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시쓰기와 정신 치유법
2015년 05월 12일 23시 24분  조회:4007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쓰기와 치료

 

 

                                                                                                                                                      이언 김동수

 

 

 

1. 시쓰기와 치료

  글쓰기는 정신병과 우울증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그것은 글쓰기가 혼란스런 현실에서 우리의 삶에 질서와 감정의 분출구를 마련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해 주기 때문이다글을 쓰고 나서 후련한 느낌을 갖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이다.

 글쓰기를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요즘 나의 고민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만약에 내가 ......을 하게 된다면....’ 등과 같이 처음엔 기본적인 감정에 대해 글을 써 보면서 내부적 저항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좋다그러다가 점차 자신 안에 내재된 불안과 고통을 서사적 혹은 은유와 상징으로 표현해 보게 하거나자기의 감정과 닮아 있는 시를 읽게 하여 내적 갈등을 완화시켜 가도록 한다그것은 글쓰기라는 감정의 전이와 공유를 통해 그간 무의식 속에 억압된 심리를 해방고통을 소산(clean up) 시키는 정신의학적 치료효과(abreaction)가 있기 때문이다.

십여 년 전어느 가을 여학생 한 명이 내 연구실을 찾아왔다직장 생활을 하다 그만 두고 글이 쓰고 싶어 우리 과(문예창작과)를 찾았던 학생이었다대뜸 교수님저 외로워요 했다” 느닷없는 그의 발언에 어찌할 바를 몰라 망설이다가평소 그의 남달랐던 인상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우울해 보였던 모습이 떠올라 정호승의 수선화에게」 라는 시를 꺼내 읽어 주었다.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걷고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고

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

산 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번씩 마을로 내려온다.

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퍼진다.

 

정호승 수선화에게」 전문

 

  시를 다 읽고 난 후, “너도 외롭고나도 외롭고생명을 가진 것치고 이 세상에 외롭지 않는 것은 아무도 없다” 그래서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고 설명해 주었다그랬더니 “ 교수님인제 됐어요” 하고 밝아진 표정으로 감사하다는 말을 덧붙이면서 연구실 문을 나가던 일이 있었다.

  “울지 마라/외로우니까 사람이다라는 정호승의 수선화에게를 통해 그는 어느새 이처럼 힐링이 된 것이다. ‘외로운 것은 자기만이 아니라 삼라만상에 외롭지 않는 것이 없다는 통찰곧 정서적 동일시(同一視)로 세계와의 화해를 이루게 된 셈이다.

 

어둠은 출발이다

깊은 나락에서

즈믄 밤을 뒤척이다가도

끝내 홀로 일어서야 하는

침묵

그것은 안으로 안으로 덮쳐오는

어둠을 살라 먹고

산처럼 다가오는

아픔을 살라 먹고

때가 되면

밖으로 튀어나오는

빛살의 물결

어둠은 결코 어둠이 아니다

길고 긴 인고의 세월 끝에

쌓이고 모인

말씀과 말씀들이

이렇게 두 손 털고 일어서는

생명의 숲이다

찬란한 탄생의 눈부심이다

 

김동수 어둠의 역설」 전문

 

  실패 그리고 패배라는 객관적 사실보다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느냐 하는 주관적 자세가 더 중요함을 깨닫는 순간, ‘어둠은 더 이상 어둠이 아니었고그것은 오히려 새로운 출발의 시작이요, ‘찬란한 탄생의 눈부심이라는 깨침()에 이르게 된다이러한 선언적 아포리즘(aphorism)으로 그간 어둠의 고투를 딛고 일어설 수가 있었던 것이다시쓰기는 이처럼 자기 콘트롤(super-vision), 자기 정화로 자신의 삶을 순화시키고 강화시켜 가는 힘이 있다.

 

2. 정신질환 시()로 고친다.

      -임상실험

 

노이로제·조울증 환자 자작시 낭송

-시작(詩作동기 등 발표 유도로 불만·갈등 해소하다.

 

  문학의 한 장르인 시가 정신질환을 진단치료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그동안 연극 음악 그림은 임상예술로서 정신질환진료에 활발하게 응용돼왔었으나 국내에서 시()가 정신과 환자의 진료수단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아직 일반인에게 생소한 시치료에 관해 최근 시치료의 이론과 실제-B병동 시화전을 펴낸 정신과 전문의 김종주 박사(인천 기독병원 정신과 과장)로부터 정신질환과 시 치료에 관해 들어본다.

