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백하
2015년 04월 05일 15시 11분  조회:4298  추천:0  작성자: 죽림
 
박세영
 
   

박세영
(朴世永, 1907~1989)
경기 고양 출생. 
1946년 월북.

새 옷을 입으련다
- 어린이날에 보내는 노래

박세영

할아버지 우리나라 빼앗겼고
아버진 울며 살았는데
우린 해방을 맞았다

아주 잃을 뻔한 조선
누구나 일해야 산다는
우리 새나라의 일꾼이 되련다

욕심쟁이도 없고 거짓도 없고
가난뱅이도 없다는
빛나는 새나라 사람이 되련다

너털뱅이 헌옷을 빨아 입는 것보다
우리 새옷을 입으련다
다 같이 입으련다

동무야! 온 조선의 동무야!
우렁차게 외치자 오늘 어린이날에
한마음 되어 달려나가자

시인 박세영(朴世永, 1907∼1989)은 우리 문학사가 잃어버린 여러 문학인 중의 한 분이다. 그는 일본 강점기 때 카프의 맹원이자 비해소파로 굳건한 신념을 지닌 인물이자, 해방 이후 1980년대 말까지 주*문학의 선구자로 조선문학인 가운데 가장 중심적 위치의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그의 대표작은 시집 《산제비》(1938)와 《류화(流火)》(1945), 《진리》(1947), 《승리의 나팔》(1945), 《박세영시선집》(1956), 《밀림의 역사》(1952), 《박세영 동시선집》(1962) 등이다.

그의 시에 대한 학계, 비평계의 평가는 “자연을 통해 시대적 울분과 회상을 술회한 불안문학”(백철), “대륙적 풍모와 남성주의”(김재홍), “항일문학의 실천적 지성”(윤여탁), “아지프로가 강조된 교술적인 서술시”(황정산), “민족애의 발현, 유이민의 비애감, 자연과의 합일의지 표현”(심치열), “서간체 시적 양식의 개발”(박은미), “디아스포라의 표현”(박수연), “정치적 신념을 지키고자 노력한 시인”(최명표) 등으로 요약된다. 가장 대표적인 시로 거론되는 작품 〈산제비〉는 ‘산제비’라는 시적 대상물에 의탁하여 자유와 리상, 해방의 도래에 대한 자신의 꿈을 상징적 기법으로 노래하고 있다. 감상적 회고나, 랑만적인 전원시에 머물지 않고 시인의 의지를 시적 대상을 통해 형상화하면서 그 수준을 점차 심화시켜간다.

산제비야 날아라
화살같이 날아라
구름을 휘정거리고 안개를 헤쳐라
땅이 거북등같이 갈라졌다
날아라 너희들은 날아라
그리하여 가난한 농민을 위하여
구름은 모아는 못 올까
날아라 빙빙 가로 세로 솟치고 내닫고
구름을 꼬리에 달고 오라

— 〈산제비〉 부분

시인 박세영은 1902년 7월 7일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두모리에서 출생하였다. 호는 백하(白河)이다. 극도의 가난 속에서도 위축되지 않고, 오히려 주변의 힘겨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도우며 노력과 희생정신으로 살아갔다. 서울 배재고보 출신으로 송영, 나도향, 김복진, 박팔양, 김소월, 윤극영, 이기영, 윤기정, 박영희, 임화 등과 교유하였다.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에 뜻을 두고 카프의 핵심 멤버로 사회주의계열의 각종 동인지 및 사화집 발간 활동을 펼쳤으며, 필화사건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기도 했다. 8·15해방도 청진 감옥에서 맞았다.

조선문학가동맹 중진으로 활동하다가 1946년 전반기에 월북하여 북조선 문예총에 가담하였다. 주로 찬양과 주민들에 대한 노력 혁신, 선전선동을 위주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였고, 1959년에는 조선의 〈애국가〉를 작사하여 국가 2급 훈장을 받았다. 이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문예총 국가상임위원,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중앙위원, 작가동맹 상무위원 등을 지내는 등 조선문학의 중진으로 활동하다가 1989년 2월에 사망하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 시인 - 허옥진 2015-03-08 0 5872
162 시인 - 주향숙 2015-03-08 0 4467
161 시인 - 김영춘 2015-03-08 0 4660
160 시창작의 1, 2 , 3. ㅡ 석화 2015-03-08 0 4466
159 시인 - 송미자 2015-03-08 0 5134
158 시인 - 김경희 2015-03-08 0 5070
157 시인 - 리순옥 2015-03-08 0 5729
156 시인 - 최기자 2015-03-08 0 4628
155 시인 - 석화 2015-03-08 0 5616
154 시인 - 김응룡 2015-03-08 0 5243
153 시인 - 김학송 2015-03-08 0 4551
152 시인 - 김영건 2015-03-08 0 4698
151 동시인 - 림금산 2015-03-08 0 4807
150 시인 - 리임원 2015-03-08 0 4765
149 시인 - 윤청남 2015-03-08 0 4625
148 시인 - 김파 2015-03-08 0 4579
147 시인 - 강효삼 2015-03-08 0 4390
146 명시인 - 괴테 2015-03-07 0 5032
145 보들레르 시 표절작? 2015-03-07 1 5011
144 명시인 - 랭보 2015-03-07 1 5512
143 서구 현대시 시조 - 보들레르 2015-03-07 0 4664
142 노별상 수상 거부자들과 그 리유 2015-03-05 0 4657
141 력대 노벨문학상 수상작 목록 2015-03-05 0 5286
140 러시아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5-03-05 0 4723
139 민족시인 7위 분향단 2015-03-05 0 5038
138 아동문학가 - 고 윤정석 2015-03-05 0 5215
137 시인 - 박장길 2015-03-05 0 4424
136 윤동주 미발표 시 더 있다... 2015-03-05 0 9967
135 시인 - 김동진 2015-03-05 0 4934
134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5-03-05 0 4778
133 윤동주 생가 2015-03-05 0 5121
132 시인 - 김철호 2015-03-05 0 4717
131 동시인 - 한석윤 2015-03-05 0 4816
130 시인 - 고 한춘 2015-03-05 0 5004
129 시인 - 심련수 2015-03-05 0 4481
128 음악가 - 정률성 2015-03-05 1 4954
127 시인 - 고 리삼월 2015-03-05 0 4519
126 룡정 윤동주연구회 "룡두레" 문화총서 출간 2015-03-04 1 4914
125 고독과 시인과 시 2015-03-04 0 5138
124 묘비명 - 자유 2015-03-04 0 4918
‹처음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