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시모음 /// 禪詩(선시) 모음
2015년 10월 27일 23시 39분  조회:6472  추천:1  작성자: 죽림
[ 2015년 11월 05일 09시 54분 ]

 

 

미국의 한 청년이 자신의 지치(智齿)로 반지를 만들어 녀친에게 바치며 청혼...

================================================

<시인에 관한 시 모음> 

+ 시인 

시인은 
웃어야 된다 
벌이 되고 나비가 되고 
꽃이 되어야 한다 

시인은 
바람이 되고 바다도 되고 
험준한 산맥이 되어 
지켜보아야 한다 

시인은 누구보다 
마지막에 울어야 한다 
한 방울 비가 되어 
모두에게 가야 한다 
(송정숙·시인)


+ 시인은 

어디서나 문 열고
단 하나의 말을
찾아나선 이여 
눈 내리는 빈 숲의 겨울나무처럼
봄을 기다리며 깨어 있는 이여
마음 붙일 언어의 집이 없어
때로는 엉뚱한 곳에
둥지를 트는 새여
즐거운 날에도
약간의 몸살기로
마음 앓는 이여
잠을 자면서도
다는 잠들지 않고
시의 팔을 베는
오늘도 
고달픈 순례자여  
(이해인·수녀 시인, 1945-)


+ 시인의 영혼

겨울 햇살이 하루를 접고 붉은 석양이 내릴 무렵
나의 언어도
강에 일렁이는 물 비늘 속으로 눕는다
겨울 산 벌거벗은 민둥으로
영혼을 흔드는 시를 날려보내자
돌 틈을 흐르는 계곡물이 사강(沙江)에 다다를 때
이미 사해(死海) 속으로 
시인의 언어가 죽어버린다 해도
시는 
영혼을 흔들어 태어나고 
언젠가는 다시 시인의 영혼으로 돌아온다 
시는 
인생의 둘도 없는 보물이 되어 
보석처럼 빛이 반짝이는 삶을 만들어 간다
시인은 살아있는 영혼 속에서
영혼을 흔드는 시를 노래한다
떠난 후
가난한 영혼의 그림자가
바람처럼 살다간 흔적으로
(조사익·시인)


+ 시인의 일상 

갖는 것은 즐거움
버리는 것은 상쾌함

즐거움을 누린 만큼
쾌감도 느껴야만 한다.

스스로를 비우는 자는 상쾌하다.
내 몸 안의 숙변을 뿜어내듯이,

스스로 버리지 못한 욕심
곽 막힌 체증과도 같다.

담는 즐거움
덜어내는 상쾌함

내 안에만 머무를 때
돈도, 지식도, 음식도 썩고 만다.

먹는 것은 즐거움
배설하는 것은 쾌감

담았을 때의 쾌감만큼
비우는 즐거움을 누리자.

세상 만물 내 안에 담았다가
즐겁게 내어주는 큰 그릇이 되자.
즐거움이 나에게서 상쾌하게 넘치게 하자.

우주의 만물은 모두
즐겁게
상쾌하게
흘러야 맛이다.

오! 나의 하느님!
오늘도
상쾌하게 버릴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하나이다.
(정환웅·시인)


+ 시인

꽃은 피는 대로 보고
사랑은 주신 대로 부르다가
세상에 가득한 물건조차
한아름 팍 안아보지 못해서
전신을 다 담아도
한 편(篇)에 2천원 아니면 3천원
가치와 값이 다르건만
더 손을 내밀지 못하는 천직(天職).

늙어서까지 아껴서
어릿궂은 눈물의 사랑을 노래하는
젊음에서 늙음까지 장거리의 고독!
컬컬하면 술 한 잔 더 마시고
터덜터덜 가는 사람.

신이 안 나면 보는 척도 안 하다가
쌀알 만한 빛이라도 영원처럼 품고

나무와 같이 서면 나무가 되고
돌과 같이 앉으면 돌이 되고
흐르는 냇물에 흘러서
자국은 있는데
타는 놀에 가고 없다.
(김광섭·시인, 1905-1977)


+ 미인과 시인

아이들은 나를 보고 
<미인>이라고 한다 
초등학교 1학년의 눈으로는 
미인의 조건이 나 정도인 줄 알았다 
어느 날 나보고 
<미인>이라고 말해 주던 
참 귀엽고 예쁜 아이들의 
손을 꼬옥 붙들고 
<얘들아, 미인이 뭐야?> 물으니 
<선생님처럼 시를 잘 쓰는 사람이에요> 한다 
아하, 그랬구나 
그러면 그렇지  
(권복례·교사 시인, 1951-)


