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사람처럼 보이게 그린 <란> 그림
2015년 02월 15일 08시 59분  조회:2604  추천:1  작성자: 죽림

장일순 선생 13주기를 맞으며

 

 
▲ 무위당 장일순 <묵란>.
 
 
 
 
▲ 무위당 장일순 <묵란-어머니>.
 
 
 


5월 22일은 무위당 장일순 선생이 돌아가신 13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아직도 선생의 이름을 기억한다면, 그 사람은 한 때 세상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선생의 이름은 그런 이름입니다. 그래서 '당대의 지성' 리영희 선생은 밤을 새우며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이 떠났다며, 선생의 영전 앞에서 울먹이며 조사를 읽으셨습니다.


세상이 온통 적막하여, 숨소리를 내기조차 두려웠던 지난 30여년 동안, 선생님은 원주의

그 곳을 찾는 이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주었습니다.

싸우는 전선에서 비틀거리는 자에게 용기를 주시고, 싸움의 방법을 모색하는 자에게는

지혜를 주셨습니다. 회의를 고백하는 이에게는 신앙과 신념을 주셨고, 방향을 잃은

사람에겐 사상과 철학을 주셨습니다. 

선생님은 언제나 공과 영예를 후배에게 돌리시는 민중적 선각자이시고 지도자셨습니다.

원주의 그 잡초가 무성한 집은 군부독재 하에서 치열하게 싸우다가 지친 동지들이

찾아가는 오아시스였고, 선생님은 언제나 상처받은 가슴을 쓰다듬는 위로의 손이셨습니다."

그렇습니다. 선생은 남들이 추켜주면 우쭐해질 수 있다며, 조 한 알이라는 호를 사용하며

자신을 다스리신 그런 분이셨습니다. 그런 선생이 저희 곁을 떠난지가 벌써 13년이 되기에,

선생께서 남기신 난초 그림들을 통해 선생의 가르치심을 돌이켜봅니다. 

조 한 알, 땅 속에 묻혀 무성하게 자라날 

 

 
▲ 1974년 지학순 주교의 재판소식을 알리고 있는 <가톨릭시보>와 구속 중이던 김지하 시인.
 
 
 

선생은 1928년 원주시 평원동에서 태어나셨습니다. 생전에 여러가지 호를 사용하셨으나,

가장 알려진 호는 70년대에 사용한 '무위당'과 80년대에 사용한 좁쌀 한 알

('일속자, 一粟子')입니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 여운 장경호 밑에서 한학을 익힌 것이, 훗날 난을 치고 글씨를 쓰는

밑바탕이 되었습니다. 1940년 원주초교를 마치고 배제고·경성공전(현 서울공대)에

입학했지만, 해방 후 미군대령의 총장 취임을 핵심으로 하는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안

반대투쟁의 주요 참여자로 지목되어 제적됐습니다. 

그 후 선생은 파란만장한 정치적 역경을 겼으셨고, 감옥에서 나오신 후에는 원주에서

난을 치며 마음을 다스리셨습니다. 그리고는 원주가 '70년대 민주화의 성지'가 되는

산파 역을 묵묵히 수행하셨습니다. 

그래서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선생을 '1970년대 민주화 운동의 숨은 지도자'라고

기억합니다. 그리고 80년대에 광주가 있었듯 70년대에는 원주가 있었다고 말합니다.

유신독재 시절에 있었던 천주교 원주교구의 선구적 저항, 가톨릭농민회의 민중운동을

선생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무위당 장일순 <묵란>.
 
 
 
 
▲ 무위당 장일순 <묵란>.
 
 
 

1974년의 '민청학련 사건'으로, 김지하· 유인태·이철 등이 공산주의 단체로 부터 공작비를

받아 정부를 전복하려 했다면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지학순 주교는 "내가 학생 단체에

돈을 줬다, 그러나 그것은 민주화를 위한 활동 자금이었다, 공산주의 단체와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 공산주의라니 얼토당토 않은 말이다" 라는 충격적인 발표를 했습니다. 

그리고 지 주교는 '자금책'이라는 죄목으로 징역 1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그러자 국내외

 여론이 들끓었고, 유신정권은 학생들을 먼저 석방하고 며칠 후 지학순 주교도 석방했습니다. 

그러나 지학순 주교의 '양심선언'은 무위당 장일순 선생의 아이디어였습니다. 선생은 학생

들을 살려야겠다는 일념으로 지학순 주교를 찾아갔습니다. 그리고는 '지 주교님이 나서주

셔야겠습니다'라며 눈물로 호소했고, 지 주교는 선생의 뜻을 흔쾌히 받아들이며 감옥으로

 갔습니다. 

