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로인협회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박두진 - 靑山道
2015년 12월 14일 02시 38분  조회:2772  추천:0  작성자: 죽림
 

   청산도(靑山道)

                   /박두진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숱한 나무들, 무성히 무성히 우거진 산마루에. 금빛 기름진 햇살은 내려오고, 둥 둥 산을 넘어, 흰구름 건넌 자리 씻기는 하늘, 사슴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너멋 골 골짜기서 울어 오는 뻐꾸기…….

 

 

산아, 푸른 산아. 네 가슴 향기로운 풀밭에 엎드리면, 나는 가슴이 울어라. 흐르는 골짜기 스며드는 물소리에 내사 줄줄줄 가슴이 울어라. 아득히 가 버린 것 잊어버린 하늘과 아른아른 오지 않는 보고 싶은 하늘에 어쩌면 만나도 질 볼이 고운 사람이 난 혼자 그리워라. 가슴으로 그리워라.

 

 

티끌 부는 세상에도, 벌레 같은 세상에도, 눈 맑은 가슴 맑은 보고지운 나의 사람. 달밤이나 새벽녘, 홀로 서서 눈물 어린 볼이 고운 나의 사람. 달 가고, 밤 가고, 눈물도 가고, 틔어 올 밝은 하늘 빛난 아침 이르면, 향기로운 이슬밭 푸른 언덕을, 총총총 달려도 와 줄 볼이 고운 나의 사람.

 

 

푸른 산 한나절 구름은 가고, 골 넘어 뻐꾸기는 우는데, 눈에 어려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 아우성쳐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에 난 그리노라. 너만 그리노라. 혼자서 철도 없이 난 너만 그리노라.

 

 

 

<해설> 1949년 출간한 박두진의 시집 [해]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박두진의 시는 어떤 근원적인 것에서 시상을 얻어 시를 형상화하는 시인이다. 그의 초기 시, 특히 시집 [해]의 근원적인 요소는 ‘해’와 ‘산’으로 나타난다. 그가 노래한 시 <청산도>의 ‘산’은 정지된 채 하늘 높이 우뚝 솟은 산이 아니라, 생동감 있는 생명을 지닌 움직이는 산이다. 그래서 시인은 물의 이미지로 ‘산’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산’은 순수한 평화와 아름다운 서정으로 가득찬 생명의 공간이다. 시인이 이 시를 쓴 것은 혼란과 무질서로 가득한 해방 직후의 시기임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세상은 티끌과 벌레로 들끓고 있고 어둠의 세력들로 앞길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시인은 밝은 햇살로 가득찬 건강한 공간과 ‘볼이 고운 사람’이 존재하는 미래상을 보여 줄 필요를 느꼈을 것이다. 그래서 ‘산’은 시적 화자로 하여금 가슴에 담겨진 생각들을 토로하게 하고, 시적 화자는 ‘산’을 통해 자신의 간절한 염원을 토로하게 되는 것이다. 박두진은 자기의 개성적인 산문적 운율을 이 작품을 통해 거침없이 쏟아내고 있다. 흐름이 빠르면서도 유려한 그의 운율은 그 자체가 건강한 생명의 흐름을 나타낸다. 시적 화자가 바라는 세계는 도래하지 않았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맑고 건강하고 순수한 세계가 틀림없이 도래할 것을 열망하고 있다. (김원호, 홍현다랑 '박두진의 청산도 시감상과 분석')

 

* 이 시는 '청산'을 의인화하여 이상적인 세계를 향한 간절한 소망을 화자가 '청산'에게 호소하는 형식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청산'은 화자의 소망을 들어주는 대상이며 동시에 화자가 바라는 순수한 이상세계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 곳에서 화자는 '볼이 고운 사람'을 간절히 기다리는데, 이는 '청산'이 화자가 원했던 이상적인 공간이기는 하지만 아직 무언가 결여되어 있는 불완전한 세계임을 확인해 준다. 따라서, '청산'은 이상향의 실현이 멀지 않은 가능성의 공간, 즉 미래 지향적인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자는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현실 인식에 바탕하고 있으나 강한 생명력을 지닌 미래 지향적인 이상향을 설정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인다. (한권에 잡히는 현대시)

 

 

* ​광복 직후에 씌어진 이 작품은 건강한 이미지를 지닌 청산이라는 자연물을 소재로 삼아 기독교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시인 특유의 이상향에 대한 강렬한 열망을 이야기한 산문시이다. (두산백과)

 

 

 

 

 

 

 

 

 

 

 

 

 

 

 

 

 

 

 

 

 

 

 

 

 

 

 

 

 

            <박두진(朴斗鎭): 1916 - 1998>

 

* 1916년 3월 10일 경기도 안성에서 출생하였다.

* 1939년 문예지 [문장(文章)]에 시가 추천됨으로써 시단에 등단하였다. 
* 1946년 박목월(朴木月), 조지훈(趙芝熏) 등과 함께 청록파 시인으로 활동한 이래, 자연과 신의 영원한 참신성을 노래한 30여 권의 시집과 평론·수필·시평 등을 통해 문학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연세대·우석대·이화여대·단국대·추계예술대 교수와 예술원 회원을 역임했다.

