 학교도 제대로 가지 않고 매일 바다에 가서 술 마시며 노래만 불렀다고 하더이다. 하도 기가 막혀서 그 녀석 잡아다 물어보았죠.  도대체 너 왜 그러니. 에미 속 터져 죽는 꼴 보고 싶냐고 수천 번을 말해도 애 눈동자 허옇게 휘휘 풀어진 것이 바다서 죽은 지 애비 귀신이 들러붙었는지. 아즈버니 이를 어쩌면 좋아요. 말로만 들어서는 몰라요 봐야 알죠. 사람 팔자 다 타고 태어난다고 하지만 고등학교라도 제대로 졸업해야 칠칠찮은 여자라도 만나 살림이라도 차리죠. 추운 바다에 뛰어드는 것도 다 그 녀석 잘되라고 하는 일인데. 내 눈물로 이 제주바다 반은 채웠을 거랍니다. 나야 다 산 인생이고 그 녀석 하나 잘되면 눈감아도 원 없지요. 마음이 썩어 문드러지네요. 아 벌써 시간이 이리 되었네요. 가서 그 미운 녀석 밥이라도 차려줘야지요. 할 수 있나요 그래도 사람 하나 만들어야죠. 아즈버님이 이 마을서 공부도 제일 많이 헌 분이니까 아즈버님 말은 들을 꺼에요. 녀석 잘 달래서 여기 보낼테니 녀석 왔으면 말 좀 잘해주세요. 사람 하나 만들고 봐야 되잖아요.


 

  달래나 보지

 

             김룡호

 

 

북간도라 연변, 용정에 가면
지금은 <달라재>라 부르지만
본래는 <달래나보지>라 불렀다는
이름 하나 괴상한 고개가 있쑤꾸마

옛날 뉘기네(어느집) 누애(누나)와 오래비가
비속에 저 재(고개)를 넘다가
누애의 비에 젖은 엉치(엉덩이)를 본 오래비가
아주 짜른(짧은) 순간이나마
당치않은 생각을 가졌다꾸마

자꾸자꾸 머리 쳐드는 그놈을 못이겨
재마루에 달려간 오래비는
그러는 자기가 너무 밉어서
그러는 자기가 너무 개씸해서
철없는 그것을
크다만 바위돌에 짓찧어 죽었다는 고개이꾸마......

누기두 모르는 사연인데두
다만 누애라는 한가지 이유로
어쩌면 
아 어쩌면 저럴수가 있슴두.......

죽은 오래비를 본 누애는
너무 너무 안타까와서
너무너무 맴(마음)이 아파서
<달래나보지... 달래나보지...>
이러메(이러면서) 그냥 통곡을 하다가
그대루 낭기가 되었다꾸마............

지금두 비가 오구 바람 부는 날이문
고개마루 이깔나무숲에서
<달래나보지...... 달래나보지.......>
슬픈 흐느낌이 듣긴다는 저 고개

오래비덜이 넘기에는
너무 송구스러운 고개이꾸마
누애들이 넘기에는
너무 숨가쁜 고개이꾸마.......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 한국 문학상들 모음 2015-02-12 0 4987
32 수수께끼 유머 100선 2015-02-11 0 4423
31 하늘이 주는 세번의 기회... 2015-02-11 0 4591
30 하루에 한가지씩... 2015-02-08 0 3888
29 연변방언 모음 2015-02-08 2 6929
28 방언, 그 재미... 2015-02-08 2 5633
27 방언詩 모음 2015-02-08 0 7502
26 영상시 제작 방법 2015-02-07 0 5826
25 시어록편 ㅡ 최룡관 정리 2015-02-04 3 4405
24 <<동방문학>>에 실린 하이퍼시 한수 2015-02-04 0 3539
23 이육사문학제 유치를 위해 뛰다 2015-02-03 0 6141
22 한국 교보문고 시집 광고 2015-02-03 0 4863
21 두만강여울소리 시탐구상 2015-02-03 0 5318
20 시;- 나의 새 일기장 2015-02-03 0 4834
19 가사와 시;- 다시 만납시다... 2015-02-03 0 5032
18 시;- 새벽(건), 새벽(곤). 2015-02-03 0 4865
17 가사;ㅡ <<하늘, 그리고 죽림동 아버님>>, 자웅편;- <<새벽, 그리고 죽림동 어머님>> 2015-02-03 0 4774
16 가사;ㅡ 두만강아가씨 2015-02-03 0 5288
15 흑룡강신문 윤운걸 보도 2015-02-03 0 5505
14 연변일보 해란강문학상 2015-02-03 0 3964
13 시;- 빛의 하루 2015-02-03 0 4844
12 시;- 나는 두만강 하얀 물새 2015-02-03 0 3747
11 가야하문학상 2015-02-02 0 4101
10 조글로 보도 2015-02-02 0 3749
9 길림신문 김태국 보도 2015-02-02 0 4626
8 한국 경북매일 기사 2015-02-02 0 3898
7 <<연변모이자>>기사 2015-02-02 0 5079
6 대구시인학교에서 2015-02-02 0 4770
5 흥천사에서 2015-02-02 0 3567
4 삼합 두만강역에서 2015-02-02 0 4563
3 시;- 8월의 그 어느날 2015-02-02 0 3833
2 시;- 새해를 위하여 2015-02-02 0 3690
1 그때 그시절... 2015-02-02 0 5429
‹처음  이전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