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백하
2015년 04월 05일 15시 11분  조회:4282  추천:0  작성자: 죽림
 
박세영
 
   

박세영
(朴世永, 1907~1989)
경기 고양 출생. 
1946년 월북.

새 옷을 입으련다
- 어린이날에 보내는 노래

박세영

할아버지 우리나라 빼앗겼고
아버진 울며 살았는데
우린 해방을 맞았다

아주 잃을 뻔한 조선
누구나 일해야 산다는
우리 새나라의 일꾼이 되련다

욕심쟁이도 없고 거짓도 없고
가난뱅이도 없다는
빛나는 새나라 사람이 되련다

너털뱅이 헌옷을 빨아 입는 것보다
우리 새옷을 입으련다
다 같이 입으련다

동무야! 온 조선의 동무야!
우렁차게 외치자 오늘 어린이날에
한마음 되어 달려나가자

시인 박세영(朴世永, 1907∼1989)은 우리 문학사가 잃어버린 여러 문학인 중의 한 분이다. 그는 일본 강점기 때 카프의 맹원이자 비해소파로 굳건한 신념을 지닌 인물이자, 해방 이후 1980년대 말까지 주*문학의 선구자로 조선문학인 가운데 가장 중심적 위치의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그의 대표작은 시집 《산제비》(1938)와 《류화(流火)》(1945), 《진리》(1947), 《승리의 나팔》(1945), 《박세영시선집》(1956), 《밀림의 역사》(1952), 《박세영 동시선집》(1962) 등이다.

그의 시에 대한 학계, 비평계의 평가는 “자연을 통해 시대적 울분과 회상을 술회한 불안문학”(백철), “대륙적 풍모와 남성주의”(김재홍), “항일문학의 실천적 지성”(윤여탁), “아지프로가 강조된 교술적인 서술시”(황정산), “민족애의 발현, 유이민의 비애감, 자연과의 합일의지 표현”(심치열), “서간체 시적 양식의 개발”(박은미), “디아스포라의 표현”(박수연), “정치적 신념을 지키고자 노력한 시인”(최명표) 등으로 요약된다. 가장 대표적인 시로 거론되는 작품 〈산제비〉는 ‘산제비’라는 시적 대상물에 의탁하여 자유와 리상, 해방의 도래에 대한 자신의 꿈을 상징적 기법으로 노래하고 있다. 감상적 회고나, 랑만적인 전원시에 머물지 않고 시인의 의지를 시적 대상을 통해 형상화하면서 그 수준을 점차 심화시켜간다.

산제비야 날아라
화살같이 날아라
구름을 휘정거리고 안개를 헤쳐라
땅이 거북등같이 갈라졌다
날아라 너희들은 날아라
그리하여 가난한 농민을 위하여
구름은 모아는 못 올까
날아라 빙빙 가로 세로 솟치고 내닫고
구름을 꼬리에 달고 오라

— 〈산제비〉 부분

시인 박세영은 1902년 7월 7일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두모리에서 출생하였다. 호는 백하(白河)이다. 극도의 가난 속에서도 위축되지 않고, 오히려 주변의 힘겨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도우며 노력과 희생정신으로 살아갔다. 서울 배재고보 출신으로 송영, 나도향, 김복진, 박팔양, 김소월, 윤극영, 이기영, 윤기정, 박영희, 임화 등과 교유하였다.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에 뜻을 두고 카프의 핵심 멤버로 사회주의계열의 각종 동인지 및 사화집 발간 활동을 펼쳤으며, 필화사건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기도 했다. 8·15해방도 청진 감옥에서 맞았다.

조선문학가동맹 중진으로 활동하다가 1946년 전반기에 월북하여 북조선 문예총에 가담하였다. 주로 찬양과 주민들에 대한 노력 혁신, 선전선동을 위주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였고, 1959년에는 조선의 〈애국가〉를 작사하여 국가 2급 훈장을 받았다. 이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문예총 국가상임위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중앙위원, 작가동맹 상무위원 등을 지내는 등 조선문학의 중진으로 활동하다가 1989년 2월에 사망하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시인의 문학관 2015-02-19 0 4356
82 김수영 론, 박치원 론 2015-02-19 0 4759
81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5028
80 포스트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540
79 현대시의 리해 2015-02-19 1 4487
78 하이퍼시에 관한 고견 2015-02-19 0 4657
77 하이퍼시의 리해 2015-02-19 0 4349
76 의식, 무의식의 징검다리 2015-02-19 0 4577
75 김기림 시론 ( - 한국 현대시의 최초 시론) 2015-02-19 0 4383
74 조향 시론 2015-02-19 0 4477
73 김춘수 시론 2015-02-19 0 4589
72 시와 아이러니 2015-02-19 0 4462
71 디지털시대 시 전망 2015-02-19 0 4402
70 하이퍼와 잡종(?) 2015-02-19 0 4218
69 하이퍼시에서 내면세계 미학 2015-02-19 0 4459
68 하이퍼시에서 사물적, 상상적 가능성 2015-02-19 0 4855
67 하이퍼시의 구조 2015-02-19 0 4625
66 시에서 인식의 혁명 2015-02-19 0 4736
65 언어와 사물, 그리고 시 2015-02-19 0 4833
64 시와 독자와 난해성 문제 2015-02-19 0 4625
63 3.0 2015-02-19 0 3996
62 퍼포먼스 시집 평설 2015-02-18 0 4700
61 하이퍼시와 퍼포먼스시 2015-02-18 0 4304
60 하이퍼시 도무미 4 2015-02-18 0 4750
59 하이퍼모더니즘의 시대는 오는가 2015-02-18 0 4935
58 하이퍼시 도우미 3 2015-02-18 0 4578
57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02-18 0 4335
56 탈관념의 꿈꾸기 2015-02-18 0 4542
55 현대시의 길 열기 2015-02-18 0 4950
54 하이퍼시의 도우미 2015-02-18 0 4461
53 하이퍼시의 전환기법 관찰 2015-02-18 0 4740
52 하이퍼시의 리해와 창작 2015-02-18 0 4661
51 하이퍼시와 디카시 2015-02-18 0 4451
50 ...계속 6 2015-02-18 0 4159
49 ...계속 5 2015-02-18 0 4584
48 ...계속 4 2015-02-18 0 4464
47 ...계속 3 2015-02-18 0 4297
46 ...계속 2 2015-02-18 0 4354
45 李箱시의 디지털적 해석 2015-02-18 0 4516
44 탈관념 시의 리해 2015-02-18 0 4373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