징역살이를 해달라고 부탁하신 선생이나, 징역을 살겠다고 가신 지 주교님이나 모두

대단하신 분들입니다. 

지학순 주교의 구속을 계기로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 결성되었고, 이 사제단은 훗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폭로하면서, 6월항쟁의 결정적 계기를 만들었습니다.

혁명에서 출발하는 생명운동

 

 

▲ 무위당 장일순 <무진역경 인욕도행 - 끝도 없고 한도 없는 어려운 경우는 욕된 것을

참는 일이니라>

 
 
 

선생은 우리나라 생명운동의 창시자이십니다. 그러나 선생의 생명사상은 혁명론에서 출발합니다. 

"혁명은 따뜻하게 보듬는 것이다. 혁명은 새로운 삶과 변화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새로운 삶이란

폭력으로 상대방을 없애는 게 아니고, 닭이 병아리를 까내듯이 자신의 마음을 다 바쳐

하는 노력 속에서 비롯되는 것이다"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런 선생의 사상은 훗날 생명사상으로 이어지면서 김지하 시인에게 전달되었습

니다. 그래서 선생에게 난치는 마음을 배우고 생명사상을 배운 김지하 시인은,

자신의 시 '남'에서 "혁명은 보듬는 것, 혁명은 생명을 한없이 보듬는 것" 이라고 노래했습니다. 

선생은 민주화 인사나 명망가들만 상대하시지 않으셨습니다. 이웃들의 경조사·대소사를

챙기시고, 그들의 기쁘고 슬픈 일을 모두 들어주시는 분이셨습니다. 

위의 그림은 원주시내 한복판에서 밥집을 하는 이영순이라는 분이 일생에서 가장 힘든 일을

 당하자 주신 작품입니다. 그런데 선생께서는 밥집하는 아주머니가 한문을 잘 모르실 것

같아 다른 종이에 해설을 써주셨고, 이영순이라는 분은 용기와 희망을 얻었습니다.

선생의 섬세함과 자상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일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생은 그런 분이셨습니다. 밥집 아주머니 뿐 아니라, 원주의 창녀도 소매치기도 모두

선생의 자식이고 동생이었습니다. 아는 아주머니 돈을 훔친 소매치기를 찾아 돈을 돌려

주게 하고는, 영업 방해해서 미안하다며 밥과 술을 사주시는 그런 분이셨습니다. 

선생의 난을 보면, 난을 그린 것이 아니라 사람을 그리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무위당 난'의 특징이고 선생의 마음입니다. 

"난을 치되 반드시 난이 아니라 이 땅의 산야에 널려있는 잡초에서부터 삼라만상이 다

난으로 되게 해서, 시나브로 난이 사람의 얼굴로 되다가 이윽고는 그리고 부처와 보살의

얼굴로 되게끔 쳐보는 게 내 꿈일세." - 무위당 장일순 어록 중에서 

선생은 이런 마음으로 난을 치셨기 때문에, 그림을 줄 상대의 이미지와 비슷한 난을

치셨고, 글의 내용도 받을 사람에게 어울리는 내용을 써주셨습니다. 

'무위당 난'에는 사람이 있네 

 

 
▲ 무위당 장일순 <둘은 하나로 말미암아 있는 것이나, 하나 마저도 지키지 말라>
 
 
 
 
▲ 무위당 장일순 <나무아미타불>
 
 
 

 

선생은 말년에 노자에 심취하셨습니다. 그래서 노자적인 그림과 경귀를 많이 쓰셨고,

노자에 대한 책도 출판하셨습니다. 이런 선생의 모습을 리영희 교수는 이렇게 회상하셨습니다. 

"저는 장 선생님의 삶이 노자가 말하는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삶 그 자체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인간의 자연스러운 삶이라는 것은 인간도 자연의 현상이지 자연과 대립하는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는 성찰에 따라 자연과 무한으로 합일하고 살아가는 아주 이해하기도

실천하기도 지극히 어려운 것을 체현한 삶이지요." - 리영희·<무위당을 기리는 사람들>

소식지 제2호에서(2001년 11월 1일) 

선생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지만, 다른 종교에 대해서도 열린 마음으로 대하셨습니다.

그래서 선생의 집에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들락거렸고, 이 작품은 혜선보살이라는

분에게 국화주 한잔 마시고 그려주셨습니다. 