  국내에서 최초로 시 치료를 시도 한곳은 몇 년 전 김종주 박사가 근무했던 원광대병원김 박사는 정신질환으로 범죄를 일으켜 감호를 받는 50명의 환자에게 시치료를 시도 하여 빠르고 높은 치료효과를 거뒀다. - 이후 연세대 의대에서도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시치료가 소개돼 앞으로 정신과 진료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박사에 따르면시치료는 개인치료에도 응용되나 보통 집단치료에 활발하게 이용된다집단치료의 경우우선 잘 짜인 시치료팀을 구성해야 한다시치료에 대한 충분한 이론과 경험을 가진 정신과 전문의가 치료를 주관하게 되는데환경 요법 등 임상경력 2년 이상의 정신과 전문의 1간호원 2봉사원 1명의 보조를 받는게 보통치료대상은 노이로제 약물 및 알콜중독조울증정신분열증 등 광범위한 영역의 정신질환에 적용되지만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못 참는 환자는 제외된다.

  즉 기질성 뇌증후군 환자나 반사회적 인격 장애 급성정신병원의 환자에게는 시치료가 적용이 안 된다치료대상이 정해 있지만 치료팀은 시간을 충분히 주어 환자들에게 가능한 10행이내의 시를 짓게 한다환자가 시를 다 지으면 각자의 시에 그림을 그려 별도의 치료실 벽에 붙이도록 한다치료 시간이 되면 환자들을 모아놓고 작품을 낸 환자가 직접 시를 낭송토록 한다환자의 시낭송에 앞서 명상의 시간이나 기성 시인의 시를 함께 낭송케해 분위기를 조성한다환자에게 자신이 쓴 시를 낭송하게 한 다음다른 환자의사간호원이 다시 낭송을 해준다.

  시를 쓴 환자에게 시를 쓰게 된 동기시 해설을 하도록 한다그 다음 치료팀은 참석자들에게 자유토론을 유도한다치료팀은 토론내용을 정리하는 한편 시를 쓴 환자에게 토론결과에 대해 의견을 말하도록 하고 다시 스스로 쓴 시를 낭송케 한다이 과정에서 환자는 가슴속 깊이 감추고 있던 갈등을 표현함으로써 정신적 통풍즉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된다시를 통해 불안 분노의 물꼬를 트는 한편 죄책감이나 부끄러운 감정을 느끼지 않고도 고백 욕구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시낭송 토론과정에서 환자에게 자신감과 의사소통능력 정신집중력을 증진시켜줄 수 있다자신의 문제가 자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을 확인시켜주고 자기 성찰을 통해 갈등을 풀 수 있는 능력을 키워 환자 스스로 병을 다스릴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치료 의사는 환자들의 시작(始作)과 낭송·토론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진단정보를 얻게 된다환자의 적나라한 감정 표출때로는 교묘하게 감춰진 의식무의식의 세계를 읽어낼 수 있는 마치 X선 사진같이 확실한 진단정보를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의사는 이를 근거로 약물치료 환경요법 그리고 다음 시치료 때의 처방을 보다 정확하게 내릴 수 있다.

  시치료는 1950년대 후반 미국 뉴욕의 정신과의사 엘리 그라이퍼가 사용하기 시작했다. - 처음에는 10대 미혼모들의 선도 수단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실제 임상실험을 통해 이론이 정립됨에 따라 정신과 영역에서 진료수단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1989, 6,24, 경향신문 노영대 기자)

 

3. 시치료는 해석이다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억압 심리를 은유나 상징으로 포장하여 표현한 경우가 많다. ‘환자가 자신의 자존심을 보호하려는 방어기제로 여과된 언어곧 과장과 왜곡흥미유발을 위한 이차 가공 등 기술적인 언어로 소통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꿰뚫어 해독하는 능력이 시 치료의 본질이다(김종길)

시치료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호화된 그들의 잠재의식을 해독하면서 심리 상태에 접근오랫동안 심연에 웅크리고 있던 감정을 글로 표출케 함으로써 자율적 면역체계를 갖추게 한다그래서 문학치료는 해석이라고 주장한 이들도 있다.