+ 시인 본색(本色)

누가 듣기 좋은 말을 한답시고 
저런 학 같은 시인하고 살면 
사는 게 다 시가 아니겠냐고 
이 말 듣고 속이 불편해진 마누라가 그 자리에서 내색은 못하고 
집에 돌아와 혼자 구시렁거리는데
학 좋아하네 지가 살아봤냐고
학은 무슨 학 닭이다 닭
닭 중에도 오골계(烏骨鷄)!
(정희성·시인, 1945-)


+ 늙은 시인의 노래

삶의 푸념도
노래가 되고
지워버린 사랑도
추억이 되는

늙은 시인이 되고 싶어라

그리움의 날들이
하늘이 되고
기다림의 날들이
바다가 되어도
초연한 모습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늙은 시인이 되고 싶어라

약속 없는 기다림을
혼자 만들다가
붉은 노을에
눈시울을 적셔도
새겨진 주름을
웃게 만드는

늙은 시인이 되고 싶어라.
(박우복·시인)


+ 어느 시인에게 

님께선 다음 생에도 사람되겠다 그러세요 
이 세상 힘드셨어도 다시 가겠다 그러세요 
세상에 다시 오셔서 시인이 되어 주셔요 

사람을 사랑하느라 미처 못다 안아 주신 
작은 풀꽃 작은 벌레 작은 돌멩이에게도 
하나씩 이름 불러 葉書詩 적어 주셔요 

님께선 다음 생에 꼭 다시 돌아오셔요 
못다 적은 시가 아직 많다고 그러세요 
못다 비운 그리움 두고 오겠다 그러세요
(강인호·시인)


+ 시인은 모름지기

공원이나 학교나 교회 
도시의 네거리 같은 데서 
흔해빠진 것이 동상이다 
역사를 배우기 시작하고 나 이날이때까지 
왕이라든가 순교자라든가 선비라든가 
또 무슨무슨 장군이라든가 하는 것들의 수염 앞에서 
칼 앞에서 
책 앞에서 
가던 길 멈추고 눈을 내리깐 적 없고 
고개 들어 우러러본 적 없다 
그들이 잘나고 못나고 해서가 아니다 
내가 오만해서도 아니다 
시인은 그 따위 권위 앞에서 
머리를 수그린다거나 허리를 굽혀서는 안 되는 것이다. 
모름지기 시인이 다소곳해야 할 것은 
삶인 것이다 
파란만장한 삶 
산전수전 다 겪고 
이제는 돌아와 마을 어귀 같은 데에 
늙은 상수리나무로 서 있는 
주름살과 상처자국 투성이의 기구한 삶 앞에서 
다소곳하게 서서 귀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비록 도둑놈의 삶일지라도 
그것이 비록 패배한 전사의 삶일지라도 
(김남주·시인, 1946-1994)
=======================================

선시 모음

 

 

이 고 

鍊得身形似鶴形 수행하신 그 모습 두루미 같고 
연득신형사학형 
千株松下兩函經 솔 그늘에 두어 권 경책뿐일세 
천주송하양함경 
我來問道無餘說 도를 묻는 나에게 다른 말 없고 
아래문도무여설 
雲在靑天水在甁 구름은 하늘에 있고 물은 물병에 있다고. 
운재청천수재병 

이 고(? ∼844)‥‥ 당(唐)나라 때 재상 
(宰相). 낭주 자사(郎州刺史)로 있을 때 약 
산 유엄 (藥山惟儼) 스님을 만나 깨우침을 받 
고 이 게송을 짓다. 


학명 선사 (鶴鳴禪師) 

妄道始終分兩頭 묵은 해니 새해니 분별하지 말게 
망도시종분양두 
冬經春到似年流 겨울 가고 봄이 오니 해 바뀐 듯 하지만 
동경춘도사년류 
試看長天何二相 보게나 저 하늘이 달라졌는가 
시간장천하이상 
浮生自作夢中遊 우리가 어리석어 꿈 속에 사네. 
부생자작몽중유 

학명 선사(1867∼1929)‥‥ 영광 불갑사 
에 출가. 금화 스님의 법을 잇다. 