"유가(인가 하면 불가요, 불가인가 하면 노장이며, 노장인가 하면 또 야소의 참얼을

온 몸으로 받아 실천하여 온 독가였던 선생은, 무엇보다도 진인이었다." - 김성동(소설가) 

선생은 이런 분이셨기에 젊은 사람들과 육담도 하셨습니다.

광주 출신의 소설가 송기원이 선생에게 "광주는 남자고 원주는 여자"라며 손으로 남녀

성기의 모습을 만들며 "광주 민주화 세력이 원주보다 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선생께서도

손으로 여자 성기의 모습을 만들며, "이보게, 여기에 이것이 들어가면 어느 것 하나 살아나

올 수 없어. 뭔 소리하는 거여?"라며 좌중을 웃음바다로 만드시는 그런 분이셨습니다.

흔쾌히 그리지만 팔지는 않았던 난

 

 
▲ 무위당 장일순 <묵란>
 
 
 
 
 
▲ 무위당 장일순 선생님.
 
 

 

이 작품의 화제는 '날마다 날마다 세 가지 반성하면서 마음을 씻는구나'입니다.

그래서 난의 모습도 반성하는 듯한 표정입니다.

선생은 난이나 글씨를 파신 적이 없습니다. 찾아오는 사람이 반가워 그려주시고,

써주셨습니다. 젊은이들이 찾아와 운동자금 마련하려 한다고 부탁드리면 몇 장이라도

흔쾌히 그려주시던 그런 분이셨습니다. 

난과 글씨 뿐 아니라, 추천장을 써달라면 즉석에서 써주셨고, 
빚 보증을 서달라면

서주시는 그런 분이셨습니다. 

선생은 이렇게 한 생을 사시며 한없이 자신을 낮추신 분이셨습니다. 그래서 선생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고, 매해 추모행사를 열며 선생의 가르침을 회상합니다.

올해 5월 22일에도 어김없이 추모행사가 열리고, 행사 후에는 문화행사도 곁들입니다.


많이들 가보시길 바라며,

다시 한번 무위당 장일순 성생님의 영전에 고개를 숙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3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3 기적적인 살빼기 성공 2015-03-04 0 2242
52 초현실주의와 나와 또한 보는 너... 2015-03-04 0 2741
51 백석 시와 그림 2015-02-24 0 2225
50 두만강 따라 2015-02-21 0 1993
49 사진에서의 기호학 2015-02-19 0 2281
48 미술에서의 기호학 2015-02-19 0 1927
47 그림은 있고 향기는 없고... 2015-02-19 0 2336
46 ? = ! 2015-02-16 0 1972
45 가장 비싼 명화 모음 2015-02-16 0 3767
44 휴지 모음 2015-02-16 0 1963
43 세상에서 제일 2 2015-02-16 0 1902
42 마음을 움직이는 사진 2 2015-02-16 0 1796
41 마음을 움직이는 사진들 2015-02-16 0 1664
40 그림위에 누워서... 신비한 그림 2015-02-15 0 2086
39 화가 다빈치 2015-02-15 0 2270
38 세계 개선문 2015-02-15 0 2532
37 화가 마티스 2015-02-15 0 3265
36 피카소와 마티스 2015-02-15 0 5672
35 화가 피카소와 녀인들 2015-02-15 0 4539
34 피카소의 도자기 그림 2015-02-15 0 2492
33 가마우지 2015-02-15 0 5450
32 국화 스케치 2015-02-15 0 2483
31 손그림자 놀이 2015-02-15 0 8695
30 재미있는 사진 모음 2015-02-15 0 2119
29 그 어느 날 한마리 개는... 2015-02-15 0 2837
28 그림으로 보는 조선시대 생활상 2015-02-15 0 2781
27 웃기는 사진 몇장 2015-02-15 0 2797
26 세상에서 제일 아름다운 신발 2015-02-15 0 2546
25 우표에 오른 중국 소수민족 2015-02-15 0 2012
24 어탁(魚拓) 2015-02-15 0 3867
23 미리 써보는 弔詞 2015-02-15 0 2741
22 사람처럼 보이게 그린 <란> 그림 2015-02-15 1 2604
21 그림같은 사진 2015-02-15 0 2299
20 존 레논의 삽화 2015-02-14 0 2485
19 연필의 이미지 2015-02-14 0 1742
18 아름다운 길 2015-02-14 0 2702
17 세계 거장들 명화 2015-02-13 0 2386
16 竹林圖 2015-02-12 0 3000
15 중국 10개 별난 집 2015-02-12 0 2079
14 괴상한 건축 모음 2015-02-12 0 2528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