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좋은 시를 쓰는 王道 // 령혼을 노크해주는 글
2015년 07월 15일 23시 06분  조회:4697  추천:0  작성자: 죽림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광동촌 이용식 촌민 집)


천 편의 시를 베껴 쓰는 의미




(좋은 시 읽기, 쓰기...  여기까지 오는데 수많은 세월은 흘렀고... 또 흐르고...)
--- 편집자 주.

이제 막 시를 쓰기 시작한 분들이라면 읽어보십시오. 시를 쓰기 시작하여 몇 해가 지났으나 정지용, 이용악, 백석, 김관식, 김종삼, 구자운, 전봉건 시인들의 이름이 낯선 분들이라면 더욱 새겨서 읽어보십시오. 시는 단순한 넋두리나 혼자만의 도취에서 우러난 것이라고 잘못 아는 이들도 읽어보십시오.

제대로 된 시, 올바른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이 문제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풀기 어려운 문제는 결코 아닙니다. 끈기와 열정을 가지고 과거의 낡은 버릇을 과감하게 팽개쳐버리고 다시 시작하는 각오가 있으면 됩니다.

좋은 시들을 손으로 노트에 모두 필사해 보십시오. 평생 몸 바쳐 시를 쓰고야 말리라는 결심을 하고 있다면 두려워 마십시오
[좋은 시 읽기]의 시들 맨 아래의 1번 시인들부터 100번의 시인들까지는 5편씩의 대표작을 다른 데서 찾아서라도 노트에 쓰십시오. 그리고 101번부터 300번까지 시인들 작품은 3편씩 찾아서 쓰십시오. 그 이후부터는 그냥 [좋은 시 읽기]의 시들을 필사하십시오.

하루에 5편 내지 10편을 필사할 경우, 1년이면 그 훈련이 대충 끝나게 될 것입니다. 늦어도 2년이면 그 습작 훈련이 끝나게 될 것입니다. 이만한 노력 없이 올바른 시의 길을 찾는다는 것은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찾으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왜 시를 손으로 필사해야 하느냐고 의심합니까? 그 필사하는 과정 안에 시의 비밀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필사하면서 집중하여 생각을 하면 그 시의 심상, 그 이미지를 쓰게 된 시인의 남모를 동기, 행을 바꾼 의도, 시 속의 소리 없이 숨쉬는 운율 등이 은근히 내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읽고 지나쳐버리고 만다면 그 중요한 것들의 눈짓을 알지 못합니다. 또한 시를 쓰는 방법도 자연 그렇게 터득되는 것입니다. 어떠한 이론적 습득보다 이 방법이 가장 확실합니다.
그리고 순서를 좇아 쓰게 되면 아마 여러분은 우리나라 현대시의 역사를 스스로 깨치게 될 것입니다.

아울러 [비평/에세이]의 글들을 맨 아랫것부터 차례로 출력하여 최근의 것까지 하루에 두 꼭지씩 정독을 해 보십시오.

1,200 편의 시를 필사한다고 칩시다. 시집 겨우 20 권에 지나지 않는 분량입니다. 하루에 5 편씩 필사한대도 240일이면 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겁내지 마십시오. 아무런 대책 없이, 좋은 시, 제대로 된 시가 어떤 것인지도 모르고 자기 혼자만의 시 쓰기에 골몰하고 자아도취에 빠져 허송하는 세월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렇게 필사를 하고 다 하고 나면 그 때 비로소 시의 참맛과 시의 바른 길을 알게 될 것입니다.

 

*

이 과정을 마친 분은 시 이외의 교양 서적을 섭렵하는 게 좋습니다. 문학, 철학, 신화, 미술, 음악, 역사 등 교양의 축적이 폭넓은 시적 자산이 될 것입니다.

망설이지 마십시오. 지금 바로 시작하십시오. 좋은 시 속에 좋은 시를 쓰는 왕도(王道)가 있습니다.

  

강 인 한/시인

 


=================================================


영혼을 노크해주는 글이어야
 
 
 
 
 
선생님, 이번 회지에 주신 글 “선계에 같이 가십시다”를 보고 많이 울었거든요. 
여러 번을 봐도 다른 글들과는 느낌이 다르던데요. 
본성이 반응을 해서 그런 건가요? 
 
글이라고 다 글이 아니에요. 
글을 보면 쓴 사람의 파장이 느껴지기 때문에 
어떤 수준에서 나온 글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제일 좋은 글은 본성(本性), 즉 “성”을 때려주는 글입니다. 
두 번째는 영혼을 울려주는 글, 영혼을 노크해주는 글입니다. 
 
 
그런 글이 자연스럽게 나오는 거예요. 
저는 글을 쓸 때 생각을 많이 안 합니다. 
그냥 무심으로 있으면 퍼뜩 떠올라서 쓰는 데는 한 10분 정도 걸려요. 
 