학명 선사 (鶴鳴禪師) 

前生誰是我 전생에는 누가 나며 
전생수시아 
來生我爲誰 내생에는 내가 누구일까 
내생아위수 
今生始知我 금생에 나를 집착해서 
금생시지아 
還迷我外我 참된 나를 잊었구나 
환미아외아 


경허 선사 (鏡虛禪師) 

海印寺 九光樓 

  經閣對仙巒 우뚝 솟은 장경각과 마주 뵈는 신선봉 
의의경각대선만 
往事無非一夢間 지난 세월 생각하면 한바탕 꿈속일세 
왕사무비일몽간 
適有乾坤呑吐客 하늘 땅 마음대로 삼키고 뱉는 객이 
적유건곤탄토객 
九光樓上秤千山 구광루를 저울삼아 저 산들을 달아보네. 
구광루상칭천산 


경허 선사 (鏡虛禪師) 

與永明和尙 行佛靈道中 

摘何爲妄摘何眞 무엇이 거짓이고 무엇이 참인고 
적하위망적하진 
眞妄由來摠不眞 참이고 거짓이고 모두 다 헛것일세 
진망유내총불진 
霞飛葉落秋容潔 안개 걷히고 낙엽진 맑은 가을날 
하비엽낙추용결 
依 靑山對面眞 언제나 변함없는 저 산을 보게. 
의구청산대면진 


무념 화상 (無念和尙) 

臨終偈 
寂寂本故鄕 고요한 성품이 본 고향이요 
적적본고향 
惺惺是我家 분명한 마음이 나의 집일세 
성성시아가 
現前古佛路 옛 부처 오간 길에 흘로 드러나 
현전고불로 
不昧是何物 꺼지지 않는 놈이 대체 무엇일고, 
불매시하물 

무념 화상· 일정 (日政) 때 팔공산t 
동화사(桐華寺)에서 앉아서 열반 하였음. 


승조 법사 (僧肇法師) 

臨終偈 

四大本非有 이 몸에 모양새 본래 없으니 
사대본비유 
五蘊畢竟空 마음에 망상분별 그 자체 비었네 
오온필경공 
將頭臨白刀 저 칼이 내 목을 자른다 해도 
장두임백도 
猶如斬春風 불어오는 봄바람을 어이 끊으리 
유여참춘풍 

* 승조 법사(383∼414)‥‥ 구마라습 문하 
4철 (哲)의 한 사람. 조론, 보장론의 저자 


용운 선사 (龍雲禪師) 

新 晴 

禽聲隔夢冷 새소리 꿈 밖에 싸늘하고 
금성격몽냉 
花氣入禪無 꽃 향기 선정 속에 고요하다 
화기입선무 
禪夢復相忘 선과 꿈을 다 잊으니 
선몽복상망 
窓前一碧梧 창 앞에 한 그루 벽오동 뿐일세. 
창전일벽오 

* 용운 선사(1879∼1944)‥‥이름은 봉완(奉琓), 
별호는 만해 (만海). 24세 때 백담사에 출가, 
시인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잘 알려짐. 
저서 (불교 유신론) (님의 침묵) 등. 


보조 국사 (普照國師) 

頓悟雖同佛 깨치면 부처와 같지만 
돈오수동불 
多生習氣深 무량겁에 찌든 버릇은 그대로 있네 
다생습기심 
風定波尙湧 바람은 자도 물결은 아직 출렁이고 
풍정파상용 
理現念猶侵 이치는 드러나도 망상은 쉽게 없어지지 않네. 
이현염유침 

보조 국사(1158∼1210)‥‥ 고려 때 스님 
이름은 지눌(知訥), 자호는 목우자(牧牛子 
고려 불교 현실을 통탄하고 중흥론을 제창, 
송광사를 정혜 결사의 근본 도량으로 삼다. 
저서 수심결 (修心訣) 절요 정해 
결사문 (定혜結社文) 등. 


태고 왕사 (太古王師) 

文殊讚 

提起吹毛利 취모검 뽑아드니 
제기취모리 
家風妙奇絶 그 집 풍속 유별나네 
가풍묘기절 
逍遙千聖外 부처도 모르는 곳에 한가히 노니는 양 
소요천성외 
月映蘆花雪 갈꽃이 달에 비쳐 눈처럼 희다 할까. 
월영노화설 




작자미상 
達摩讚 
野鶴閑雲主 자유로운 학이여, 한가한 구름이여 
야학한운주 
淸風明月身 달처럼 밝다 할까, 바람처럼 맑다 할까 
청풍명월신 
要知山上路 저 산 위에 높은 길을 
요지산상노 
須是去來人 안 가보고 어이 알랴. 
수시거내인 