* 아세아자유문학상(1956)·삼일문화상(1970)·예술원상(1976)·인촌상(1988)·지용문학상(1989) 등을 수상했다.

* 저서에 [거미의 성좌], [고산식물], [서한체], [수석연가], [박두진문학전집] 등이 있다.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안성시립보개도서관 박두진 시비, 시제는 '고향'>

 

고향 (故鄕) /박두진 

 

故鄕 이란다 
내가 낫 자라난 故鄕 이란다 
그 먼, 눈 날려 휩쓸고 별도 얼어 떨던 밤에
어딘지도 모르며 내가 태여 나던 곳 
짚자리에 떨어져 첫소리치던
여기가 내가 살던 故鄕 이란다


靑龍山 옛날같이 둘리워 있고 
우러르던 예 하늘 푸르렀어라
구름 피어 오르고 송아지 울음 울고 
마을에는 제비 떼들 지줄대건만 
막쇠랑 북술이랑 옛날에 놀던 동무 다 어디가고 
둘 이만 나룻 터럭 거칠어졌네


二十年 흘렀는가 덧 없는 歲月 
뜬 구름 돌아 오듯 내가 돌아 왔거니 
푸른 하늘만이 옛처럼 포근 해 줄뿐
故鄕은 날 본듯 하여
또 하나 어디엔가 그리운 故鄕
마음 못내 서러워 눈물져 온다


엷은 가을 볕 
외로운 산기슭에 아버님 무덤
산딸기 빠알갛게 열매져 있고 
그늘진 나무 하나 안 서 있는곳 

다른 새도 한마리 와서 울지 않는다 
石竹이랑 산菊花랑 한 묶음 산꽃들을 꺽어다 놓고 
아버님 
부를 수도 울 수도 없이 한나절 뷘산에 목메여 본다 
어쩌면 나도 와서 묻힐 기슭에 뜬 구름 바라보며 호젓해 본다

 

 

 

 

<서울 남산 문학의집(김영랑 박두진 서정주 윤동주 유치환)>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기좌리 안성시립보개도서관 3층 박두진 문학테마자료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84 詩숲속에서의 名詩 - 웃은 죄 2016-01-17 0 3268
383 아시아인 최초 노벨문학상 - 인도 시성, 국부 = 타고르 2016-01-03 0 2662
382 명사 시인과 명시 꽃 2016-01-02 0 3463
381 난해시의 현재까지 끝판왕 - 李箱 詩 2016-01-01 0 3186
38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기택 - 바퀴벌레는 진화 중 2015-12-27 0 6241
37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신동집 - 오렌지 2015-12-27 0 4556
37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문정희 - 겨울 일기 2015-12-26 0 6791
37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최두석 - 성에꽃 2015-12-26 0 4151
37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안도현 - 우리가 눈발이라면 2015-12-26 0 5190
37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나희덕 - 못 위의 잠 2015-12-25 0 7919
37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기형도 - 빈집 2015-12-25 0 4091
37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도종환 - 옥수수밭 옆에 당신을 묻고 2015-12-25 0 3611
37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오세영 - 그릇 1 2015-12-25 1 4035
37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최승호 - 북어 2015-12-25 0 5084
37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고정희 - 상한 영혼을 위하여 2015-12-25 0 4734
36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용택 - 섬진강 1 2015-12-24 0 4142
36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곽재구 - 새벽 편지 2015-12-24 0 3772
36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황지우 -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2015-12-24 0 4822
36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지하 - 타는 목마름으로 2015-12-24 0 5483
36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鄭浩承 - 슬픔이 기쁨에게 // 鄭昊昇 - 모밀꽃 2015-12-24 0 5765
36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이해인 - 살아 있는 날은 2015-12-24 0 3675
36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광규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2015-12-23 0 5345
36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황동규 - 즐거운 편지 2015-12-23 0 4893
36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정희성 - 저문 강에 삽을 씻고 2015-12-23 0 4536
36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송수권 - 산문에 기대어 2015-12-22 0 7002
35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이성부 - 벼 2015-12-22 0 5116
35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신경림 - 농무 2015-12-22 0 6236
35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박용래 - 저녁눈 2015-12-22 0 4262
35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천상병 - 귀천 2015-12-21 0 6070
35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5-12-21 0 3780
354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종길 - 성탄제 2015-12-20 0 3257
353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허영자 - 자수 2015-12-20 0 4227
352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정한모 - 나비의 려행 2015-12-20 0 3288
35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이형기 - 폭포 2015-12-19 0 4161
350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김광섭 - 성북동 비둘기 2015-12-19 0 4435
349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신동엽 - 껍데기는 가라 2015-12-19 0 3204
348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고은 - 머슴 대길이 2015-12-18 0 3548
347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박재삼 - 흥부 부부상 2015-12-18 0 5731
346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신석초 - 바라춤 2015-12-18 0 4232
345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광복以後 시: 김남조 - 정념(情念)의 기(旗) 2015-12-18 0 404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