 
제가 파장으로 텔레파시 할 때도 
누구를 만나면 어떤 질문을 해야지 하고 벼르고 한 적이 별로 없습니다. 
누가 “꼭 이런 질문을 해주십시오” 하고 부탁한 경우에는 
잊어버릴까 봐 기억하고 있기는 한데 
대개는 그냥 파장이 딱 맞으면 질문이 저절로 나와요. 
 
 
그리고 그분들도 대답이 즉석에서 나오는 것이지 
생각해서 답변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랬을 때 본성으로 바로 울려주는 것입니다. 
 
 
그 글도 그런 식으로 본성을 때려주는, 공감해서 울려주는 글이지요. 
말하자면 그렇게 울림이 있어라 해서, 
노크하고 싶어서 본성을 때려주고 싶어서 썼던 글이에요. 
그 글에 실린 파장도 그렇고요. 
울고 싶은 분들은 우십시오. 
 
 
 
 
저는 그 글을 보니까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러세요? 
그런데 대충 들어서는 안 되고요. 
수련을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은 확실히 들어야 돼요. 
어떻게 하면 그런 생각들이 들 수 있을까 저도 고민입니다. 
어떻게 본보기를 보이면 그런 마음이 들까요? 
 
 
 
 
선계수련이 뭐 하는 거냐 하고 누가 질문을 던지면 
한 마디로 어떻게 얘기를 해주면 될지요? 
 
책을 한 번도 안 읽어본 사람같이 얘기를 하시네요. 
저렇게 우문을 하시는데 현답을 해야 됩니까? 
 
 
선계수련이란 무슨 수련이냐? 
깨달음으로 가는 수련이라고 이미 말씀 드렸습니다. 
그러면 깨달음이란 뭐냐? 
깨닫는다는 것은 “안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면 안다는 것은 무엇이냐? 
아는 것은 상단에서 하는 일입니다. 
지혜의 소관은 상단인데, 
그 알기까지의 과정은 하단에서부터 올라와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의 앎이란 아무 의미가 없어요. 
그냥 아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것은 
하단에서부터 축적되어서 아는 것이어야 합니다. 
 
 
과정은 우선 몸에 대해서 알고 
다음에 마음에 대해서 알고 
그 다음에 지혜의 눈이 열리는 깨달음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 <<네오아방가르드>>--~(아이고나 머리가 뗑...) 2015-02-18 0 4531
42 <<최첨단 현대시론(?)>>과 <<아방가르드 시론>> 2015-02-18 0 4247
41 열린 시 운동과 公演詩 2015-02-18 0 3797
40 하이퍼텍스트 시의 지향 2015-02-18 1 4518
39 詩作과 자작시 해설 2015-02-18 0 4713
38 디지털시의 현장성 2015-02-18 0 4773
37 문제 시집, 시와 현대시 동향 및 그 新모색 2015-02-18 0 4356
36 디지털시대와 글쓰기 방법론 2015-02-18 0 4769
35 하이퍼시와 디지털시대 2015-02-18 0 4089
34 詩와 기호(記號) 2015-02-18 1 4435
33 하이퍼시와 젊은 시 운동 2015-02-18 0 4354
32 하이퍼시와 포스트 구조주의 2015-02-18 0 4165
31 하이퍼시와 형이상시 2015-02-18 0 4397
30 하이퍼시와 무의미시 2015-02-18 0 4549
29 문덕수와 심상운 2015-02-18 0 4611
28 하이퍼시는 單線에서 多線에로... 2015-02-18 0 5040
27 하이퍼시에서 상상, 공상 2015-02-18 0 4304
26 하이퍼시와 탈관념과 상상 이미지 2015-02-18 0 4091
25 모더니즘시 고찰 2015-02-18 0 4553
24 시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 2015-02-18 0 4451
23 하이퍼로 가는 문 2015-02-18 0 4393
22 변화하는 詩 2015-02-18 0 4668
21 김파와 김몽 2015-02-17 0 4392
20 하이퍼시와 심상운 2015-02-17 2 5031
19 하이퍼시의 해명 2015-02-17 0 4866
18 중국 시인 시선 2015-02-16 1 4533
17 "시인이란 명칭은 줄곧 있었다... " --- 시인 牛漢 2015-02-16 0 4997
16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2-16 0 5038
15 시작법 1 2015-02-16 0 4721
14 현대시 흐름과 대표시 감상 2015-02-14 0 5278
13 1960년대 녀성시 고찰 2015-02-13 0 5003
12 마광수 시평 2015-02-12 0 4498
11 디지털 시대와 시의 전망 2015-02-11 0 5198
10 90년대 이후 시흐름... 2015-02-11 0 5360
9 재확인하는 시집 2015-02-11 0 5384
8 詩壇과 그 뒷소문... 2015-02-11 0 4650
7 詩의 10개 봉우리 2015-02-11 0 4622
6 동시와 기호학 2015-02-04 0 5194
5 명동시와 그 해설(1, 2, 3, 4) ㅡ최룡관 (시인, 동시인, 평론가) 2015-02-04 0 5601
4 하이퍼시에 대한 탐색 ㅡ 최룡관 (시인, 평론가) 2015-02-04 0 4224
‹처음  이전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