작자미상 

耿耿靑天夜夜星 밤마다 뜨고 지는 저 하늘에 별을 
경경청천야야성 
瞿曇一見長無明 부처가 괜히 보고 망상을 더했네 
구담일견장무명 
下山路是上山路 저 산을 오르내림 길 하나 뿐인데 
하산노시상산노 
欲度衆生無衆生 중생을 건진다니 부질없는 군소리. 
욕도중생무중생 

작자미상 

面上無嗔供養具 성 안내는 웃는 얼굴 참다운 공양구요 
면상무진공양구 
口裡無嗔吐妙香 성 안내는 부드러운 말 아름다운 향이로다 
구리무진토묘향 
心裡無垢是眞實 깨끗하고 텅비어 참된 그 마음이 
심리무구시진실 
無垢無染是眞常 더럽지도 더럽힐 수도 없는 부처님 마음일세. 
무구무염시진상 

작자미상 

江靜月在水 달은 물에 잠기고 
강정월재수 
山空秋滿亭 가을 빛은 정자에 가득하다 
산공추만정 
自彈還自罷 내 즐겨 뜯는 가락을 
자탄환자파 
初不要人聽 남이야 듣거나 말거나. 
초불요인청 

작자미상 

盡日尋春不見春 하루 종일 봄을 찾아도 봄은 안 보여 
진일심춘불견춘 
芒鞋踏 破頭雲 짚신이 다 닳도록 온 산을 헤매었네 
망혜답롱파두운 
歸來偶過梅花下 봄 찾는 일 그만두고 집으로 돌아오니 
귀내우과매화하 
春在枝頭已十方 울타리에 매화꽃이 한창인 것을. 
춘재지두이십방 

작자미상 

是是非非都不關 옳거니 그르거니 상관 말고 
시시비비도불관 
山山水水任自閑 산이건 물이건 그대로 두라 
산산수수임자한 
莫間西天安養國 하필이면 서쪽에만 극락세계라 
막간서천안양국 
白雲斷處有靑山 횐 구름 걷히면 청산인 것을 
백운단처유청산 





청 허 선사 (淸虛禪師) 

達摩讚 

剪雲爲白衲 횐 구름 오려서 누더기 깁고 
전운위백납 
割水作靑眸 푸른 물 떠다가 눈동자 삼았네 
할수작청모 
滿腹懷珠玉 뱃 속에 주옥이 별처럼 빛나네 
만복회주옥 
神光射斗牛 온몸이 밤 하늘에 빛처럼 빛나네. 
신광사두우 

청허 선사(1520∼1604)‥‥ 이름은 휴정 
(休靜). 자는 현응(玄應).묘향산에 오래 있 
었으므로 서산 대사(西山大師)라 한다. 
저서 (선가귀감(禪家龜鑑)) (청허당집) 8권 등. 


청 허 선사 (淸虛禪師) 


臨終偈 


千計萬思量 온갖 계획 모든 생각 
천계만사량 
紅爐一點雪 붉은 화로에 한 송이 눈일세 
홍노일점설 
泥牛水上行 진흙소가 물 위로 가니 
이우수상행 
大地虛空裂 하늘 땅이 한꺼번에 갈라지네. 
대지허공열 


청허 선사 (淸虛禪師) 

登白雲山 

桂熟香飄月 계수 열매 익은 향기 달에 나부끼고 
계숙향표월 
松寒影拂雲 소나무의 찬 그림자 구름에 스치네 
송한영불운 
山中奇特事 이 산중의 기특한 소식을 
산중기특사 
不許俗人聞 세상 사람에게 들려줄 수 없구나. 
불허속인문 


청허 선사 (淸虛禪師) 

花開洞 

花開洞裏花猶落 화개동에 꽃은 벌써 지고 
화개동이화유낙 
靑鶴巢 鶴不還 청학동에 학은 오지 않네 
청학소변학불환 
珍重紅流橋下水 홍류교 다리 아래 흐르는 물아 
진중홍류교하수 
汝皎 海我歸山 너는 바다로 가느냐, 나는 산으로 간다. 
여교찬해아귀산 


청허 선사(淸虛禪師) 

讀罷楞嚴 

風靜花猶落 바람은 자도 꽃은 떨어지고 
풍정화유낙 
鳥鳴山更幽 새가 우니 산이 더욱 고요하구나 
조명산갱유 
天共白雲曉 새벽은 횐 구름과 함께 지새고 
천공백운효 
水和明月流 물은 밝은 달 띄워 흘러가네. 
수화명월류 


청 허 선사 (淸虛禪師) 