 

       혀끝에 머물던 격렬함이 사라지자

그는 무덤처럼 입을 다문다

 

그의 침묵 속에는

그가 겨누었던 대상을 향해

파르르 떨며 날아간

그러나 결코 적중하지 못한 흔적이

우울한 갈증에 섞이고 있다

 

그의 꿈은 바깥을 향하지만

한 때 그를 긴장시켰던

오금 저리고 팔뚝마다 소름 돋았던

몸 밖의 세상은 여전히 까마득하다

 

거미줄에 걸린 거미처럼

축축한 사유의 달팽이처럼

제 몸이 바로 존재의 집이라는 것

 

모든 언어에는

제 몸을 쥐어뜯은 상처가 있다

 

강연호언어의 꿈은 바깥에 있다」 전문

 

  ‘입을 다문’ 그의 언어에는제 몸을 쥐어뜯은 상처’ 아니 무덤처럼 입을 다문’ ‘침묵들이 들어 있다이처럼 행간에 감추어져 있는 침묵의 언어들을 보물찾기 하듯 찾아내어 풀이해 주는 일이 시치료사의 임무이다다시 말해 기표(記表아래 감춰져 있는 기의(記意)의 숨은 그림을 찾아 환자의 심리 상태를 해독하여 처방하는 일이다.

프로이드학파에 의하면 시와 심리치료 사이의 밀접한 관계는 내면의 감정을 탐색하기 위해 전의식과 무의식적인 요소를 끄집어 내그것을 형상화하여 내적 갈등을 해결하는 데 있다고 한다이때 상징화와 치환 이 두 가지가 다 쓰인다. Pattison은 상징화가 자기(self)를 조직화하고 통합하여 표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에시는 심리 치료적 의사소통의 상징 매체로써 강력한 방법이 된다고 발표(한국시치료연구소)한 바 있다.

  은유는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대신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수사법이기 때문에 암유(暗喩)라고도 한다영어 ‘metaphor’의 어원(:metapherein) 다른 곳으로 전이하다’, ‘옮겨가다의 뜻을 지니고 있어이 또한 자신의 감정을 비유적으로 숨겨 에둘러 표현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욕망이 상징으로 재현된 것이 꿈이다때문에 해몽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풀이하듯이환자의 복합감정이 그대로 응축된 문장을 통해 시치료사는 말로써 설명할 수 없는 환자의 심리 상태를 읽어 내야 한다.

  예컨대 직선은 곡선이다라는 하나의 은유로 된 문장을 보면여기에는 정 반대의 두 속성(직선/곡선)이 하나의 등가(等價)로 연결되어 있다어느 환자가 이런 표현을 하고 있다면 그의 속내를 알아내기가 쉽게 않을 것이다하지만 그의 은유를 보다 심층적으로 들어가 해독해 보면그것은 조금 전까지만 해도 직선이 아닌구불구불한 것들이 어떤 물리적 강압에 의해 당겨지고 뽑혀져 나와 본의 아니게 휘어진 곡선들의 전신(前身)이었음을 알리고자 하는 시인의 억압 심리가 내재·함의 되어 있음을 간취하게 된다이것이 우리에게 알리고자 하는 시인의 메시지(신호)이다.

  그러기에 묵묵히 뽑혀져 나와 가지런하게 늘어선 저 직선들의 침묵 속에서 길게 잠들어 있는/수많은 곡선들의/휘어진 함성(김동수의직선),  곧게 뻗어 있는 직선의 침묵 속에서 가슴앓이를 하고 있는 수많은 곡선들의 내재된 신음 소리를 읽어내는 것이 시치료사의 임무요 해독법이다.

 

4. 시와 통찰(通察)

  미국의 경제학자인 제레미리프킨은 이 세상의 인간을 세 부류로 나눈 바가 있다세상을 이끄는 0.1%의 천재와천재를 보고 다음 세상을 준비한 0.9%의 통찰력을 가진 사람그리고 나머지 99%는 잉여 인간곧 유기물 덩어리이다.

  ‘통찰을 영어로 ‘insight’, ‘vision’이라 하는 데 그 뜻이 안을 본다’, ‘꿰뚫는다’, ‘미래를 예견하거나 꿰뚫어 본다’ 이다때문에 통찰력을 가진 사람들은 눈앞에서 수시로 변해가고 있는 현상(change)에 얽매어 복작이지 않고그 밑바닥에서 사태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본질곧 항상성(constant)을 깨달아 내적 고민을 스스로 풀어가고 있다이러한 자가 치료 원리를 환자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시쓰기 치료의 근본 원리이다.

 

삶이 그대를 속이더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

슬픔의 날을 참고 견디면

머지않아 행복의 날이 오리니

현재는 언제나 슬픈 것

마음은 미래에 사는 것

모든 것은 일순간에 사라진다

그리고 사라지는 것은

또 그리워지는 것이다.

 

푸쉬킨삶이 그대를 속이더라도

 

  고달프고 힘든 오늘도 일순간에 지나간다그러고 나면 이처럼 고달펐던 오늘의 순간도 훗날에 가서는 다시 그리워지는 추억의 하나가 된다는 생()의 통찰그로인해 필자 또한 힘들고 혼란스러울 때마다 이 시를 통해 큰 힘을 얻곤 하였다.

  통찰력을 지닌 사람들은 눈앞에 닥친 현상에 매몰되지 않고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사건의 시말(始末)과 그 변화의 과정을 총체적으로 꿰뚫어 보면서 그에 따른 정보의 취합과 분석 그리고 예측력이 남다른 사람들이다다시 말해 객관적 시각으로 상황을 분석하고 현실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일을 설계하여 상황을 돌파해 가는 자기 제어 능력과 추진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일상적 체험(actual emotion)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시적 체험(art emotion)은 통찰을 통해 현상을 뛰어 넘어 또 다른 차원의 세계로 진입하는 생성(生成)의 계기가 된다그러고 보면 결국 시쓰기란 내 안에 숨어 있는 사태의 숨어 있는 본질을 꿰뚫어 그것을 표현해 냄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는 자기 고양(高揚), 자기 정체성( identity) 회복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것이 관조와 성찰에 따른 통찰의 세계요 시쓰기가 아닌가 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22 시를 쉽게 쓰는 요령...하지만 쉽지만 않은 요령 2015-05-20 0 4042
521 기호 언어를 통한 동시 쓰기 2015-05-20 0 5078
520 무엇을 쓸려면 진정 뼈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2015-05-20 0 4515
519 동시조 창작에서 도움되는 동시조 례문 모음 2015-05-20 0 4105
518 동시조, 그 아름다운 이름으로 일어나라 2015-05-20 0 3803
517 동시조를 잘 쓰려면 2015-05-20 0 4735
516 <사랑법> 시모음 2015-05-19 1 3543
515 현대시 이렇게 쓰자 2015-05-18 0 4182
514 詩佛 - 王維 2015-05-18 0 3674
513 李箱을 다시 떠올리다 2015-05-17 0 5804
512 산문은 환유적으로... 시는 은유적으로... 2015-05-17 0 3908
511 현대시와 현대시조에 관하여 2015-05-17 0 3807
510 시와 시인 명언 32 2015-05-16 0 4800
509 屎屎的 詩 2015-05-16 0 3646
508 <스승의 날> 시모음 2015-05-15 0 4000
507 황지우 시모음 2015-05-15 0 5204
506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인... 2015-05-15 0 3520
505 윤동주 시와 독후감 쓰기 2015-05-15 0 5439
504 방랑풍류시인 - 김삿갓 2015-05-15 1 4971
503 요절한 시인 - 기형도, 그의 주옥같은 시는 우리 손에 고이고이 들려 있을것이다... 2015-05-15 0 3558
502 김삿갓과 詩 2015-05-15 0 3965
501 소설쓰기 = 감농군 되라, 시쓰기 = 보석세공자 되라 2015-05-13 0 4691
500 시쓰기 요령 2015-05-13 1 3259
499 시쓰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지 말아ㅠ... 2015-05-13 0 3998
498 동시 짓기 2015-05-13 0 4109
497 시쓰기는 처음이자 마지막 2015-05-13 0 4324
496 잘못된 시쓰기 류형 2015-05-13 0 3478
495 시쓰기 네가지 류형 2015-05-13 0 3728
494 시쓰기와 정신 치유법 2015-05-12 0 4007
493 詩의 첫줄은 神이 주는것... 2015-05-12 0 3686
492 시쓰기와 기타... 2015-05-12 0 3972
491 시쓰기 즐거움 2015-05-12 0 4146
490 좋은 시를 쓰기 위한 방법 2015-05-12 0 4217
489 시쓰기 넋두리 2015-05-12 0 4317
488 五感의 詩쓰기 2015-05-12 0 3773
487 시를 잘 쓰기 위한 10가지 방법 2015-05-12 0 3622
486 좋은 시를 쓰려면 2015-05-12 0 3848
485 시는 쉽게 쓰여지지 않는다... 2015-05-12 0 4033
484 <개미> 시모음 2015-05-10 0 3916
483 <오체투지> 시모음 2015-05-10 0 3798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