別小師 

臨別忽忽說不盡 서운함이 앞을 가려 총총히 말 못하고 
임별홀홀설불진 
索然相顧更遲遲 우두커니 서로 보며 머뭇거렸네 
색연상고갱지지 
平林漠漠烟如織 아득히 푸른 숲에 짙은 안개 서렸는데 
평림막막연여직 
鶴影飄飄獨往時 떠나는 뒷 모습이 외로운 학이랄까. 
학영표표독왕시 


청허 선사 (淸虛禪師) 

逆旅 

唐虞玉帛花含淚 요순의 태평은 꽃에 맺힌 눈물이요 
당우옥백화함루 
湯武干戈月帶悲 탕무의 풍운은 달에 서린 수심일세 
탕무간과월대비 
宿客不停空館在 어제 손님 떠나고 빈 객주집 
숙객불정공관재 
東西門外水空流 문 밖에 시냇물만 부질없이 흘러가네. 
동서문외수공류 


청허 선사 

題釋王寺 李龍眠所畵 千佛幀 

奇哉手裡一毫力 장하다 맨손에 붓 한 자루로 
기재수리일호력 
寫出胸中萬佛身 가슴 속에 일만 부처 그려내다니 
사출흉중만불신 
若遇丹霞難放過 단하 스님 있었던들 그저 갈 리 없건만 
약우단하난방과 
擇王門前更無人 다행히도 이 절에는 그 스님이 안 오셨네. 
택왕문전갱무인 

● 단하‥‥ 어느 암자에서 목불(木佛)을 불 
태워 형상에 집착하는 원주를 깨우쳐 준 일 
화로 유명 하다. 


청허 선사 (淸虛禪師) 

妙 峰 

五蘊以爲庵 오온으로 집 삼으니 
오온이위암 
幾經風與雨 비 바람 얼마런고 
기경풍여우 
白雲時往來 횐 구름이 오가지만 
백운시왕내 
不識庵中主 이 집 주인을 알지 못하네. 
불식암중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63 김지하 시모음 2015-04-10 0 4497
362 <벚꽃> 시모음 2015-04-10 1 4125
361 <지구> 시모음 2015-04-10 0 4352
360 <자화상> 시모음 2015-04-10 0 3929
359 <할아버지> 시모음 2015-04-10 0 4364
358 <술> 시모음 2015-04-10 1 3948
357 <결혼 축시> 모음 2015-04-10 0 4142
356 <어버이날> 시모음 2015-04-10 0 4705
355 <우체국> 시모음 2015-04-10 0 5171
354 <나그네> 시모음 2015-04-10 1 3871
353 명시인 - 디킨슨 2015-04-09 0 4437
352 명시인 - 에머슨 2015-04-09 0 4079
351 고대 로마 시인 - 호라티우스 2015-04-09 0 4584
350 시론과 그 일화 2015-04-09 0 4355
349 시인 - 김기림 2015-04-09 0 4624
348 현대시조의 장과 련 2015-04-09 0 4727
347 시란- / 시제 / 리듬 2015-04-09 1 3956
346 미래의 詩 그룹들 2015-04-08 0 4294
345 성냥 한개비 2015-04-08 0 4411
344 명시인 - 나짐 히크메트 2015-04-07 0 4512
343 료타르 / 포스트모더니즘 2015-04-06 0 4471
342 리상화 고택을 찾아서 2015-04-06 0 4137
341 zai永明 시 2015-04-05 0 4405
340 朦朧詩 2015-04-05 0 4179
339 gou城의 시론 연구 2015-04-05 0 4485
338 남영전 / 률원소적 2015-04-05 0 3997
337 개 // 시모음 2015-04-05 0 4369
336 北島 / 舒 女亭 2015-04-05 0 4243
335 西川 / 古馬 2015-04-05 0 4073
334 海子 / 西川 / 그리고, 李箱 2015-04-05 0 4496
333 명시인 - 안드레이 보즈네센스키 2015-04-05 0 5389
332 명시인 - 칼 샌드버그 2015-04-05 0 6907
331 력사는 력사... 北島 / 대답 2015-04-05 0 5479
330 중국 당대 시인 10인 2015-04-05 0 4486
329 北島 시모음 2015-04-05 0 4138
328 명시인 - 긴즈버그 2015-04-05 0 4963
327 명시인 - 구상 2015-04-05 0 4638
326 시인들, 봄을 노래하다... 2015-04-05 1 5890
325 명시인 - 김억 2015-04-05 0 4141
324 류시화 시모음 2015-04-05 0 5281
‹처음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